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사 인물 정리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세계사, 세계문화

러시아사 인물 정리

728x90
16세기 이후 신력 날짜를 확인할 수 있는 러시아사 인물은 신력(그레고리력)으로 표기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구력(율리우스력)으로 표기함. 지속적으로 업로드 될 예정.
찾으려는 사람이 있다면, 찾기를 통해 검색하면 됨. 다만 부칭까지 다 적고 있어 이름이나 성만 검색하는 방식으로 찾는 것을 추천함(예를 들어 '니콜라이 고골'을 찾고 싶다면 '니콜라이' 혹은 '고골'로 검색하는 방식)

1672년에 출판된 <차르의 직함(Царский титулярник)>에 묘사된 유리 돌고루키 (출처 : Царский титулярник)

유리 블라디미로비치 돌고루키(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Долгорукий, 1090'~1157.05.)

제14대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프세볼로도비치 모노마흐(Владимир Всеволодович Мономах, 1053~1125)의 아들이면서 로스토프-수즈달의 크냐지(князь) 및 키예프 대공(Великие князья Киевские)이 되었던 인물. 1113년 혹은 1096년부터 죽을 때까지 로스토프-수즈달 공국(Ростово-Суздальское княжество)을 다스렸으며, 페레야슬라우(Переяслав)와 키예프(Киев)를 위해 열심히 싸운 것으로 유명한데, 독살당하여 생을 마감한다.

 

안드레이 루블료프(Андрей Рублёв, 1360'~1428.10)
러시아의 대표적인 성화 화가

미하일 스코티(Михаил Скотти)가 그린 이반 수사신 (출처 : 미하일 스코티)

이반 수사닌(Иван Сусанин, ?~1613)

폴란드-러시아 전쟁(1609~1618)에서 차르 미하일 1세를 구한 것으로 유명한 당시 돔니노 마을(село Домнино)(현 코스트로마주 수사닌스키군)의 농민이자 현재 러시아의 국민 영웅. 폴란드군이 차르 미하일 1세를 잡기 위해 그를 잡아 회유했는데, 그는 차르의 은신처와 다른 이상한 곳으로 그를 데리고 갔고, 그에게 속은 것을 알게 된 폴란드리투아니아들에 의해 죽을 때까지 고문당했다고 한다.

도메니코 트레치니 (출처 : ja.findagrave.com/memorial)

도메니코 트레치니(Domenico Trezzini, 1670'~1734.03)
스위스 티치노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건축가 겸 엔지니어. 1703년부터 러시아에서 일하며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첫 번째 건축가가 되었다. 또한 러시아 건축을 서유럽 전통에 도입하는 역사적 과정에 중요한 공헌을 했으며, "표토르 바로크(Петровское барокко)" 건축 양식의 주요 대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러시아어로는 '도메니코 안드레아 트레지니(Доменико Андреа Трезини)'라고 한다.

미하일 로모노소프 (출처 : culture.ru/persons)

미하일 바실리예비치 로모노소프(Михаил Васильевич Ломоносов. 1711.11~1765.04.)

백과사전학파, 물리학자, 화학자, 천문학자, 계기제작자, 지리학자, 금속학자, 지질학자 등 다양한 학문을 연구하던 박식가(만능인, полимат)으로 알려진 러시아 최초의 자연연구자. 1745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의 정식 회원이 되었으며, 이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볼로냐 과학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이 되었고, 1755년에는 현재의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의 모태가 되는 모스크바제국대학(Императорский Москов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을 설립했다.

1783년경 Д. Г. 레비츠키의 초상화 (출처 :&amp;amp;amp;nbsp; Д. Г. Левицкий)

드미트리 그리고리예비치 레비츠키(Дмитрий Григорьевич Левицкий, 1735.05~1882.08)
러시아의 화가이자 예카테리나 2세 시대에 러시아 고전주의의 가장 대표적인 페테르부르크 초상화가.

В. 보로비콥스키(В. Боровиковский)가 1811년에 그린 가브릴 데르자빈의 초상화(출처 : В. 보로비콥스키(В. Боровиковский))

가브릴 로마노비치 데르자빈(Гавриил Романович Державин, 1743.07.~1816.07.)

러시아의 계몽주의 시인 겸 정치가. 카잔의 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프랑스어, 독일어, 라틴어, 산수, 기하학, 음악, 춤 등을 비체계적으로 공부했다. 이후 군복무를 하다가 1762년 예카테리나 2세의 쿠데타를 도와 그녀를 황위에 옹립하는데 도움을 줬으며, 1773년부터 1775년까지 푸가초프의 난을 후방지원하며 많은 자료를 남기기도 했다. 참고로 푸가초프의 난에서 썼던 글들은 후에 알렉산드르 푸시킨이 <대위의 딸>을 쓰게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는 반란 초기인 177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를 쓰기 시작한다. 이후 1782년 여제 헌시 <펠리차(Фелица)>를 발표하며 문학적 명성이 높아졌으며, 1784년부터는 주지사와 총독으로, 1802년부터  러시아 최초의 법무장관을 맡기도 했다. 1803년부터는 공직에서 물러나 작품 활동에 집중했으나 1816년에 의사를 만나러 가려다 사망한다. '가브릴라 로마노비치 데르자빈(Гаврила Романович Державин)'으로도 불린다.

1797년경, Н. И. 노비코프의 초상화 (출처 : Д. Г. Левицкий)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노비코프(Николай Иванович Новиков, 1744.05~1818.08)
러시아의 계몽주의자, 저널리스트, 출판인, 비평가, 공인, 고대물품 수집가로, 러시아 계몽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인물.

М. Д. 출코프의 초상화 (출처 : https://rulex.ru/)

미하일 드미트리예비치 출코프(Михаил Дмитриевич Чулков, 1744.11~1792.11)
러시아의 작가, 민족학자, 민속학자, 출판사 겸 역사가. <러시아 상업의 역사적 묘사(Исторического описания российской коммерции)>, 고대 러시아 동화 모음집, 영웅서사시(былина) 등의 역사작품과 <미모의 요리사 또는 타락한 여성의 모험(Пригожая повариха, или Похождения развратной женщины, 1770)>과 같은 문학작품 등을 편찬했다.

И. П. 투르게네프의 초상화 (출처 : http://dlib.rsl.ru/view.php?)

이반 페트로비치 투르게네프(Иван Петрович Тургенев, 1752.07~1807.03)
모스크바 황립 대학교 7대 총장(1796~1803)이자 장교면서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노비코프 클럽 출신의 마티니즘주의자.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Иван Сергеевич Тургенев)'와는 같은 가문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리메이슨(масон)이었다.

카람진의 초상화 (출처 : В. А. 트로피닌)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 Карамзин, 1766.12~1826.06)
'러시아의 스턴(русский Стерн)'이라고도 불렸던 감상주의 시대의 러시아의 문학가, 시인, 역사학자. <러시아인 여행자의 편지들(Письма русского путешественника)>, <가련한 리자(Бедная Лиза)> 등의 작품과 <러시아 국가의 역사(러시아 국사, История государства Российского)> 등의 역사서와 <모스크바 저널(Московский журнал)> 등의 문예지로 유명하다. 완벽한 언문일치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교회슬라브어로 쓰인 문학이 좀 더 세련된 프랑스식으로 쓰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언어 개혁을 시작한 인물로도 여겨진다.

1839년의 이반 크릴로프 (출처 : Карл Павлович Брюллов)

이반 안드레예비치 크릴로프(Иван Андреевич Крылов, 1769.02~1844.11)

러시아 문학사상 가장 중요한 우화작가이자, 저널리스트, 출판가, 서지학자. 군인의 아들로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는데, 그로 인해 당시 시 푸카초프의 난(1773~1775)을 진압군 측에서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아버지는 일찍 사망하게 되고, 어린 나이에 하급법원에서 막일을 하며 힘들게 자랐으나, 어머니의 교육을 받으면서도 죽은 아버지가 남긴 책들을 통해 문학, 수학,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를 독학했고, 프랑스어 또한 한 가정교사가 다른 귀족 자제를 가르치는 것을 엿들으며 익혔다고 한다. 안타깝게도 17세가 되자 어머니까지 돌아가시게 된다. 이후 문학에 전념하며 1809년부터 우화를 발표하기 시작한다. 결혼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1846년 크렘린 궁이 내려다보이는 창가에서 붓과 팔레트를 들고 그린 자화상 (출처 : В. А. 트로피닌)

바실리 안드레예비치 트로피닌(Василий Андреевич Тропинин, 1776.03~1857.05)
러시아의 낭만주의 및 사실주의 초상화 대가. 그의 아들과 부인의 초상화뿐 아니라, <레이스 짜는 여인(кружевница, 1823)>, <А. С. 푸시킨의 초상화(Портрет А. С. Пушкина, 1827)> 등도 유명하다.

바실리 주콥스키의 초상화 (출처 : russianliterature.fandom.com)

바실리 안드레이비치 주콥스키(Василий Андреевич Жуковский, 1783.02~1852.04)
러시아 낭만주의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유명한 전기낭만주의 시인, 엘레지, 편지문학, 노래, 로맨스, 발라드, 서사시 등 다양한 작품을 썼으며, 시 및 산문의 번역도 많이 했으며, 문학비평, 교육자로도 알려져 있다. 니콜라이 1세의 황후인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1798.07~1860.11)와 그의 아들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1818.04~1881.03, 후의 알렉산드르 2세)의 멘토였으며, <하느님, 차르를 지켜 주소서!(Боже, Царя храни!, 1815, 1833)>라는 러시아 역사상 2번째 공식적 국가를 만들기도 했다.

콘스탄틴 바튜시코프 (출처 : dzen.ru)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바튜시코프(Константин Николаевич Батюшков, 1787.05~1855.07)
러시아의 시인, 풍자가, 소설가 및 번역가로, 19세기 낭만주의 전통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А. С. 푸시킨의 문학적 전임자로 유명하다. 엘레지 장르 등의 작품을 썼으며, 1815년 아힐(Ахилл)이라는 이름으로 문학단체 아르자마스(Арзамас)에 가입해 활동했다. 한국에서 '바츄시코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파데이 불가린의 초상화 (출처 : rg.ru)

파데이 베네딕토비치 불가린(Фаддей Венедиктович Булгарин, 1789.07~1859.09)
폴란드 혈통의 러시아 작가, 언론인 및 출판인. 그의 신문 작업에 더해, 러시아 소설을 부흥시켰으며, 러시아어로 된 최초의 연극 연감을 출판했다. 그가 살아 있을 때에도 그의 소설 작품들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웨덴어, 폴란드어, 체코어 등으로 번역되는 쾌거를 이루게 되었다.'자연파(натуральная школа)'라는 용어를 비판적인 입장에서 1846년 잡지 <북방의 꿀벌(Северная пчела)>에서 처음 사용했다.

