이 부분은 군에 있을 때 좀 만져봐서 대충 무슨 말인지는 아는데, 막상 시험에 글로 나오면 헷갈려서 다시 한 번 정리해봤다. |
1.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네트워크는 크게 클라이언트, 서비스, 프로토콜, 어댑터 등으로 나뉜다. 더 다양한 구성이 있지만 그건 시험이 끝나고 따로 정리해보겠다.
클라이언트 (client) |
사용자가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 및 파일 액세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혹은 서비스 |
서비스 (service) |
파일 및 프린터 공유와 같은 기능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
프로토콜 (protocol) |
사용자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규약 |
어댑터 (adapter, adaptor) |
컴퓨터간,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에서 데이터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전송하는 전환 하드웨어 장치 |
2. TCP/IP의 구성 요소
TCP/IP 혹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는 인터넷이나 그와 유사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표준 프로토콜(통신규약)의 모음을 말한다. 현재 이 스위트에서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인터넷 프로토콜(I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이다. 이러한 프로토콜이 모여 TCP/IP를 만들어냈으니 이 TCP/IP는 큰 틀에서 네트워크 상의 프로토콜의 한 종류라고 봐도 무관하다.
이 TCP/IP에서 수동으로 IP를 설정할 경우 인터넷 접속을 위해 반드시 아래와 같은 것들을 지정해야 한다.
수동으로 IP 설정 시 인터넷 접속을 위해 반드시 지정해야 하는 구성 요소 | |
IPv4인 경우 | IP(v4)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주소 |
IPv6인 경우 | IPv6 주소, 서브넷 접두사 길이,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주소 |
그럼 각각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자.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의 유일한 숫자 주소 -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됨 IPv4 주소 - 32비트 주소를 8비트씩 마침표(.)로 구분 IPv6 주소 - 128비트 주소를 16비트씩 콜론(:)으로 구분 |
서브넷 접두사 길이 | 서브넷 접두사 : IPv6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기 위해 IPv6 수신인에게 허용하는 서브넷 마스크 부분의 길이를 비트로 표현한 것 - IPv6 주소 뒤에 /(슬래시)로 구분하여 표기 ex)2001:0230:abcd:ffff::ffff:1111/64 |
서브넷 마스크 | IPv4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기 위해 IPv4 수신인에게 허용하는 32비트 주소 - IP 주소와 결합해 사용자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를 표현 |
(기본) 게이트웨이 | 다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출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 -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 장치를 지정 - 네트워크 사이에서 IP 패킷을 라우팅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실제 TCP/IP 네트워크에 연결됨 - 서로 다른 전송 프로토콜, IPX 및 IP와 같은 데이터 형식 간의 변환을 담당 |
DNS 서버 주소 | 문자 형태로 된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DNS 서버의 IP 주소를 지정 |
3.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간단히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와 TCP/IP의 구성 요소를 살펴봤다. 이제 이런 네트워크와 관련된 cmd 명령어 몇가지를 정리해보자.
3-1. netstat
netstat는 말 그대로 망(net)의 상태(stat)를 확인하는 명령어다. 이 명령어는 활성 TCP 연결 상태, 컴퓨터 수신 포트, 이더넷 통계 등을 표시한다.
상태칸에서 ESTABLISHED는 '연결되어 있음'을 뜻하며, TIME_WAIT는 '연결은 끊겼지만 원격 수신 보장을 위해 기다리고 있음'을 뜻한다.
3-2. nslookup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이라는 뜻의 nslookup은 dns가 가지고 있는 특정 도메인의 IP 주소를 검색해주는 명령어다. 보통 이는 인터넷이 어느 통신사에 연결되어 있나를 확인해주는데 3대 통신사의 서버는 아래와 같다.
KT |
kns.kornet.net 168.126.63.1 | |
kns2.kornet.net 168.126.63.2 | ||
LG |
데이콤 |
ns.dacom.co.kr 164.124.101.2 |
ns2.dacom.co.kr 203.248.240.31 | ||
파워콤 |
cns2.bora.net 164.124.107.9 | |
cns3.bora.net 203.248.252.2 | ||
SK |
하나로 |
qns1.hananet.net 210.220.163.82 |
qns2.hananet.net 219.250.36.130 | ||
qns3.hananet.net 210.94.6.67 | ||
ns.dreamx.com 210.181.1.41 | ||
ns2.dreamx.com 210.181.4.51 |
이를 통해 내 컴퓨터는 KT망의 코넷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3. finger
finger는 원격 컴퓨터 사용자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서비스 명령어다. 서비스가 서비스인 만큼 이 명령어는 파일 탈취와 같이 악용 가능성이 높은 명령어라고 한다.
3-4. ping
ping은 원격 컴퓨터가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다. 해당 컴퓨터의 이름, IP 주소, 전송 신호의 손실률(핑), 전송 신호의 응답시간 등이 표시된다. 꽤 유용한 명령어다.
3-5. tracert
추적 루트(trace route)라는 뜻의 tracert는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여 IP 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다. 이 명령어를 쓰면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 망이 문제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면에서 가장 유용한 명령어라고 할 수 있다.
3-6. ipconfig
이 명령어도 꽤 유용하다. 인터넷 프로토콜 환경 설정(internet protocol configuration)이라는 뜻의 ipconfig는 현재 컴퓨터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다.
3-7. route
route는 로컬 IP 라우팅 테이블에서 항목을 표시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마스크 하위 넷마스크 지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용어 정리, 이슈 >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의 숫자 서식 코드에 대하여 (0) | 2022.06.03 |
---|---|
컴퓨터는 어떻게 자연어를 번역하는걸까? - 컴퓨터의 언어 번역 (0) | 2022.06.03 |
컴퓨터의 '시스템' 기능에는 무엇을 볼 수 있을까? (0) | 2022.06.02 |
보조기억장치 정리 - 보조기억장치, 자기디스크, 메모리류 (0) | 2022.06.02 |
안티앨리어싱?인터레이싱? 그래픽 기법 정리 (0) | 2022.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