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05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57)
돈 되는 글 28 - 봉차트 보는 법(4) - 봉차트의 보조지표 - 매물대차트 봉차트 보는 법(2) - 봉차트의 보조지표 - 이평선(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06) 봉차트 보는 법(3) - 봉차트의 보조지표 - 볼린저밴드(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07) 봉차트 보는 법(5) - 봉차트의 보조지표 - 일목균형표(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09) 1. 매물대(volume profile) 차트를 보면 왼편에 살구색 막대가 가로로 눕혀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모양의 일정 기간동안 특정 가격대에서 거래량을 나타내는 막대형 그래프를 매물대라고 한다. 이 매물대는 거래량이 많은 구간일수록 길게 표시하는데, 설정 기간에 따라 매물대의 모양은 당연히 달라지게 된다. 참고로 ..
돈 되는 글 27 - 봉차트 보는 법(3) - 봉차트의 보조지표 - 볼린저 밴드 봉차트 보는 법(2) - 봉차트의 보조지표 - 이평선(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06) 봉차트 보는 법(4) - 봉차트의 보조지표 - 매물대차트(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08) 봉차트 보는 법(5) - 봉차트의 보조지표 - 일목균형표(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09) 1. 존 A. 볼린저(John A. Bollinger, 1950~)와 볼린저 밴드 존 A. 볼린저(John A. Bollinger, 1950~)는 볼린저 밴드를 개발한 미국의 작가이자 재무분석가다. 존 볼린저가 옵션 거래를 하던 1980년대 초에 상대적인 기준으로 상한가와 하한가를 정의해 그 범위 내에서 주가가 움직이게 하는 그..
돈 되는 글 26 - 봉차트 보는 법(2) - 봉차트의 보조지표 - 이평선 봉차트 보는 법(3) - 봉차트의 보조지표 - 볼린저밴드(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07) 봉차트 보는 법(4) - 봉차트의 보조지표 - 매물대차트(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08) 봉차트 보는 법(5) - 봉차트의 보조지표 - 일목균형표(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09) 1. 봉차트의 보조지표 양봉, 음봉 그리고 대표적인 봉의 형태들을 알았다면 이제 위의 그림을 대략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는 봉차트만으론 다음 시장에서의 가격이 어떻게 변동될 지 확실히 예측하지 못한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보조지표(indicator) 혹은 기술적 지표(technical ..
돈 되는 글 25 - 봉차트 보는 법(1) - 양봉과 음봉 1. 선차트와 봉차트 우선 주식 차트라고 하면 주식 시장에 상장된 종목의 가격 변화를 나타내는 차트를 말한다. 이 주식 차트는 선으로 종목 가격 변화를 나타낸 선차트, 봉으로 종목 가격 변화를 나타낸 봉차트로 나뉜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주식을 하는 사람이 더 많이 보게 될, 또 봐야 할 봉차트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2. 봉차트 기본 2-1. 봉차트 봉차트 혹은 캔들스틱차트(candlestick chart)는 금융 상품의 가격 변동을 막대 형태로 나타내는 금융 차트를 말하며, 시간과 거래단위에 따라 크게 틱봉 차트, 분봉 차트, 일봉 차트, 주봉 차트, 월봉 차트로 나눈다. 2-2. 양봉과 음봉 이 봉차트의 봉(캔들스틱)은 양봉과 음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봉(陽棒, bullish candle stic..
돈 되는 글 24 - 주식 주문의 종류 이전 글에서 국내 주식 시장 시간에 대해 정리했다. 그러나 주식을 하는 사람에겐 그 국장 시간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주식을 주문할 것인지도 중요하다! 그래서 자신에게 맞는 주식 주문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여러 종류의 주식 주문을 정리해봤다. 1. 주식 주문 방식의 종류 1-1. 보통가 주식 주문창을 처음 들어가면 거의 대부분 주문 방식이 '보통'으로 지정되어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보통'은 '보통가', '보통지정가' 혹은 '지정가'를 말하는데, 이 3가지 말은 다 같은 말이다. 이는 주식을 사고파는 가장 기본적인 주문 방식으로, 원하는 주문 가격을 지정하고 거래를 기다리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자신이 원하는 주문가를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잘 이용하면 자신이 원하는 낮은 가격에 살아서 자신이 ..
제재? 재재? 헷갈리는 단어 정리 누군가 '이거 제제안되나요?'라고 쓴 걸 봤다. 이에 이 제재, 재재와 같이 헷갈리는 단어류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1. ㅐ와 ㅔ의 발음이 같다. 먼저 ㅐ[애]는 ㅏ[아]와 ㅣ[이]가 합쳐진 단모음이며, ㅔ[에]는 ㅓ[어]와 ㅣ[이]가 합쳐진 단모음이다. 이 두 모음에 대한 발음은 1920년대에 태어난 화자들부터 구분이 모호해지기 시작했고 전후 시대부터는 사실상 이 두 발음의 차이를 실질적으로 구별하진 않게 되었다. 그럼 모음 하나가 표기에서 사라지는 걸까? 그건 아니다. 2018년 국립국어원은 역사성을 이유로 아직은 두 모음을 구별해서 쓰도록 규정했기 때문이다. 현대에는 이미 ㅐ와 ㅔ의 발음이 거의 같아 먼 미래에는 이 모음이 하나의 모음으로 합쳐질 가능성도 있겠지만 지금 2022년 당장은 아니다. 2...
돈 되는 글 23 - 국장(국내 주식시장) 시간 - 비정규시간을 중심으로 1. 국내 주식시장(국장) 시간 이전에 미국의 프리마켓(프장), 애프터아워(애프터장)에 대한 글에서(https://mspproject2023.tistory.com/664) 한국 시간 기준으로 18:00 ~ 08:00(서머타임 미적용) 혹은 17:00 ~ 07:00(서머타임 적용)까지 미국 주식시장(미장)을 이용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럼 국내 주식시장(한국 주식시장)은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이용가능할까? 정규시간만 본다면 국내 주식시장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이지만, 시간외 단일가, 동시호가, 시간외종가까지 합치면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주식을 할 수 있다. 이 말은 경우에 따라 최대 오전 8시부터 8시반 사이를 제외하곤 남은 23시간 30분을 오로지 국장과 미장에 투자할 수 있다..
[이벤트] 메타서울, 신세대 웹3.0 기반의 소셜 맵 서비스의 시작 1. Web3가 도대체 어떤거야? 혹시 브레이브(Brave), 스토리지(Storj), IPFS, 엑스퍼티(Experty), EOS, 스팀잇(Steemit) 중에 들어본 서비스나 시스템이 있는가? 없다고? 그럼 그럼 크롬(Chorme), 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Dropbox), 네이버 MYBOX, 안드로이드, iOS, 페이스북(메타), 트위터, 스카이프는? 컴퓨터를 거의 쓰지 않는 사람도 한 번쯤 들어봤을 만한 서비스나 시스템이다. 사실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Web2.0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한 발 나아가 새롭게 나타난 Web3 혹은 Web3.0은 분권화, 블록체인 기술, 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