세르게이 악사코프 (출처 : http://litmap.uonb.ru/)

세르게이 티모페예비치 악사코프(Сергей Тимофеевич Аксаков, 1791.10~1859.05)
러시아의 작가, 공무원, 공인, 문학 및 연극 평론가, 회고록 작가, 자연 채집(낚시, 사냥, 나비 수집)에 관한 책들을 쓴 작가. 그의 자녀들인 콘스탄틴 세르게예비치 악사코프(Константин Сергеевич Аксаков), 베라 세르게예브나 악사코브나(Вера Сергеевна Аксакова), 그리고리 세르게예비치 악사코프(Григорий Сергеевич Аксаков), 이반 세르게예비치 악사코프(Иван Сергеевич Аксаков)도 문학가로 유명했다. <손자 바그로프의 유년시절(Детские годы Багрова-внука, 1858)> 등의 작품을 남겼다.

표트르 차다예프 (출처 : rus.team/people)

표트르 야코블례비치 차다예프(Пётр Яковлевич Чаадаев, 1794.06~1856.04)
러시아의 철학자(스스로를 '기독교적 철학자'라고 평가함), 서구주의자이자 사회평론가. <철학적 편지들(Les lettres philosophiques, философические письма, 1828~1830)> 등의 저작으로 유명하다.

1875년에 그려진 알렉산드르 그리보예도프 (출처 : Иван Николаевич Крамской)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그리보예도프(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Грибоедов, 1795.01~1829.02)
러시아의 산문작가, 극작가, 외교관, 언어학자, 역사가, 동양학자, 피아니스트, 작곡가 및 국무위원. 아직도 러시아에서 상영되는 희곡 <지혜의 슬픔(Горе от ума)>으로 유명하며, 이를 포함한 다른 작품들도 후대에 많은 어록을 남기는 등 희곡 분야에서 유명하다.

콘드라티 릴레예프 (출처 : http://deduhova.ru/)

콘드라티 표도로비치 릴레예프(Кондратий Фёдорович Рылеев, 1795.09~1826.07)

러시아의 시인, 사회운동가 겸 데카브리스트. 1825년 데카브리스트의 난을 이끌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결국 처형당했다.  시 <생각들(Думы, 1825)>, 운문 <보이나롭스키(Войнаровский, 1825)>, <날리바이코(Наливайко, 1825, 1888)>로 유명하다.

빌겔름 큐헬베케르 (출처 : culture.ru)

빌겔름 카를로비치 폰 큐헬베케르(Вильгельм Карлович фон Кюхельбекер, 1797.06~1846.08)

러시아의 시인이자 공인. 푸시킨과 바라틴스키의 친구라는 사실과 데카브리스트(Декабрист)였다는 것으로 유명하다. 독일 출신으로 독일식으로는 빌헬름 루트비히 폰 퀴헬베커(Wilhelm Ludwig von Küchelbecker)라고 부른다.

안톤 델비그(출처 : culture.ru)

안톤 안토노비치 델비그(Антон Антонович Дельвиг, 1798.08~1831.01)

러시아의 시인, 문학비평가 및 출판가. 19세기 초 낭만주의 시의 대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친구로도 유명하다. 한국에서 '젤비그'라고도 불린다.

알렉산드르 푸시킨 (출처 : ria.ru/)

알렉산드르 세르게이비치 푸시킨(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Пушкин, 1799.06~1837.02)
러시아 리얼리즘(러시아 사실주의) 운동의 기초를 놓은 러시아 시인, 극작가, 산문작가, 문학평론가, 문학이론가, 역사가, 사회평론가, 저널리스트, 편집자 겸 출판인. 19세기 전반기의 가장 권위 있는 문학가 중 한 명으로, 그의 생애 동안에도 러시아 최고의 시인으로서의 명성은 높았다. 푸시킨은 현대 러시아 문학어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벨킨 이야기>, <스페이드의 여왕>, <예브게니 오네긴>, <작은 비극들>, <대위의 딸> 등 다양한 작품들로 유명하다.

예브게니 바라틴스키 (출처 : culture.ru)

예브게니 아브라모비치 바라틴스키(Евгений Абрамович Баратынский, 1800.03~1844.07)

러시아의 시인, 작가, 번역가. 1820년경 <핀란드(Финляндия)>를 쓰며 알렉산드르 푸시킨, 빌겔름 큐헬베케르, 안톤 델비그, 바실리 주콥스키 등과 친해지게 되는데, 특히 푸시킨과 절친이 된다. 엘레지 장르 등의 작품을 썼으며, 그의 성을 '보라틴스키(Боратынский)'라고도 한다.

블라디미르 달리 (출처 : culture.ru/persons)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달리(Владимир Иванович Даль, 1801.11~1872.10)
러시아의 작가, 민족지학자, 사전편찬자, 민속수집가 겸 군의관. <페테르부르크의 문지기(Петербургский дворник)>, <가난한 소년(Бедный мальчик)> 등의 작품도 유명하지만, 그를 대표하는 저작은 <살아있는 대러시아어 설명 사전(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живого великорусского языка)>으로 꼽을 수 있다.

표도르 튜체프 (출처 : culture.ru)

표도르 이바노비치 튜체프(Фёдор Иванович Тютчев,1803.12~1873.07)

러시아의 사상사, 서정시인, 번역가, 외교관 및 공무원. 보수주의 성향의 공무원이었다. 낭만주의 사조의 작품들을 주로 썼으며, 철학적인 내용도 많이 썼다. 한국에선 '츄체프'라고도 한다.

알렉세이 호먀코프 (출처 : biblioclub.ru/)

알렉세이 스테파노비치 호먀코프(Алексей Степанович Хомяков, 1804.05~1860.10)
러시아의 시인, 예술가, 사회평론가, 신학자, 철학자 및 초기슬라브주의자.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활약했다.

블라디미르 코르닐로프 (출처 : https://vk.com/)

블라디미르 알렉세예비치 코르닐로프(Владимир Алексеевич Корнилов, 1806.02.~1854.10.)

러시아 해군 장교. 흑해 함대 총사령관(1850~1854) 등의 직책 맡았으며, 캅카스 전쟁(Кавказская война, 1817~1864), 세바스토폴 공방전(Оборона Севастополя, 1854~1855) 등의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으나 요새방위를 지휘하다 중상을 입고 결국 그 상처로 사망하게 된다. 훗날 조선 아관파천(1896)에 참가한 방호순양함 아드미럴 코르닐로프(Адмирал Корнилов, 1887~1911)이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8473년경 С. П. 포스트니코프가 그린 알렉산드르 이바노프의 초상화 (출처 : С. П. Постников)

알렉산드르 안드레예비치 이바노프(Александр Андреевич Иванов, 1806.07~1868.07.)

러시아 미술사에서 고전파의 마지막 화가로 알려졌으며, 성경과 고대 신화에 바탕을 둔 작품을 처음 그리기 시작한 상징적인 화가. <사람들에게 나타난 그리스도(Явление Христа народу, 1857)>와 같은 그림으로 유명하다.

니콜라이 고골 (출처 : culture.ru)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Николай Васильевич Гоголь, 1809.04~1852.03)
귀족가문 고골-야놉스키예(Гоголь-Яновские) 출신의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문학의 대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는 산문 작가, 극작가, 비평가, 사회평론가 및 슬라브주의자. В. 벨린스키(В. Белинский)와 Н. 체르니셉스키(Н. Чернышевский)에 따르면, 그는 1840년대 '자연파'의 문학 방향을 이끌던 문학가로, 현대의 많은 학자들은 고골이 러시아와 세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여길 정도로 대단한 사람이었다고 본다. 실제로 미하일 불가코프,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플래너리 오코너, 프란츠 카프카 등이 고골의 영향을 받았다고 인정했다. <넵스키 거리(Невский проспект, 1835)>, <광인일기(Записки сумасшедшего, 1835)>, <타라스 불바(Тарас Бульба, 1835)>, <초상화(Портрет, 1835, 1842)>, <코(Нос, 1836)>, <검찰관(Ревизор, 1836)>, <죽은 영혼(죽은 혼, 죽은 농노, Мёртвые души, 1842)>, <외투(шинель, 1843)> 등의 작품들로 유명하다.

알렉산드라 스미르노바 (출처 : old.bigenc.ru)

알렉산드라 오시노브나 스미르노바(Александра Осиповна Смирнова, 1809.03~1882.07)
러시아 황실의 여관(фрейлина)이자 회고록작가로, А. С. 푸시킨(А. С. Пушкин), В. А. 주콥스키(В. А. Жуковский), М. Ю. 레르몬토프(М. Ю. Лермонтов) 등 당대 귀족 문학가들의 친구로, 특히 Н. В. 고골(Н. В. Гоголь)의 절친이었다고 한다. 그녀는 19세기 전반의 러시아 사회에 대해 솔직하면서도 신랄하지만, 항상 믿을만한 기억으로 여겨지진 않는 흥미로운 내용으로 작품을 써 내려갔다.

비사리온 벨린스키 (출처 : bigenc.ru)

비사리온 그리고리예비치 벨린스키(Виссарион Григорьевич Белинский, 1811.06~1848.06)
러시아의 문학비평가, 사회평론가, 이론가 겸 서구주의자. 사회가. 검열이 덜 한 지역에서 많은 문학비평을 썼으며, 개인주의보다 사회를 우선한다는 슬라브주의(Славянофильство)의 생각에 일부 동의하지만, 그 사회가 개인의 사상과 권리의 표현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성과 지식을 강조했고, 독재 정치와 신정 정치를 강력히 비판해, 당시 러시아정교회와 슬라브주의자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았다.

1867년 니콜라이 게가 그린 알렉산드르 게르첸의 초상화 (출처 : Николай Ге)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게르첸(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Герцен, 1812.04.~1870.1.)

러시아의 혁명 홍보가, 작가, 교사 겸 철학자. 사회주의 변혁을 옹호하는 러시아의 군주제에 대한 극좌정치인이자 비평가 중 한 명이었다. 혁명을 옹호하던 주간지 <종(Колокол)>과 <극성(Полярная звезда)>의 발행인이었다. <누가 죄 있는가?(Кто виноват?, 1846)>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이반 곤차로프 (출처 : culture.ru/)

이반 알렉산드로비치 곤차로프(Ива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Гончаров, 1812.06~1891.09)
러시아의 작가이자 문학비평가로, <평범한 이야기(Обыкновенная история, 1847)>, <팔라다 호(Фрегат Паллада, 1858)>, <오블로모프(Обломов, 1859)>, 단애(절벽, Обрыв, 1869)>, 희곡 <지혜의 슬픔(Горе от ума)>에 관한 평론 <비참한 괴로움(мильон терзаний, 1872)> 등의 작품을 썼다.

파벨 안넨코프 (출처 : kudamoscow.ru/event)

파벨 바실리예비치 안넨코프(Павел Васильевич Анненков, 1813.07~1887.03)
러시아 문학 평론가, 문학역사가, 겸 안넨코프 가문의 회고록가로, 장군 이반 바실리예비치 안넨코프(Иван Васильевич Анненков)의 형. 19세기 러시아 작가의 세대교체를 목격하여 문학 발전의 이정표 일부를 포착해, 니콜라이 고골, 이반 투르게네프, 비사리온 벨린스키, 알렉산드르 게르첸 등 변하는 문학계의 인사들의 원고, 편지, 작품 초안 등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썼는데, 특히, 푸시킨 등의 생애에 대한 작품으로 유명하다.

