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모음 철자법에 대해(<철자법><모음> 부분)
본문 바로가기

언어/러시아어

러시아 모음 철자법에 대해(<철자법><모음> 부분)

728x90
이 글은 러시아어 철자법 중 '철자법' '모음'에 관한 내용을 한국어로 직접 번역정리한 글입니다. 원문은 이 글(https://therules.ru/)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인터넷 글은 <1956년 러시아어 철자 및 구두점 규칙(Правила русской орфографии и пунктуации 1956 года)>을 원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1. 모음

1-1. 치찰음(шипящие) 및 ц 뒤의 모음

§ 1  ж, ч, ш, щ 다음에 ю, я, ы를 쓸 수 없으나, у, а, и를 쓸 수 있다.

(예시 : чудо, щука, час, рощажир, шить)

이러한 자음 뒤에 ю나 я(일부) 외국어(주로 프랑스어)에서만 허용된다.

(예시 : жюри, парашют(고유명사 포함, 예시 : Сен-Жюст), 복합어와 문자 약어에서도 일반적으로 어떤 문자 조합도 허용된다.) (§ 110 참고)

§ 2 ц 다음에 ы가 어미로, 어근접미사 -ын로 표시된다.

(예시 : птицы, о́вцы 또는 овцы́, огурцы, белолицый, сестрицын, лисицын. 또한 , а также в словах 'цыган, цыплёнок, на цыпочках, цыц (감탄사) 및 이와 같은 어근을 가진 다른 단어들도 마찬가지다.)

§ 3 ц 다음에 ю와 я(일부) 외국어 고유명사에서만 허용된다.

(예시 : Цюрих, Свенцяны)

§ 4 ж, ч, ш, щ 다음에 강세가 붙은 о로 발음되면, о로 쓴다.

1. 명사와 형용사의 어미에서
(예시 : плечо, ножом, шалашом, плечом, Фомичом, плащом, межой, вожжой, душой, свечой, пращой, чужой, большой)

2. 어근접미사에서.

2-а) 명사

-ок(예시 : рожок , петушок , крючок , борщок)

-онок(예시 : медвежонок , мышонок , галчонок , бочонок)

-онк-а(예시 : книжонка, рубашонка, ручонка, 또한 деньжонки)

2-б) 형용사

-ов-(예시 : ежовый, грошовый, парчовый, холщовый)

-он(출몰모음 о와 함께)(예시 : смешон)

2-в) 부사(예시 : свежо, горячо, общо)

3. 복수 생격 명사에서는 -ок, -он(예시 : кишок, княжон)

4. 단어(및 파생어)에서(예시 : обжора, крыжовник, жом, трещотка, трущоба, чащоба, чокаться, чопорный, Печора, шов, шорох, шоры), 명사에서(예시 : изжога, ожог, поджог (동사의 과거 시제에서 -ёг와 비교 : изжёг, ожёг, поджёг)), 또한 일부 방언 및 구어체 단어에서도 쓰임(예시 : жолкнуть, зажора (및 зажор), жох, ужо'(후에(потом, после)'란 뜻), вечор(어제 저녁(вчера вечером)이란 뜻), чох(예를 들어 'не верит ни в сон, ни в чох'와 같은 문장에서), 부사 чохом) 

§ 5 러시아어 단어에서 ж, ч, ш, щ 다음의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는 о가 쓰이지 않는다.

(예시 : горо́шек (비교 петушо́к), сто́рожем (비교 чижо́м), бо́льшего (비교 большо́го), ры́жего (비교 чужо́го))

외국어에서 о는 강세가 없는 음절에도 허용된다.(예시 : жоке́й, шокола́д)

§ 6 러시아어 단어에서 ц 뒤에 o 또는 e를 쓰는 것은 다음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1. 강세가 있는 음절에서 발음에 따라 о 혹은 е를 표시

(예시 : цокать, лицо, овцой, дельцов, отцов, отцовский, облицовка, вытанцовывать, танцор, 다만, прицел, целый, ценный, цеп 등)

2.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 о는 단어 цокоту́ха 및 관련어(비교 цо́кот)를 제외하고 쓰이지 않는다.

어근접미사와 어미에 강세가 없으면 항상 е를 쓴다.

