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문
customs declaration | |
(내·외국환 신고) means of payment over $10,000 (휴대반출신고) dutiable personal articles for re-importation (내국세 면세물품 세관확인) tax-refund customs inspection (수출 기적확인) confirmation of aircraft shipment (A.T.A. 까르네 신고) (re)exportation of A.T.A. Carnet |
entrance->Here->Queue line--X-RAY security-->Incheon Customs |
2. 단어 및 용어 정리
2-1. means of payment : 지급수단
<외국환거래법(1999~)>에 따르면 지급수단(支給手段, means of payment)은 '거래를 할 때에 지급능력을 지니는 수단'을 말합니다. 그 목록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지급수단 |
1. 정부지폐, 은행권, 주화, 수표, 우편환, 신용장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환어음, 약속어음, 그 밖의 지급지시 3. 증표, 플라스틱카드 또는 그 밖의 물건에 전자 또는 자기적 방법으로 재산적 가치가 입력되어 불특정 다수인 간에 지급을 위하여 통화를 갈음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
이 지급수단은 외국용이냐 내국용이냐에 따라 다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외지급수단 | 외국통화, 외국통화로 표시된 지급수단, 그 밖에 표시통화에 관계없이 외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급수단 |
내국지급수단 | 대외지급수단 외의 지급수단 |
같은 법에 따르면, 이 대외지급수단엔 외국환도 포함될 수 있어요!
“외국환”이란 대외지급수단, 외화증권, 외화파생상품 및 외화채권을 말한다.
- <외국환거래법> 제3조 제1항 제13호
2-2. dutiable : 관세의
직역하면 '의무(duty)를 가할 수 있는(-able)' 혹은 '관세(duty)를 가할 수 있는(-able)'이란 뜻의 형용사 dutiable은 그 뜻 그대로 '수입품으로서 관세(customs duty)가 부과되는'이란 뜻입니다. 반대되는 표현으로는 '면세의'라는 뜻의 duty-free가 있죠~
2-3. tax-refund : 국세환급금
직역하면 '세금 환급', '세금 환급금'이란 뜻의 tax-refund는 국내에선 국세환급금으로 표현합니다.
국세환급금이란 세금을 납세자가 내야 될 세액보다 더 많이 냈을 때 받을 수 있는 환급금을 말하죠.
2-4. aircraft shipment : 기적(機積)
영어로 shipment는 '선적(船積, 배에 짐을 싣는 것), 선적물(船積物, 배에 실은 짐)'을 뜻합니다.
이 단어 앞에 '항공기(航空機)'를 뜻하는 명사 aircraft가 붙은 aircraft shipment는 '기적(機積, 항공기에 짐을 싣는 것), 기적물( 機積物, 항공기에 실은 짐)'을 뜻하게 됩니다.
2-5. A.T.A. Carnet (ATA Carnet) : ATA 까르네
'임시 허가'를 뜻하는 프랑스어 표현 Admission Temporaire([어드미숑 떤뽀헿]와 영어 표현 Temporary Admission의 합성어인 A.T.A.(ATA)에 '수첩(표, 증서)'을 뜻하는 carnet([까르네])가 합쳐진 단어 ATA Carnet는 1961년 12월 6일 서명된 ATA 협약(ATA Convention) 가입국 간에 일시적으로 물품을 수입/수출 또는 보세운송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복잡한 통관 서류나 담보금을 대신하는 증서를 말합니다.
직역하면, '임시 허가 증서'라는 뜻으로, 국내에선 '무관세임시통관증서'라고 부르죠. 이를 통해 통관절차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번역문
세관 신고 | |
(내·외국환 신고) 10000달러 초과 지급수단 (휴대반출신고) 재수입용 과세개인물품 (내국세 면세물품 세관확인) 택스리펀 세관 검사 (수출 기적확인) 항공기 선적 확인 (A.T.A. 까르네 신고) A. T. A. 까르네 (재)수출 |
입구->여기->행렬줄--엑스레이 보안-->인천 세관 |
'언어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끔 길에서 보이는 우회로 안내판(detour의 유래) (0) | 2024.07.21 |
---|---|
littering의 유래 (0) | 2024.06.24 |
construction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함께 쌓아 올린 것) (0) | 2024.05.19 |
subject가 형용사로 쓰이면 무슨 뜻일까?(subject to) (0) | 2024.04.22 |
oxygen과 absorber의 유래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