미하일 레르몬토프 (출처 : litres.ru)

미하일 유리예비치 레르몬토프(Михаил Юрьевич Лермонтов, 1814.10~1841.07)
러시아의 시인, 산문작가, 극작가, 예술가 겸 후사르 근위 연대(Гусарский Его Величества лейб-гвардии полк) 중위.  그의 작품은 러시아 사회의 영적인 삶에 대한 시급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시민적, 철학적, 개인적 동기를 결합한 작품으로, 19~20세기의 가장 저명한 러시아 작가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그의 작품은 후에 극, 영화 분야에서 큰 인기를 얻게 된다. 시 <캅카스의 포로(Кавказский пленник, 1828)>, <악마(Демон, 1842)>와 극 <가면무도회(Маскарад, 1842)>, 소설 <우리 시대의 영웅(Герой нашего времени, 1840)> 등이 유명하다.

1898년에 찍은 마리우스 페티파의 사진 (출처 : wikimedia)

빅토르 마리우스 알퐁스 프티파(Victor Marius Alphonse Petipa, 1818.03.~1910.07.)

프랑스 출신의 러시아 발레 독무가 겸 연극활동가 및 교사. 1818년 3월 프랑스의 발레리노 장 앙투안 프티파(Jean-Antoine Petipa, 1787~1855)와 드라마 배우 빅토린 모렐-그라스(Victorine Morel-Grasseau)의 아들로 태어나 어릴 때부터 다른 형제와 함께 발레 수업을 받았다. 젊었을 때 아버지와 함께 프랑스, 미국, 스페인 등을 순회하며 공연했다가 1847년 러시아 당국의 초청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오게 된다. 그렇게 러시아의 안무가로 데뷔하게 되며, 발레 활동과 안무가의 활동을 쭉 해오며, 러시아에서 고전 발레 형식을 완성시키며 러시아의 발레를 유명하게 만든 장본인이 된다. 러시아어로는 '마리우스 이바노비치 페티파(Мариус Иванович Петипа)'라고 한다. <잠자는 숲속의 미녀(Спящая красавица)> 등의 안무를 완성했다.

이반 투르게네프 (출처 : priazovskoe.ru)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Иван Сергеевич Тургенев, 1818.11~1883.09)
러시아의 현실주의(리얼리즘) 작가, 시인, 사회평론가, 극작가, 산문작가, 번역가 및 서구주의자로, 19세기 후반 러시아 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한 대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호리와 칼리니치(Хорь и Калиныч, 1847)>, <사냥꾼의 수기(Записки охотника, 1852)>, <무무(Муму, 1854)>, <귀족의 둥지(Дворянское гнездо, 1859)>, <첫사랑(Первая любовь, 1860')>, <아버지와 아들(Отцы и дети, 1862)>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니콜라이 네크라소프 (출처 : culture.ru/)

니콜라이 알렉세예비치 네크라소프(Николай Алексеевич Некрасов, 1821.10~1878.01)
러시아의 시인, 산문작가 겸 사회평론가이자 러시아 문학의 대가. 스스로를 '혁명적 민주주의자'라고 여겼다. 1847년부터 1866년까지 문학지 <동시대인(Современник)>의 책임자로 있었다가, 1868년부터 문학지 <조국수기(Отечественные записки)>의 편집장이 되었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출처 : azbooka.ru)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Фёдор Михайлович Достоевский, 1821.11~1881.02)
러시아의  작가, 사상가, 철학자, 사회평론가 겸 슬라브주의자. 세계 문학의 대가로 존경받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가난한 사람들(Бедные люди, 1846)>, <분신(이중인격, Двойник, 1846)>, <프로하르친씨(Господин Прохарчин, 1846)>, <지하로부터의 수기(Записки из подполья, 1864)>, <죄와 벌(Преступление и наказание, 1866)>, <백치(Идиот, 1868)>, <악령(Бесы, 1872)>, <미성년(Подросток, 1875)>, <카라마조프의 형제들(Братья Карамазовы 1880)>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드미트리 그리고로비치 (출처 : http://litmap.uonb.ru/)

드미트리 바실리예비치 그리고로비치(Дмитрий Васильевич Григорович, 1822.03~1900.01)
러시아 아버지와 프랑스 출신 어머니에게서 자란 러시아의 작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와 만나 문학에 대해 갈망하게 되며 문학가의 길을 밟게 된다. <페테르부르크의 풍금 장수들(Петербургские шарманщики, 1845)>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1871년의 알렉산드르 오스트롭스키(출처 : Василий Перов)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오스트롭스키(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Островский, 1823.04~1886.06)

러시아의 국민 연극 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한 러시아의 각본가. 아버지의 영향으로 모스크바 대학 법학부에서 법을 공부해 법원 가정재판소 등에서 근무하면서 작품을 쓰기 시작했는데, 주로 상인계나 부패한 귀족사회를 주제로 한 작품을 썼다. 작품을 쓰면서 니콜라이 네크라소프, 이반 투르게네프 등과 친분을 쌓게 된다. <폭풍(Гроза, 1859)> 등의 작품이 유명하다. 

1879년의 미하일 살티코프셰드린 (출처 : Иван Николаевич Крамской)

미하일 예프그라포비치 살티코프셰드린(Михаил Евграфович Салтыков-Щедрин, 1826.01~1889.05)

19세기 러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풍자가 중 한 명인 러시아 작가, 언론인, 정치가. 랴잔(Рязанская губерния) 부현지사, 트베리(Тверская губерния) 부현지사. 지방 지주 집안에서 태어나 농노에 대한 지주의 횡포와 농노제의 불합리를 겪으며 성장한 그는 <얽힌 사건(Запутанное дело, 1848)>를 발표하면서 정부에 의해 좌천되었는데, 오히려 이로 인해 당시 반정부 세력을 탄압하던 일에서 벗어나며 작품에 전념하게 된다. 이후에도 경찰국가, 언론인, 러시아 정교회의 종교인 등을 풍자하는 작품들을 죽을 때까지 썼다고 한다.

니콜라이 체르니솁스키 (출처 : culture.ru)

니콜라이 가브릴로비치 체르니솁스키(Николай Гаврилович Чернышевский, 1828.07~1889.10
러시아의 문학비평가, 혁명민주주의자, 공상적 사회주의자, 유물론자, 사회평론가 겸 작가. <무엇을 할 것인가?(Что делать?, 1863)>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며, 그의 작품은 블라디미르 레닌과 엠마 골드만 등 사회주의자와 혁명가들의 견해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실제로, 카를 마르크스 또한 그의 작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세르비아 사회주의자 스베토자르 마르코비치(Светозар Маркович)와도 가까웠다고 한다.

레프 톨스토이 (출처 : bookmix.ru)

레프 니콜라이비치 톨스토이(Лев Николаевич Толстой, 1828.09~1910.11)
러시아의 작가이자 사상가로,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소설과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유년시대(Детство, 1852)>, <소년시대(Отрочество, 1854)>, <청년시대(Юность, 1857)>, <카자크(Казаки, 1863)>, <전쟁과 평화(Война и мир, 1865~1869)>, <안나 카레니나(1875~1877)>, <이반 일리치의 죽음(Смерть Ивана Ильича, 1886)>, <크로이체르 소나타(Крейцерова соната, 1889)>, <부활(Воскресение, 1899)>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1894년에 В. А. 세로프(В. А. Серов)가 그린 니콜라이 레스코프의 초상화(출처 : В. А. Серов)

니콜라이 세묘노비치 레스코프(Николай Семёнович Лесков, 1831.02~1895.03)

러시아의 작가, 사회평론가, 문학평론가. 오랫동안 М. 스테브니츠키(М. Стебницкий)라는 필명을 썼었다. 그는 성직자들의 전통과 복수심을 반영한 작품들을 주로 썼는데, 이러한 특징은 실생활의 경험에서 나온 것들이었다. 사회의 모순을 날카롭게 비판한 작품들이 정부의 눈에 들어가 검열과 출판 금지를 종종 당했다고 한다. <봉인된 천사(Запечатленный ангел, 1873)>, <마법에 걸린 순례자(Очарованный странник, 1873)> 등의 작품을 썼으며, 정부에 의해 그의 장례식에서 일체의 연설이 금지되었다고 한다.

니콜라이 도브로류보프 (출처 : culture.ru)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도브로류보프(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Добролюбов, 1836.02~1861.11)
1850년대와 1860년대 러시아 문학 평론가 겸 시인, 사회평론가, 시민평론가. '혁명적 민주주의(революционная демократия)'의 대표 주자이며, <오블로모프기질이란 무엇인가?(Что такое обломовщина?, 1859)>라는 비평으로 유명하다.

표트르 차이콥스키 (출처 : belcanto.ru)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Пётр Ильич Чайковский, 1840.05.~1893.11.)

러시아의 작곡가, 교사, 지휘자 겸 음악평론가. <예브게니 오네긴(Евгений Онегин)>, <마제파(Мазепа)>, <스페이드의 여왕(Пиковая дама)>, <이올란타(Иоланта)> 등의 10개의 오페라, <백조의 호수(Лебединое озеро)>, <잠자는 숲속의 미녀(Спящая красавица)>, <호두까기 인형(Щелкунчик)> 등 3개의 발레, <교향곡 1번(Симфония № 1)>, <교향곡 2번(Симфония № 2)>, <교향곡 3번(Симфония № 3)>, <교향곡 4번(Симфония № 4)>, <만프레드(Манфред)>, <교향곡 5번(Симфония № 5)> <삶(Жизнь)>, <교향곡 6번(Симфония № 6)>, <교향곡 내림마장조(Симфония ми-бемоль мажор)> 등 7개의 교향곡, 104개의 로맨스, 그 외 다수의 프로그램 교향곡 작품, 콘서트 및 실내악 앙상블, 합창 작품, 칸타타, 피아노 미니어처 등 다양한 장르의 많은 작품들을 냈다. 그 뿐 아니라 힘센 무리(Могучая Кучка, 러시아 5인조)의 작곡가로서 도움을 주기도 하며 러시아 및 세계 음악계에 큰 공헌을 했고, 음악적 낭만주의의 대표주자가 된다.

카를 베베르와 독일 라데보일에 있는 그의 묘 (출처 : earthwow)

카를 이바노비치 베베르(Карл Иванович Вебер, 1841.06.~1910.01.)

러시아의 외교관 겸 한국학자인 독일계 중산층 러시아인 출신. 조선 및 대한제국의 고종과 친한 사이였다고 한다. 황립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외교관으로 일했는데, 어릴 때부터 아시아사에 관심이 많았기에 베이징에서 일을 시작했으며, 1882년부터는 톈진 러시아 영사로 활동한다. 독일인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로프(Paul Georg von Möllendorff, 1848~1901)의 도움을 받아 1884년 <조로수호통상조약(Российско-корейский договор 1884 года)>을 체결했으며, 그로 인해 그 해 4월 한양으로 입성해 1885년부터 1897년까지 최초의 주한 러시아 총영사로 근무했다. 을미사변 직후 고종을 미국 공사관으로 옮기려 하다 실패한 춘생문 사건을 일으켰으며, 이후 아관파천을 도왔고, 일본과 러시아의 한반도 내 영향력을 서로 어느 정도 인정하게 되는 <베베르-고무라 각서>를 직접 체결시키기도 했다. 이후 임기를 반강제로 마치게 되어 고국으로 돌아갔으나 1902년 니콜라이 2세의 명령으로 고종에게 성안드레이 훈장을 수여하고 1903년 5월까지 한양에 머물다가 귀국하여 <한국어와 한국 한자 읽기에 관하여(О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и корейском чтении китайских иероглифов, 1908)>, <한국 전도시의 필사본(Пробная транскрипция всех городов Кореи, 1908)> 등의 저술활동을 하며 삶을 마감한다. 