(예시 : полотенце, пальцем, пальцев, куцего, ситцевый, молодцеватый, глянцевитый, танцевать, гарцевать, Кунцево, Баренцево море)

외국어에서 ц 뒤에 о는 강세 없는 음절에서도 쓸 수 있다.

(예시 : пала́ццо, ске́рцо)

1-2. 접두사 뒤의 모음 ы와 и

§ 7 자음으로 끝나는 접두사와 и로 시작하는 어근 또는 다른 접두사를 결합할 때에는 발음에 따라 ы를 대신해서 쓴다.

(예시 : роз-ыск, пред-ыдущий, воз-ыметь, из-ымать (다만, и로 발음되는 вз-имать), под-ытожить, без-ыскусственный, с-ыз-нова, без-ыдейный, без-ынициативный, без-ынтересный, с-ымпровизировать, над-ындивидуальный, пред-ыстория)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и를 쓴다.

1. 접두사 меж- 및 сверх-를 가진 단어에서.

(예시 : меж-ирригационный, сверх-изысканный.)

2. 외국어 접두사 및 소사를 가진 단어에서,

(예시 : пан-, суб-, транс-, контр- 등)

1-3. э

§ 8 э는 다음 러시아어 단어에서만 쓰인다.

(예시 : этот, этакий, этак, экий, эк, эй, эх, эхма, эва, эге)

§ 9 외국어 단어에서 э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정의된다.

1. 처음에, э 및 е는 발음에 따라 쓴다.

(예시 : 한편 - эра, эллин, этика, экзамен, эвкалипт, 다른 편 - егерь, ересь, Европа, ералаш)

2. 모음(и 제외) 뒤에 주로 э를 쓴다.

(예시 : поэзия, статуэтка, маэстро)

다만, 사전 순서에서 정의된 특정한 경우에는 е를 쓴다.

(예시 : проект, проекция, траектория, реестр, геенна, феерия)

모음 и 뒤에 е를 쓴다.

(예시 : диета, диез, пиетет, пиемия, гигиена, реквием)

3. Улан-Удэ, Бэкон, Тэн 등의 고유명사나 пэр, мэр, сэр를 제외하고 자음 뒤에 е를 쓴다.

4. 단어가 э로 시작한다면, 접두사 뒤에 그리고 복합어의 일부로 э가 유지된다.

(예시 : с-экономить, пере-экзаменовать, одно-этажный, двух-элементный, квинт-эссенция, поли-эдр)

1-4. ё

§ 10 ё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쓰인다.

1. 단어의 오독 및 잘못 이해함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할 때,

(예시 : узна́ем이 아니라 узнаём일 때, все́가 아니라 всё일 때, ведро́가 아니라 вёдро일 때, соверше́нный이 아니라 совершённый일 때)

2. 잘 알려지지 않은 단어의 발음을 표시할 때,

(예시 : река Олёкма)

3. 입문서, 러시아어 학교 교과서, 철자법 교과서, 강세 위치 및 정확한 발음을 나타내는 특수한 텍스트에서

1-5. 일반 규칙

§ 11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는 강세를 받을 때 단어의 같은 부분에서 발음되는 것과 동일한 모음을 쓴다.

(예시 : 어근에서, жара (жар), шалун (ша́лость), частота (ча́стый), чистота (чи́стый), поласкать (ла́ска), полоскать (поло́щет), разряжать 및 разрядить (разря́д), разрежать 및 разредить (ре́дкий), поседеть (сед), посидеть (си́дя) 등)

(예시 : 접두사에서, поддаваться (по́дданный, по́дступ), отпирать (о́тпер), заморозить (за́морозки, за́пись), приступать (при́ступ, при́стань) 등)

(예시 : 어근접미사에서, лекарь (врата́рь), заборишко (доми́шко), последыш (малы́ш), вятич (москви́ч) 등)

(예시 : 어미에서, масло (весло́), стулом (столо́м), липой (стено́й), старою (молодо́ю) 등) 

§ 12 § 11로 설정할 수 없는 모음의 철자법은 사전 순서로 정의된다.

(예시 : каравай, таратайка, паро́м, ватрушка, кавычка, тормоз, полымя, бечева, пескарь, снегир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