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정리 - 배운 사자성어 및 한자 정리 5
본문 바로가기

언어/한문(일부 중국어, 일본어 포함 가능)

한문 정리 - 배운 사자성어 및 한자 정리 5

728x90
한문 강의 시간에 배웠던 내용 중 헷갈리는 것들을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제부터 각 한자의 풀이는 사진으로 대체한다.

1. 衆寡不敵

 
무리 적다 아니다 대적하다

衆寡不敵[중과부적]의 겉뜻무리()가 적으면() 대적할() 수 없다(不)는 것이고, 속뜻적은 수효(혹은 사람)로 많은 수효(혹은 사람)를 이기지 못한다는 것이다.

2. 臥薪嘗膽

 
눕다 맛보다 쓸개

臥薪嘗膽[와신상담]의 겉뜻섶(薪)에 눕고() 쓸개()를 씹는다(嘗)는 것이며, 속뜻원수를 갚으려고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견딘다는 것이다.

3. 刎頸之交

 
목 베다 가다 사귀다

刎頸之交[문경지교]의 겉뜻목(頸)을 벨 수() 있는 벗(交)을 말하며, 속뜻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벗을 말한다.

4. 鷄鳴狗盜

 
울다 새끼 도둑

鷄鳴狗盜[계명구도]의 겉뜻닭의 울음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의 흉내를 잘 내는 좀도둑을 말하며, 속뜻천한 재주, 천한 재주를 가진 사람도 때로는 요긴하게 쓸모가 있음, 야비(野鄙)하게 남을 속이는 꾀, 잔재주를 자랑하는 것이다.

 

5. 多多益善

 
많다 많다 더하다 넘치다 착하다

多多益善[다다익선]의 겉뜻과 속뜻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는 것이다.

 

6. 衆口難防

 
무리 어렵다 우거지다 막다

衆口難防[중구난방]의 겉뜻여러 사람()의 입()을 막기() 어렵다(難)는 것으로, 속뜻 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마구 지껄이는 상황을 말한다.

 

7. 肝膽相照

 
쓸개 서로 빌다 비치다

肝膽相照[간담상조]의 겉뜻간(肝)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照)는 것으로, 속뜻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귀는 것을 말한다.

 

8. 芝蘭之交

 
지초 난초 가다 사귀다

芝蘭之交[지란지교]의 겉뜻지초(芝草)와 난초(蘭草) 같은 향기로운 사귐을 말하며, 이의 속뜻벗 사이의 고상한 교제를 뜻한다.

 

 

9. 鷄口牛後

 
임금

鷄口牛後[계구우후]의 겉뜻닭의 부리와 소의 꼬리을 말하며, 이의 속뜻큰 단체의 말석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라는 뜻이다.

 

10. 貧益貧富益富

 
가난하다 더하다 넘치다 가난하다 부유하다 더하다 넘치다 부유하다

貧益貧富益富[빈익빈부익부]의 겉뜻과 속뜻가난할수록 더욱 가난해지고, 부자일수록 더욱 부자가 된다는 것이다. 원래는 貧益貧[빈익빈], 富益富[부익부] 따로 따로 쓰나, 아주  가끔 이렇게 합쳐 쓰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