И. Е. 레핀이 1898년에 그린 아나톨리 코니의 초상화

아나톨리 표도로비치 코니(Анатолий Фёдорович Кони, 1844.02~1927.09)
러시아의 변호사, 판사, 정치가, 공인, 작가, 사법연설가 겸 사회활동가로, 톨스토이의 친구로 알려져 있다. 그의 한 이야기를 들은 톨스토이는 <부활>을 집필하게 된다.

1873년에 그린 빅토르 바센초프의 자화상 (출처 : Виктор Васнецов)

빅토르 미하일로비치 바센초프(Виктор Михайлович Васнецов, 1848.05.~1926.07.)

러시아 및 소련의 예술가, 건축가, 역사 및 민속 그림의 대가. 민속과 상징주의와 관련된 역사적 장르와 낭만적 경향에서 변형된 신러시아 스타일(неорусский стиль)의 창시자였으며, 그의 예술은 러시아 미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참고로, 화가 아폴리나리 바스네초프(Аполлинарий Васнецов, 1856~1933)의 형이었다. <용사들(Богатыри, 1898)>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드미트리 츠베타예프 (출처 : relstud-hist.spbu.ru)

드미트리 블라디미로비치 츠베타예프(Дмит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Цветаев, 1852~1920)

러시아의 역사학자 겸 법무부 및 모스크바 문서보관소의 관리자로, 차르 바실리 4세(1552~1612)에 대한 기록을 정리한 인물로 유명하다. 사제 아버지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 츠베타예프(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Цветаев)와 어머니 예카테리나 바실리예바(Екатерина Васильева)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릴 때부터 신학교 과정을 밟았었다가 러시아어, 언어학, 교육학 등을 배웠으며, 한동안 모스크바 대학의 조교수로 일하게 된다. 그러다 1887년부터 바르샤바 대학의 러시아사학과의 교수로 있었으며, 모스크바 대학의 교수까지 된다. 이후 모스크바 법무부 기록관리소의 관리자로 있다가 1920년에 사망하게 된다. 시인 마리나 츠베타예바의 아버지 이반 블라디미로비치 츠베타예프(Иван Владимирович Цветаев)의 형이자, 마리나 츠베타예바의 큰아버지이다.

1898년의 작업 중인 미하일 브루벨의 사진 (출처 : http://www.bibliotekar.ru/rusVrubel/index.files/image002.jpg)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브루벨(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рубель, 1856.03~1910.04)

19~20세기에 활동한 러시아의 화가. 회화, 도식, 응용미술, 조각, 극미술 등 거의 미술 전 분야에서 활동했다. <앉아있는 악마(Демон сидящий, 1890)>, <백조 공주(Царевна-Лебедь, 1900)>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안톤 체호프의 초상화 복원도(출처 : samsmu.ru)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Антон Павлович Чехов, 1860.01~1904.07)
러시아의 산문작가, 극작가, 사회평론가, 의사 겸 자선 분야의 공인. 고전 문학의 대가로 알려져 있으며, 19세기의 대부분의 작가들과는 달리 할아버지가 농노 출신이었다가 몸값을 지불하고 평민이 된 평민 계층 출신이면서 생계를 우선시 하는 삶을 살았으며 의사 출신으로 농촌에서 무료 진료 활동을 하기도 했다. 한편, 자유연애로 다양한 육체적 관계를 맺었는데, 특히 그와 교제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여자들을 '투르게네프의 아가씨(Тургеневская девушка)'와 대비되는 '체홉의 여성(чеховская женщина)'라고 부른다. 단편소설 <악몽(공포, кошмар, 1886)>, <내기(пари, 1889)>, <사랑에 대하여(О любви, 1898)>, <개를 데리고 있는 여인(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 Дама с собачкой, 1899)>, 희곡 <갈매기(Чайка, 1896)>, <바냐 아저씨(Дядя Ваня, 1897)>, <세 자매(Три сестры, 1901)>, <벚꽃 동산(Вишнёвый сад, 1904)> 등이 유명하다.

1899년의 이삭 레비탄의 사진 (출처 : http://levitan-world.ru/)

이삭 일리치 레비탄(Исаак Ильич Левитан, 1860.08~1900.08.)

유대인 출신의 러시아의 개혁이후시대(пореформенная эпоха)의 가장 유명한 풍경화가 및 스케치화가. <고요한 수도원(Тихая обитель, 1890)>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콘스탄틴 세르게예비치 스타니슬랍스키(Константин Сергеевич Станиславский, 1863.01~1938.08)
러시아 및 소련의 연극연출가, 배우, 교육자, 이론가, 극장 개혁가. 100년 동안 러시아와 전 세계에서 큰 인기를 누리는 유명한 연기 체계의 창시자로 유명하며,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와 함께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설립자로도 유명하다.

발렌틴 세로프 (출처 : rus.team)

발렌틴 알렉산드로비치 세로프(Валенти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еров, 1865.01~1911.12.)
러시아의 화가. 19~20세기 러시아 아르누보(Art Nouveau)의 주요 초상화가 중 한 명으로, <복숭아를 든 소녀(Девочка с персиками, 1887)>, <햇살을 받으며 앉아 있는 소녀(Девушка, освещённая солнцем, 1888)>, <10월.도모트카노보(Октябрь. Домотканово, 1895)>, <니콜라이 2세(Николай II, 1900)>, < И. Е. 레핀(И. Е. Репин, 1901)> 등의 초상화로 유명하다.

바실리 칸딘스키 (출처 : culture.ru)

바실리 바실리예비치 칸딘스키(Василий Васильевич Кандинский, 1866.12~1944.12)
추상화(추상미술)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러시아의 예술가 및 시각예술이론가로, 청기사파(Синий всадник)의 창립멤버 중 한 명이었다. <청기사(Der Blaue Reiter, 1903)>, <구성 VII(композиция VII, 1913)>, <구성 VIII(композиция VIII, 1923)> 등의 작품이 유명하다.

1926년 이탈리아에서 찍은 '막심 고리키'의 사진 (출처 : &amp;amp;amp;Eacute;ditions Rieder)

막심 고리키(Максим Горький, 1868.03~1936.06)
실명이 알렉세이 막시모비치 페시코프(Алексей Максимович Пешков)인 러시아 및 소비에트의 작가, 시인, 산문가, 극작가, 저널리스트, 공인이자 사회평론가. <유년시대(Детство)>, <어머니> 등의 작품이 유명하다.

세르게이 댜길레프 (출처 : George Grantham Bain Collection)

세르게이 파블로비치 댜길레프(Сергей Павлович Дягилев, 1872.03.~1929.08.)

러시아 극작가, 예술가 및 자선가. <예술세계(Мир искусства)>의 창립자로도 유명하지만 서구에서 최초로 공인된 동성애자로도 알려져있다. 다양한 사업체를 가지고 있던 군인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의 법학부와 음악원에서 수학해 예술 전시회를 개최하며 예술적 커리어를 쌓아갔다. 19~20세기초 유럽과 세계에 러시아 예술의 대중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많은 재능있는 발레리나, 작곡가, 예술가 등을 발굴해냈다. 1917년 혁명 이후 그의 극단은 러시아와의 접촉을 중단하고 1929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그의 이름으로 활동을 지속했다. 

1914년  П. К. 오스트로우모프(П. К. Остроумов)가 찍은 알렉세이 시추예프

알렉세이 빅토로비치 시추예프(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Щусев, 1873.10~1949.05)

러시아와 소련의 건축가. 혁명 직전의 신러시아 스타일(неорусский стиль), 1920년대의 건설주의(конструктивизм), 1930년대의 스탈린 건축(сталинская архитектура) 등 소련 초중기의 3대 건축기에서 모두 성공한 유일한 건축가로 알려져 있다. 아쉽게도 1937년에 선전의 표적이 되며, 더 이상 건축 활동을 할 수 없었으나, 일 년 뒤 소련과학아카데미 수석건축가로 다시 일하게 되며 죽을 때까지 건축에 전념했다. 키예프 페체르스크 수도원 트라페즈나 교회(Трапезная церковь Киево-Печерской лавры, 1895~), 트로이츠키 사원(Троицкий собор), 제1목조묘(레닌 무덤, Первый деревянный мавзолей)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카지미르 말례비치와 그의 대표적인 작품 <검은 정사각형(검은 사각형, Черный квадрат, 1915)> (출처 : news.obozrevatel.com)

카지미르 세베리노비치 말레비치(Казимир Северинович Малевич, 1879.02~1935.05)

폴란드 출신의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및 소련의 작가이면서 아방가르드 작가, 교육자, 미술이론가 겸 철학자. 그는 추상주의의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인 쉬프레마티슴(절대주의, супрематизм)의 창시자였으며, <칼 가는 사람(Точильщик, 1912)>, <검은 정사각형(검은 사각형, Чёрный квадрат, 1915)>, <절대주의 구성(Супрема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1916)>, <흰색 위의 흰색(Белое на белом, 1918)>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미하일 포킨 (출처 : dancetabs.com/)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포킨(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Фокин, 1880.04.~1942.08.)

러시아 및 미국의 발레리나 겸 안무가. 20세기 고전낭만발레의 창시자로, 발레리나 안나 파블로바와 예술평론가 세르게이 댜길레프 등과 많은 작업을 함께했다. '남자가 발레?!?!'라고 생각할 정도로 아들을 춤추게 하는 것을 싫어했던 상인가문 출신의 아버지와 극장을 매우 좋아했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어머니가 몰래 1889년, '황립 연극 학교(Императорская театральная школа)'에 입학시키면서 아버지의 어쩔 수 없는 인정을 받고 예술계로 들어가게 된다. 1989년 학교를 졸업한 후 마린스키 극장의 발레단에 입학해 다양한 발레 활동을 했으며, 1905년 업무를 함께 할 든든한 동반자인 댄서였던 베라 안토노바(Вера Антонова, 1886~1958)와 결혼하게 된다. 이후 안무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냈는데, 러시아 국내뿐 아니라 유럽 등 해외에서도 많은 작품을 연출하여 전유럽적으로 큰 인기를 끌게 된다. 1914년부터 1918년까지 마린스키 극장에서 일을 했다가, 10월 혁명 이후 이민을 선택하고 가족과 스웨덴 스톡홀름으로 떠나면서 유럽 지역을 돌며 안무가로서 일한다. 이후 1919년  미국으로 이주하게 되며 그곳에서 미국 최초의 발레 학교를 열었고, 발레단까지 창설한다.

알렉산드르 블로크 (출처 : culture.ru/persons)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블로크(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лок, 1880.11.~1921.08.)

러시아 은세기 작가, 러시아 및 소련의 작가, 사회평론가, 극작가, 번역가 겸 문학평론가. 20세기 러시아 문학의 고전 러시아 상징주의의 대표자로 유명하다. 변호사 겸 정치인인 아버지와 대학 학장의 딸 어머니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가 좋지 않아 이혼하고 그는 엄마와  함께 새로운 가정에 들어가게 된다. 불행 중 다행인지 그의 성은 원래 아버지의 성을 그대로 받았다고 한다. 5살 때 첫 시를 썼고, 10살에 이미 잡지를 창간하는 등 어릴 때부터 문학에 소질을 보였다. 1897년, 그가 16살때 독일의 휴양지 바트 나우하임(Bad Nauheim)에서 머물 때, 37살의 크세니야 사돕스카야(Ксения Садовская)에게 첫사랑에 빠지는데, 그의 작품에는 그녀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녹아들게 된다. 1898년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여름에 후에 결혼할 화학자 드미트리 이바노비치 멘델레예프(Дмитрий Иванович Менделеев)의 딸 류보프 드미트리예브나 멘델레예브나(Любовь Дмитриевна Менделеева, 1881~1939)와 함께 공부했으며, 그렇게 법대에 입학하지만, 3년 후 역사와 언어학을 공부하며 다양한 문학인, 사회인들과 만나게 된다. 1903년, 류보프 드미트리예브나 멘델레예브나와 결혼했고, 블로크 역시 그녀를 매우 사랑했지만, 공공연히 다른 여자를 만나기도 했다. 다행히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둘의 관계는 좋아져, 바람을 피우지 않았다고 한다. 전쟁 중이던 1917년, 2월 혁명으로 군주제가 무너졌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는데, 어려운 시기에 조국 러시아와 함께 있어야 한다며 이민은 가지 않았으며, 10월 혁명 또한 열정적으로 받아들였으나, 이 자체를 자발적인 반란으로 여겼다. 어찌되었든 그는 소련 정부를 받아들여 그를 위해 일하기로 결정한 페트로그라드 예술계(искусство Петрограда)에 속했으며, 그렇게 휴가조차 허용되지 않던 학살적인 업무와 제대로 되지 않은 식량 배급으로 결국 지치게 되었는데, 그렇게 1927년 심내막염으로 사망한다. 한국어로 표기할 때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블록'이라고도 쓴다.

1910년 아스피시아 공주 역을 맡았을 때 찍은 안나 파블로바의 사진(출처 : Фишер К.А.)

안나 파블로브나 파블로바(Анна Павловна Павлова, 1881.02.~1931.01.)
러시아의 유명한 발레리나로, 1906년부터 1913년까지 마린스키 극장의 프리마 발레리나로 있었던 20세기 가장 위대한 발레리나.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 후, 영국에 정착하여 자신의 극단과 함께 전 세계 40개국 이상을 돌며 순회공연을 했는데, 이때 발레라는 것을 처음 접한 나라들도 많았으며, 그로 인해 러시아 발레가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게 된다. 특히 그가 공연한 <죽어가는 백조(Умирающий лебедь)>는 아직도 유명하며, 러시아 발레학교의 가장 높은 기준 중 하나가 되었다.

알렉세이 톨스토이 (출처 : Russian Academy of Sciences)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Алексей Николаевич Толстой, 1883.01.~1945.02.)

러시아 및 소련의 작가(사회심리학소설, 역사소설, 공상과학소설, 단편소설, 저널리즘 작품), 톨스토이 가문의 공인.

아버지는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톨스토이(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олстой, 1849~1900)이다.

표도르 글라드코프 (출처 : uramdb.ru/writters/writter)

표도르 바실리예비치 글라드코프(Фёдор Васильевич Гладков, 1883.06~1958.12)
러시아 및 소련의 작가, 언론인, 전쟁특파원 겸 교육자.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고전으로 대표되는 작가이다.

예브게니 자먀틴 (출처 : mirbiblio)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자먀틴(Евгений Иванович Замятин, 1884.02~1937.03)
러시아 및 소련의 작가, 사회평론가, 문학비평가, 영화시나리오작가, 해양 엔지니어, 교육자 겸 철학자. <변경에서(На куличках, 1913)>, <섬사람들(Островитяне, 1917)>  풍자소설 <우리(Мы, 1920)>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소피야 파르노크 (출처 : sadalskij.livejournal.com/)

소피야 야코블레브나 파르노크(София Яковлевна Парнок, 1885.08.~1933.08.)

러시아 및 소련의 시인, 저널리스트 겸 번역가. 6살 때부터 독특한 자기만의 방식으로 시를 썼으며, 이후 유대인 정체성을 가지고, 동성애자였던 것도 알아차리게 된다. 실제로 7번의 동성연애경험과 관련된 작품도 내어 '러시아의 사포(Sappho)'로 불리기도 했다.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1905년 제네바로 이주하여 음악 공부를 하려고 했지만 실패하고 모스크바로 돌아왔고, 아버지의 통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1906년 가명으로 첫 시집을 출판하고, 1907년엔 결혼도 했으나, 2년이 안되어 그 결혼 생활에서 벗어난다. 이후 1913년부터 여성과만 관계를 맺는데, 마리나 츠베타예바, 류드밀라 블라디미로브나 에라르스카야(Людмила Владимировна Эрарская, 1890~1964), 올가 니콜라예브나 추베르빌레르(Ольга Николаевна Цубербиллер, 1885~1975, 마리야 페트로브나 막사코바(Мария Петровна Максакова, 1902~1974), 니나 예브게녜브나 베덴예바(Нина Евгеньевна Веденеева, 1882~1955) 등 유명한 예능인, 과학자들과 깊은 관계를 가지기도 했다. 아쉽게도 그런 성향으로 1928년부터 그의 작품은 금지되었고, 1933년 질병으로 사망한다.

베라 포키나 (출처 : wikimedia)

베라 페트로브나 포키나(Вера Петровна Фокина, 1886.08.~1958.07.)

러시아의 발레리나. 결혼 전 이름은 베라 페트로브나 안토노바(Вера Петровна Антонова)로, 황립연극학교(Императорское театральное училище)를 졸업하고, 1904년 마린스키 극장에서 일하게 된다. 1905년 발레리노이자 안무가 미하일 포킨과 결혼했고, 그 인연으로 댜길레프 러시아 발레단에서 미하일 포킨과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같은 해 에 아들 비탈리 미하일로비치 포킨(Виталий Михайлович Фокин, 1905~1977)을 출산했다. 그 이후에도 다양한 활동을 했으며, 남편을 따라 미국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삶을 마감하게 된다. 

발레 <세헤라자데(Шахеразада)>에 등장한 바츨라프 니진스키(출처 : strannik17)

바츨라프 포미치 니진스키(Вацлав Фомич Нижинский, Wacław Niżyński, 1889.03.~1950.04.)

폴란드 출신의 러시아 무용가, 안무가, 발레리나 및 댄스혁신가. 댜길레프 러시아 발레단(디아길레프 러시아 발레단, Русский балет Дягилева)의 주요 멤버였으며, 발레리나 브로니슬라바 니진스키(Бронислава Нижинская, 1891~1972)의 오빠였다. 그는 시대를 앞서간 파격적인 발레를 선보였는데, 특히 <봄의 제전(Весна священная)>, <목신의 오후 휴식(Послеполуденный отдых фавна)>, <유희(Игры)>, <틸 오일렌슈피겔(Тиль Уленшпигель)> 등이 유명하다. 그러나 너무 시대를 앞서 가서 그런지 결국 황실의 요청으로 해고당했고, 댜길레프 밑에서 안무 활동을 하였으나, 남미 순회 공연에서 결혼한 것을 계기로 짤리게 되어 발레계에서 고립되었으며 그렇게 조현병 진단을 받고 부인의 간호를 받다가 사망한다.  

안나 아흐마토바 (출처 : culture.ru/persons)

안나 안드레예브나 아흐마토바(Анна Андреевна Ахматова, 1889.06~1966.03)

그녀는 20세기 러시아 문학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인 은세기 러시아 시인. 1965년과 1966년에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다.Вацлав Фомич Нижинский, Wacław Niżyński, 1889.03.~1950.04.)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출처 : culture.ru/persons)

보리스 레오니도비치 파스테르나크(Борис Леонидович Пастернак, 1890.02~1960.05)
러시아 및 소련의 시인, 작가, 번역가로,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러시아 시인들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닥터 지바고(1957)>를 출판했고 이 소설로 인해 1958년 노벨문학상을 소련 최초로 받게 된다.

일리야 에렌부르크 (출처 : book-hall.ru)

일리야 그리고리예비치 에렌부르크(Илья Григорьевич Эренбург, 1891.01~1967.08)
러시아 및 소련의 작가, 시인, 홍보인, 언론인, 종군기자, 번역가(프랑스어와 에스파냐어), 공인이자 사진가. 1908년부터 1917년까지, 그리고 1921년부터 1940년까지 그는 망명 생활을 했으며 1940년부터 고향인 소련에서 살게 된다. <해빙(Оттепель, 1954)>으로 유명하다.

1928년에 찍은 미하일 불가코프 사진 (출처 : proza.ru)

미하일 아파나시예비치 불가코프(Михаил Афанасьевич Булгаков, 1891.05~1940.03)
러시아와 소련의 작가, 의사, 극작가, 연극 감독 배우로, <개의 심장(Собачье сердце)>, <젊은 의사의 수기(Записки юного врача)>, <극장소설(Театральный роман)>, <백위군(Белая гвардия)>, <비운의 달걀(Роковые яйца)>, <디아볼리아다(Дьяволиада)>, <이반 바실리예비치(Иван Васильевич)>를 포함해 불가코프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소설 <거장과 마르가리타(Мастер и Маргарита)> 등을 집필했다.

1925년에 찍은 마리나 츠베타예바 (출처 : Пётр Шумов)

마리나 이바노브나 츠베타예바(Марина Ивановна Цветаева, 1892.10.~1942.08.)

러시아 및 소련의 은세기 시인, 산문작가 겸 번역가. 언어학자 겸 미술관장 아버지와 피아니스트 어머니의 딸로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6살 때 이미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어머니의 영향으로 1899년부터 1902년까지 음악학교에서 피아노를 배웠고, 아버지로부터 고대 신화에 대한 사랑을 느끼게 되는데, 이 모든 것은 그의 작품에 영향을 준다. 1910년 정식으로 첫번째 시집 <저녁의 앨범(Вечерний альбом)>을 발매하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펼친다. 1911년 여러 시인들을 만났으며 남편을 만나 1912년에 남편 세르게이 야코블레비치 에프론(Сергей Яковлевич Эфрон, 1893~1941)과 결혼하고 딸 아리아드나 세르게예브나 에프론(Ариадна Сергеевна Эфрон, 1912~1975)을 낳게 된다. 이후 1917년 딸 이리나 세르게예브나 에프론(Ирина Сергеевна Эфрон, 1917~1920)을 보게 되었으나 기근으로 이 아이를 키우기 너무 힘들어 그녀와 다른 첫째 딸을 고아원에 보내게 되었지만 둘째딸은 곧 죽고 만다. 어찌되었든 1918년부터 다시 작품 및 문화 활동을 지속했다가, 남편의 어떤 활동으로 정부의 낙인이 찍혀 1922년부터 외국으로 망명하게 된다. 그렇게 가난하게 떠돌다가, 1939년 남편과 딸을 따라 소련으로 돌아왔고, 남편과 주변 사람들은 결국 잡혀갔는데, 그 당시 거의 시를 쓰지 않고 번역업에만 몰두했다. 곧 1941년 8월 31일, 그녀는 집에서 목을 매 자살하고 만다.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마야콥스키(Владимир Владимирович Маяковский, 1893.07~1930.04)

러시아 및 소련의 시인, 극작가, 시나리오작가, 영화감독, 영화배우 겸 예술가. 카자크 출신의 부모님 아래에서 태어났으며, 1906년 아버지가 죽은 뒤 모스크바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마르크스주의 문학에 빠지게 되었으며,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РСДРП, 1898~1917)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후 한 미래파 문집에서 <밤(Ночь)>등 을 발표했는데, 정치적인 메시지를 가졌다고 판단해 학교에서 쫓겨나게 된다. 이후 <좌익행진곡(Левый марш)>을 발표하며 음악계에서도 경험치를 쌓아나가게 된다. 이후 1923년에는 예술좌익전선(ЛЕФ)을 결성하며 소련 초기 예술계를 이끌었고, 그렇게  잡지 <레프(ЛЕФ)>와 <신 레프(Новый ЛЕФ)>의 편집장으로 있었다. 다만, 이후에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작가 협회(РАПП)의 거센 비판을 지속해서 받았으며, 결국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고 하는데, 그의 죽음에는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세르게이 예세닌 (출처 : priazovskoe.ru/msu/structure)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예세닌(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сенин, 1895.10.~1925.12.)

러시아 및 소련의 농민 출신의 작가. 특히 은세기의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신농민시(Новокрестьянская поэзия)와 서정시(лирика)의 대표자였다. 그의 시는 사회민주주의, 혁명과 조국, 마을과 자연, 사랑과 행복 추구와 같은 이미지를 반영했다. 학교 졸업 후 인쇄소에서 일하며 수리코프 문학음악 서클(Суриковский литературно-музыкальный кружок) 사람들과 친해지게 되었으며, 알렉산드르 블로크 등을 만나 서정시풍을 배웠다. 1921년엔 자유무용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미국 무용수 이사도라 덩컨(Isadora Duncan, 1877~1927)을 만나 결혼해 미국으로 여행을 떠났다. 그러나 그의 알코올 의존증은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모스크바로 되돌아와 법적으로만 결혼인 상태로 지내다가 1925년 12월 28일 성상이 놓인 구석의 수도관에서 목을 메어 자살한다.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출처 : https://culture.ru/)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예이젠시테인(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Эйзенштейн, 1898.01~1948.02)

소련의 연극 및 영화감독, 예술가, 시나리오 작가, 미술이론가 및 교사. 영화 이론과 관련된 기초 연구에 대한 글을 썼다. 1958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세계박람회에서 26개국 영화평론가들에게 진행된 설문조사에서 당대 기준 역대 최고의 영화로 선정된 <전함 포템킨(Броненосец „Потёмкин“, 1925)>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출처 : ru.citaty.net/avtory)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나보코프(Владимир Владимирович Набоков, 1899.04~1977.07)
러시아 출신의 미국 작가, 시인, 번역가이자 문예학자면서 곤충학자로, 1960년대부터 70년대까지 총 8번 노벨문학상 후보로 올랐을 정도로 20세기 문학계에서 유명한 작가였다. 필명인 블라디미르 시린(Владимир Сирин)으로도 유명하다. 그의 아버지는 블라디미르 드미트리예비치 나보코프(Владимир Дмитриевич Набоков, 1869~1922)로 19~20세기의 정치가이자 저널리스트였다. <롤리타>, 푸시킨의 <스페이드의 여왕>에서 영향을 받은 <킹, 퀸, 잭(Король, дама, валет)> 등의 소설로 유명하다.

1922년의 마리야 유디나 (출처 : Victor Nappelbaum)

마리야 베니아미노브나 유디나(Мария Вениаминовна Юдина, 1899.09.~1970.11.)

소비에트의 피아니스트. 의사인 아버지와 가정주부 어머니 사이의 유대인 가정. 어릴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으며, 전문적으로 유명인들로부터 음악을 배웠다가 1929년 모스크바에서 처음으로 솔로 공연을 하며 점차 유명해진다. 러시아 정교회의 다만 1930년 교수들의 종교적 견해에 반대하는 의견을 낸 기사를 발표하면서 음악원에서 퇴출되었고, 다른 곳에서 일했다. 그럼에도 그는 반체제 인사라고 판단되긴 어려웠으며, 이오시프 스탈린이 좋아하는 피아니스트 중 한 명이었다고 한다. 결국 1970년 삶을 마감하고 모스크바에 묻히게 된다.

바실리 추이코프 (출처 : https://mil.ru/)

바실리 이바노비치 추이코프(Василий Иванович Чуйков, 1900.02~1982.03)

소련의 지휘관, 소련연방원수, 소련육군총사령관, 주동독소련군총사령관. 농민 출신에서 사령관까지 된 인물로, 스탈린그라드 공방전에서 소련 제62군 사령관으로서 스탈린그라드를 사수하고, 베를린에서 나치의 항복을 받아들인 사령관으로 유명하다. 그의 접근전 공격 방식은 이후 소련의 특수부대의 교범이 되었다.

미하일 숄로호프 (출처 : culture.ru)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숄로호프(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Шолохов, 1905.05~1984.02)
소련 및 러시아의 작가, 저널리스트, 영화각본가, 군에서는 종군기자로서 대령이었던 인물. <고요한 돈강(Тихий Дон, 1928~1940)>으로 1965년 노벨문학상을 러시아에서 3번째로 받았다. <점(배냇점, Родинка, 1924)>, <돈 이야기(돈강의 이야기, Донские рассказы, 1925)>, <하늘빛 초원(Лазоревая степь, 1926)>, <고요한 돈강(Тихий Дон, 1928~1940)>, <열려진 처녀지(Поднятая целина, 1932, 1959)>, <증오의 과학(Наука ненависти, 1942)>, <그들은 조국을 위해 싸웠다(Они сражались за Родину, 1943, 1969)>, <조국에 대한 말(Слово о Родине, 1948)>, <인간의 운명(Судьба человека, 1956)>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1990년의 드미트리 리하쵸프 (출처 : Игорь Анатольевич Пальмин)

드미트리 세르게예비치 리하쵸프(Дмитрий Сергеевич Лихачёв, 1906.11~1999.09)
소련과 러시아의 문학사학자, 문학학자, 문화학자, 미술사학자, 철학박사로, 1970년에 그는 소련 과학 아카데미(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의 회원이 되었으며, 1986년부터 1993년까지 러시아 문화 재단(Российский фонд культуры)의 이사장을 역임했다. 그 외에도 영국 학사원(British Academy), 미국철학학회(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등의 회원이기도 했으며, 주로 고대 러시아 문학과 문화사에 대한 작품들을 많이 썼다. 그중 <고대 러시아 문학의 시학(Поэтика древне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1979)> 등이 국내에서 유명하다.

미하일 킴 (출처 : wikimedia)

미하일 바실리예비치 킴(Михаил Васильевич Ким, 1907.08.~1970.09.)

소련의 수력공학자 겸 지구물리학자. 극동에서 태어나 블라디보스토크와 레닌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대학을 나와 수력공학자로 일하다가, 1935년 10월 5일 극동 지역에서 만주와 한국에 거주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1924년부터 1925년까지 반혁명 단체를 세웠다는 (무고에 가까운) 혐의를 받아 재판을 거쳐 약 3년간 수감 생활을 했던 적도 있었다. 1966년에 영구동토 공학에 대한 연구 성과로 레닌상을 받기도 했다.

갈리나 울라노바 (출처 : dzen.ru)

갈리나 세르게예브나 울라노바(Галина Сергеевна Уланова, 1910.01.~1998.03.)

소련 발레 역사상 가장 유명한 발레리나이자 교사. 1928년부터 1944년까지 키로프 국립 오페라 및 발레 아카데미 극장(현) 마린스키 극장)의 프리마 발레리나였으며, 1944년부터 1960년까지 발쇼이 극장의 프리마 발레리나로 있었다. 황립 마린스키 극장의 발레 댄서 가족에서 태어났으며, 페트로그라드 연극학교(현) 바가노바 러시아 발레 아카데미)을 졸업하고, 레닌그라드 오페라 발레 극장(현) 마린스키 극장)의 발레단에 입단하여 <잠자는 숲속의 공주>로 데뷔했다. 이후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하며 소련 최고의 발레리나로 여겨지게 된다.

유리 레비탄 (출처 : Георгий Петрусов / РИА Новости)

유리 보리소비치 레비탄(Юрий Борисович Левитан, 1914.10.~1983.08.)

전투, 붉은 군대의 승리, 나치 독일 항복의 첫 공식 발표 등 독소 전쟁의 전황 발표로 유명해진 소비에트 연방의 아나운서. 그의 방송 첫 멘트인 '주목, 모스크바가 말합니다(Внимание, говорит Москва)'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전후에도 소련에서 스탈린의 죽음과 소련 최초의 유인 우주비행 성공을 알리는 첫 공식 발표를 했고 그의 목소리는 전 소련 국민에게 알려졌다. 그러다 1983년 심장마비로 사망하며, 모스크바 노보데비치 묘지(Новодевичье кладбище)에 묻히게 된다.

1974년 2월 14일에 찍힌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출처 : Bert Verhoeff)

알렉산드르 이사예비치 솔제니친(Александр Исаевич Солженицын, 1918.12~2008.08)
소련과 러시아의 작가, 극작가, 수필가, 시인 겸 정치인으로, 1970년에 노벨문학상을, 2007년에 러시아연방 국가상(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прем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등을 받은 문학 대가로, 러시아 문학 아카데이(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наук) 회원이었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동부전선에 참가한 경험도 있으며, 공산주의 사상이나 소련의 정치 체제나 정부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대한 사회정치적 문제를 소설 주제로 자주 다뤘던 인물이다.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Один день Ивана Денисовича, 1962)>, <마뜨료나의 집(마트료나의 집, Матрёнин двор, 1963)>, <붉은 수레바퀴(Красное колесо, 1968)>, <제1원에서(В круге первом, 1973)>, <수용소군도(Архипелаг ГУЛАГ, 1973~1975(서구)/1989~1990(소련)), <암병동(Раковый корпус, 1975)>, <200년 함께(200 лет вместе, 2001~2002)>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유리 로트만 (출처 : Полит.ру)

유리 미하일로비치 로트만(Юрий Михайлович Лотман, 1922.02~1993.10)

소련 및 러시아의 문학평론가, 문화학자, 기호학자, 푸시킨학자(пушкинист) 및 제2차 세계대전 참가자. 언어학 분야에서 대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소련의 첫 구조주의 기호학자로 여겨진다.

빌리얌 포흘룝킨 (출처 : patriotica.ru/authors)

빌리얌 바실리예비치 포흘룝킨(Вильям Васильевич Похлёбкин, 1923.08.~2000.03.)

소련 및 러시아의 역사학자, 스칸디나비아학자, 문장학자, 지리학자, 언론인, 국제관계전문가, 요리역사전문가 및 러시아 요리 전문가. 그는 요리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한 요리의 연구와 대중화, 미식 역사, 요리의 기호학, 그리고 요리 인류학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특히, 18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러시아 고전 드라마에서 고대 러시아 쿤두미 요리(Кундюмы)와 다양한 음식과 음료를 재구성했으며, 또한 우주 비행사들의 식단을 다양화하고 그들에게 녹차와 홍차를 지급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보드카의 역사(История водки)>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블라디미르 텐드랴코프 (출처 : vologdatourinfo.ru)

블라디미르 표도로비치 텐드랴코프(Владимир Фёдорович Тендряков, 1923.12~1984.08)
소련의 작가, 교육자로, 현대 생활의 정신적, 도덕적 문제와 소비에트 사회의 심각한 문제, 시골 생활에 대한 심각한 갈등 이야기 등을 주제로 책을 썼다. 푸시킨의 <스페이드의 여왕>에서 영향을 받은 <삼, 칠, 에이스(Тройка, семёрка, туз, 1961)> 등의 소설로 유명하다.

마리나 므니제치역을 맡은 이리나 아르히포바 (출처 : classicalmusicnews.ru/news/)

이리나 콘스탄티노브나 아르히포바(Ирина Константиновна Архипова, 1925.01.~2010.02.)

소련 및 러시아의 오페라 및 실내악 가수(메조소프라노), 교육자, 공인 및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 결혼 전 이름은 이리나 콘스탄티노브나 베토시키나(Ирина Константиновна Ветошкина). 어릴 땐 피아노 레슨과 음악 학교 합창단 활동을 했다가, 모스크바 건축 대학(МАРХИ)에서 건축학을 전공했으나, 음악을 포기하지 못하고 1948년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음악원을 졸업했다. 이후 여러 오페라와 발레극장에서 독주자로 있었으며, 그렇게 오페라 가수로 활동을 하게 된다.

엘다르 랴자노프(출처 : culture.ru/persons)

엘다르 알렌산드로비치 랴자노프(Эльда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Рязанов, 1927.11.~2015.11.)

소련 및 러시아의 영화감독, 시나리오작가, 배우, 시인, 극작가, 텔레비전 진행자, 교육자 및 프로듀서. 200개가 넘는 TV 프로그램의 작가였으며, 다양한 영화를 발표했다. <카니발의 밤(карнавальная ночь, 1956)>, <주소 없는 처녀(Девушка без адреса, 1957)>, <슬픈 책을 주세요(Дайте жалобную книгу, 1965)>, <차들을 조심해(Берегись автомобиля, 1966)>, <노인강도들(Старики-разбойники, 1971)>, <러시아에서의 이탈리아인의 믿기 힘든 모험(Невероятные приключения итальянцев в России, 1973)>, <운명의 아이러니, 혹은 건강하세요!(Ирония судьбы, или С лёгким паром!, 1976)>, <오피스 로맨스(Служебный роман, 1977)>, <차고(Гараж, 1979)>, <가난한 경기병에 대해 한마디 해주세요(О бедном гусаре замолвите слово, 1980)>, <두 명을 위한 기차역(«Вокзал для двоих, 1982)>, <잔인한 로맨스(Жестокий романс, 1984)>, <약속된 천국(Небеса обетованные, 1991)> 등 다양한 코미디와 멜로 작품을 연출했다.

Лев Ива́нович Я́шин

레프 야신 (출처 : https://fcdm.ru/legend/yashin/)

레프 이바노비치 야신(Лев Иванович Яшин, 1929.10.~1990.03)

소련의 축구선수이자 골키퍼. 1956년에서 올림픽 챔피언을, 1960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 5번을, 소련 컵에서 3번 우승한 전적을 보인다. 모스크바 노동자 가정에서 태어나 군수공장에서 일하며 축구를 접했고, 큰 키로 인해 FC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골키퍼 후보로 활동하다가 많은 골을 막은 유명한 골키퍼가 되었다. 2019년부터 프랑스 발롱도르에서 그의 업적을 기리펴 그 해 최고의 활약을 보인 골키퍼에게 수상하는 트로페 야신(야신상, Trophée Yachine)을 수여하기 시작한다.

바딤 코지노프 (출처 : hrono.ru/biograf)

바딤 발레리아노비치 코지노프(Вадим Валерианович Кожинов, 1930.07.~2010.01.)

소련 및 러시아의 문예학자, 문학비평가 겸 사회평론가. 1948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문헌학부에 입학해 1954년 우등으로 졸업한다. 그렇게 그는 소련과학아카데미 세계문학연구소(Института мировой литературы АН СССР)에서 석사 생활을 하며, <유럽 문학에서 소설의 형성(16~17세기)(Становление романа в европейской литературе (XVI—XVII вв.))>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예학자의 길로 인정받게 된다. 이후 정치계로 등단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문학비평가와 사회평론가로 활동한다.

강의하고 있는 알렉산드르 티호노프 (출처 : resbash.ru/articles/cotsium)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티호노프(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Тихонов, 1931.11~2003.03)
소련 및 러시아의 언어학자, 사전편찬자 및 러시아어 파생어학 분야 전문가. 교육용 사전의 구성 원리와 이론적 문제의 논의에 큰 공헌을 했다.

강의하고 있는 아리아드나 쿠즈네초바 (출처 : https://terra-linguarum.livejournal.com/)

아리아드나 이바노브나 쿠즈네초바(Ариадна Ивановна Кузнецова, 1932.01.~2015.04.)
소련 및 러시아의 언어학자, 일반형태학 및 러시아 형태학 전문가, 핀-우그리아어파 및 사모예드어 형태학 전문가, 언어학 박사이자 교수. 셀쿠프어의 문법 연구, 러시아어 형태 사전 등을 포함한 100개가 넘는 논문의 저자로도 유명하다.

카르다쇼프 척도를 고안한 니콜라이 카르다쇼프 (출처 : Russian Mission Vienna)

니콜라이 시묘노비치 카르다쇼프(Николай Семёнович Кардашёв, 1932.04.~2019.08.)

소련 및 러시아의 실험적 및 이론적 천체물리학 및 전파천문학 분야의 학자이자 전문가.

러시아 혁명 전의 볼셰비키 경력을 가진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퀘이사 CTA-102를 처음 조사하며, 일부 은하계 문명이 수십억 년 전에 존재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제기해, 총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구분한 우주 문명 척도인 '카르다쇼프 척도(шкала Кардашёва)'를 고안한 업적을 세운다. 2019년 8월 88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출처 : kino-teatr.ru)

안드레이 아르세니예비치 타르콥스키(Андрей Арсеньевич Тарковский, 1932.04~1986.12)

소련의 연극 및 영화감독 겸 시나리오 작가. 세계 영화계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안드레이 류블로프(Андрей Рублёв, 1966)>, <솔라리스(Солярис, 1972)>, <거울(Зеркало, 1974)>, <스토커(Сталкер, 1979)>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이고르 크바샤 (출처 : www.film.ru)

이고르 블라디미로비치 크바샤(Игорь Владимирович Кваша,1933.02.~2012.08.30.)

소련 및 러시아의 배우 및 영화감독 겸 사회자. 과학자의 아들로 태어나 모스크바 예술 연극 학교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예술 연극단에 합류하여 공연했다가 다른 극장에서 일하며 연기 경력을 쌓았다. 이후에는 <나를 기다려(Жди меня)>에서 토크쇼를 진행하며 더욱 유명해졌다가 2012년에 사망한다.

키르 불리초프 (출처 : https://www.labirint.ru/authors/12303/)

키르 불리초프(Кир Булычёв, 1934.10~2003.09)

소련 및 러시아의 공상과학작가, 극작가, 시나리오작가, 문학평론가, 역사학자, 동양학자, 화폐상훈학자(phaleristics). 이 이름은 필명으로, 그의 부인 키라 알렉세예브나 소신스카야(Кира Алексеевна Сошинская)의 이름 키라(Кира)와 어머니 마리야 미하일로브나 불리초바(Мария Михайловна Булычёва)의 원래 성씨 불리초바( Булычёва)에서 각각 따온 것이며, 원래 이름은 이고르 프세볼로도비치 모제이코(Игорь Всеволодович Можейко)이다. 외국어 대학교를 졸업하고, 현 미얀마 지역에서 통역사일을 하다가, 동양학 연구소를 배웠으며, 1965년부터 소설을 쓰며 문학가로 유명해지는데, 그 작품들 가운데 영화화 된 것들이 꽤 있다.

파벨 아르세노프 (출처 : https://24smi.org/celebrity/22496-pavel-arsenov.html)

파벨 오가네조비치 아르세노프(Павел Оганезович Арсенов, 1936.01~1999.08)

소련 및 러시아, 아르메니아의 영화감독. <미래로부터의 여손님(미래에서 온 손님, Гостья из будущего, 1984)>, <라일락 구체(Лиловый шар, 1987)> 등으로 유명하다.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출처 : sb.by/articles/)

블라디미르 시묘노비치 비소츠키(Владимир Семёнович Высоцкий, 1938.01.~1980.07.)

소련의 시인, 연극배우, 영화배우 및 바르드(бард) 작곡가, 산문작가 겸 시나리오 작가. 1960년대에 배우학교를 졸업하고부터 작품 활동을 했는데, 초창기에는 거리예술가처럼 노래를 불렀다가 점점 고백적이고 철학적인 성격의 노래와 시를 발표하며 세상에 은은한 관심을 받게 된다. 그러나 1980 모스크바 올림픽이 진행중이던 1980년 7월말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밴드 데데테(ДДТ) 등 다양한 이후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줬다.

류드밀라 페트루솁스카야 (출처 : colta.ru/articles/literature)

류드밀라 스테파노브나 페트루솁스카야(Людмила Стефановна Петрушевская, 1938.05.~)

소련 및 러시아의 산문작가, 시인, 각본가, 시나리오 작가, 번역가 및 다양한 음악 분야의 활동가.

제2차세계대전 중 우파(Уфа)에 살다가 전쟁 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언론학과를 졸업하였고, 1972년 이후 모스크바 신문사의 특파원과 신문사 직원으로 일하다 소련중앙텔레비전(ЦТ СССР)의 편집장으로 활동한다. 그러면서 일찍부터 취미로 시를 쓰기 시작했다. 첫번째 희곡(пьеса)은 <음악 수업들(Уроки музыки, 1973)>이었는데, 무대 상연 직후 금지된다. 이후 다양한 작품을 편찬한다. 정치적으로는 2020년 러시아 연방 헌법 개정에 반대했으며, 2020~2021년 벨라루스 시위를 지지했고,  러우전쟁에서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을 '주요범죄자'로 여기며 전쟁을 반대하는 입장을 취한다. <검은 외투(Чёрное пальто,?)>, <위생(Гигиена, ?)>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베네딕트 예로페예프 (출처 : Морковкин Анатолий)

베네딕트 바실리예비치 예로페예프(Венедикт Васильевич Ерофеев, 1938.10.~1999.05.)

소련 및 러시아의 작가. 철도역장이지만 반소비에트 선전 혐의로 1945년부터 1951년까지 감옥에서 복역했던 아버지와 주부였던 어머니 아래에서 5명 중 막내로 나고 자랐으나, 대부분의 시간은 주거형 보육시설에서 길러졌다고 한다. <정신병자의 수기(Записки психопата)>, <모스크바발 페투슈키행 열차(Москва — Петушки, 1973)> 등으로 유명하다. 그의 작품은 러시아 내에서 그가 사망한 뒤에나 알려졌으나, <모스크바발 페투슈키행 열차> 등은 이미 이스라엘 등 외국에서 먼저 출판되었었다.

아르투르 칠링가로프 (출처 : PIA)

아르투르 니콜라예비치 칠링가로프(Артур Николаевич Чилингаров, 1939.09.~2024.06.)

소련 및 러시아의 해양학자, 지리학박사,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북극 및 남극 연구원, 7차 소집 러시아 연방 국가 두마(2016~2021) 및 8차 소집 러시아 연방 국가 두마(2021~)의 두마 의원. 극지 탐험을 조직해, 시베리아 쇄빙선을 타고 북극으로 가는 과학 탐험을 이끌었으며,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해결을 위한 자문을 맡기도 했으며, 1990년대에 정치에 입문에 북극과 남극 문제에 대한 많은 조언을 했다.

뱌체슬라프 주도프 (출처 : warheroes.ru/hero)

뱌체슬라프 드미트리예비치 주도프(Вячеслав Дмитриевич Зудов, 1942.01.~2024.06.)

소련의 조종사, 우주비행사. 고리키 주(현 니체고로드스키 주)에서 태어났다가 1949년 7살쯤 모스크바주 옐렉트로스탈(Электросталь)로 이사가 이곳에서 학교를 다녔다. 1960년, 3번 중등학교(средняя школа №3)를 졸업하고, 발라쇼프 고등군사항공학교(Балашовское высшее военное авиационное училище лётчиков)에 입학해 소련 공군으로 근무하게 된다. 그렇게 1965년 소련의 우주비행사가 되었고, 1970년, 소련의 비밀 군용우주정거장 알마즈(Алмаз) 비행을 위한 훈련을 받았다. 1976년 10월 14일부터 16일까지 그는 발레리 일리치 로즈데스트벤스키(Валерий Ильич Рождественский, 1939~2011)과 함께 주요 승무원 자격으로 '소유즈-23'을 타고 우주비행을 하기도 했다. 이후 유리 가가린 우주비행사 훈련 센터(Центр подготовки космонавтов имени Ю. А. Гагарина)에서 쭉 일한다.

무슬림 마고마예프 (출처 : gobaku.ru/wearefrom)

무슬림 매햄매드 오글루 마고바예프(Müslüm Məhəmməd oğlu Maqomayev, 1942.08.~2008.10.)

소비에트, 아제르바이잔, 러시아의 팝 가수, 오페라가수(바리톤), 작곡가 겸 영화배우. 아제르바이잔의 연극 가족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 자신도 '아제르바이잔은 나의 아버지, 러시아는 나의 어머니'라고 여길 정도로 고향에 대한 애착도 강한 편이다. 첫번째 아버지는 전선에서 사망했으며, 두번째 아버지인 아제르바이잔 각료회의 부의장의 집에서 자라며 피아노와 작곡을 음악학교에서 공부했다. 이후 성악을 공부했으며, 1961년 데뷔하게 된다. 그렇게 커리어를 쌓아 올렸다가 일본 등 외국에서도 공연을 했으며, 1980 모스크바 올림픽의 테마곡을 모두 부르기도 했다. 또, 소련의 다양한 TV프로그램에 출현했고 그렇게 소련의 노래 경연 프로그램 <노래-80(Песни-80)>과 <노래-81(Песни-81)>의 사회를 보기도 한다.

그는 구 소련과 다른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 큰 인기를 얻었었다. 그의 명성이 얼마나 뛰어났으면, 1997년에 발견된 소행성의 이름에도 '4980 마코마예프(4980 Magomaev)'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였다. 모스크바를 떠올리며 부른 <지구 최고의 도시(Лучший город Земли)>, <드디어 집에 돌아와서 매우 기쁘다네(Я очень рад, ведь я наконец возвращаюсь домой)>와 같은 작품들이 유명하다. 러시아어식 이름은 무슬림 마고메토비치 마고마예프(Муслим Магометович Магомаев)이다.

류드밀라 울리츠카야 (출처 : svoboda.org)

류드밀라 예브게니예브나 울리츠카야(Людмила Евгеньевна Улицкая, 1943.02.~)

소련 및 러시아의 작가, 번역가 겸 시나리오 작가. 전쟁 대피소에서 태어나 모스크바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에서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소련 과학 아카데미의 일반 유전자 연구소(институт общей генетики)에서 2년 동안 일을 했다가 당시 기준 반체제 인사들과 가까이 지내며 자가출판(самиздат) 재인쇄에 관여하다 들켜 1970년에 은퇴했다. 이후 카메룬 유대인 음악 극장(Камерный еврейский музыкальный театр)에서 일하면서, <단추 100개(Сто пуговиц, 1983)> 등의 라디오, 어린이 연극, 인형극을 위한 대본을 썼으며, 몽골어 시를 번역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잡지에 자신의 이야기를 기고했는데, <리버티 자매들(자유의 자매들, Сестрички Либерти, 1990년 영화화)>, <모두를 위한 여자(Женщина для всех, 1991년 영화화)>,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Медея и её дети, 1996)> 등의 유명한 작품이 많았다. 그 중 그녀를 대표하는 작품은 월간 문예지 <신세계(Новый мир)>에 1992년에 기고한 <소네치카(Сонечка, 1992)>로 세계 각국의 찬사를 받았다. 2007년 이후에도 출판사에서 활동하며, 기금을 설립하는 등 문학 장려를 위한 다양한 활동과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한편, 그의 정치적 행보 또한 놀라웠는데, '러시아 정부의 크림반도 및 우크라이나 동부에 대한 정책에 반대'한 것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한 것이었다. <우리 차르의 사람들(Люди нашего царя, 2005)>라는 모음집으로 유명한데, 이 모음집에는 <나귀의 길(Путь осла, 2005)>, <(임시) 사다리(Приставная лестница, 2005)>, <복도식 체계(Коридорная система, 2005)>, <위대한 스승(Великий учитель, 2005)>, <탈영병(Дезертир, 2005)>, <엄청난 이쁜이 고양이(Кошка большой красоты, 2005)>, <톰(Том, 2005)>, <미녀의 몸(Тело красавицы, 2005)>, <빛나는 매 피니스트(Финист Ясный Сокол, 2005)>, <합선(짧은 정전, Короткое замыкание, 2005)>이 포함된다. 그 외 <다니엘 슈타인, 번역가(Даниэль Штайн, переводчик, 2006)> 등의 단편 작품도 유명하다.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스크립카(Сергей Иванович Скрипка, 1949.10~)

소련 및 러시아의 지휘자. 하르키우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때부터 음악 공부를 해 지휘자로서 활동하기 시작한다. 1975년부터 주콥스키 심포니 오케스트라(Жуковский симфонический оркестр)의 지휘자를 맡고 있으며, 1977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각료회의 산하 국립 영화 교향 오케스트라(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симфонический оркестр кинематографии при Совете Министров СССР)에서 지휘를 맡았으며, 1991년 개칭된 현재의 러시아 국립 영화 교향 오케스트라(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симфонический оркестр кинематографии)에서도  지휘자를 맡고 있다.

유리 솁추크 (출처 : sobaka.ru/ufa/entertainment)

유리 율리아노비치 솁추크(Юрий Юлианович Шевчук, 1957.05.~)

소련 및 러시아의 록 음악가, 가수, 작곡가, 시인, 배우, 예술가, 프로듀서 겸 사회운동가. 밴드 데데테(ДДТ)의 창립 멤버로 유명하다. 그의 초기 곡들은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불라트 오쿠자바, 알렉산드르 갈리치(올렉산드르 할리치) 등의 은세기 시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작품은 시민애국적인 가사, 도덕적인 자기계발, 폭력의  포기와 증오의 극복, 사회적 풍자와 항의이며, 2000년대 중반부터는 야당 운동에 참여했는데, 이 경험도 많은 이후 작품에 영향을 준다.  

남편 빅토르 초이와 아들 알렉산드르 초이와 함께 찍힌 마리안나 초이 (출처 : sport24.ru/life)

마리안나 이고레브나 초이(Марианна Игоревна Цой, 1959.03.~2005.06.)

소련 및 러시아의 작가, 번역가, 사회운동가 겸 음악 프로듀서. 소련의 록 음악가 빅토르 초이의 아내로 유명하다. 1984년 2월에 빅토르 초이와 결혼했으며, 그렇게 그녀는 록밴드 키노(Кино, 1981~1991, 2019~)의 경영자이자 밴드 저작권 50%를 소유한 프로듀서가 되었다. 아쉽게도 남편 빅토르 초이가 1987년 영화 촬영장에서 만난 나탈리야 라즈로고바(1956~)와 연애를 하며 별거하게 된다. 그럼에도 그녀의 노력으로 빅토르 초이를 기리는 여러 컬렉션이 출판되었으며, 인기 음악가들이 키노의 노래를 리메이크한 헌정 음반도 출판된다.

빅토르 초이 (출처 : https://variety.com/2020)

빅토르 로베르토비치 초이(Виктор Робертович Цой, 1962.06~1990.08)

소련의 한국계 고려사람 출신의 락 음악가, 작가, 시인, 예술가. 고려사람 아버지와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1962년에 태어난 그는 17살 때부터 작곡을 하며 음악인의 길에 본격적으로 접어들게 된다. 이후 그는 레닌그라드 록클럽(Ленинградский рок-клуб, 1981~)의 창립 멤버로 활동했으며, 여러 그룹에서 활동했는데, 특히 레닌그라드 록클럽을 중심으로 활동한 당대 최고의 록밴드 키노(Кино, 1981~1991, 2019~)의 리더였다. 다만, 평소해도 반전과 평화사상을 주장하던 이 그룹과 빅토르 초이는 당시 소련의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하고, 결국 1990년 8월 15일 운전하던 차로 마주 오던 트럭과 충돌하여 사망하게 된다. <혈액형(группа крови)> 등의 노래로 유명하다.

율리아 마할리나 (출처 : archivogram.top)

율리야 빅토로브나 마할리나(Юлия Викторовна Махалина, 1968.06.~)

러시아의 발레 무용수 겸 마린스키 발레단의 프리마 발레리나. 1968년 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났으며, 발레 아카데미에서 발레를 배우고, 피아노도 배우며 예술인으로 성장한다. 1985년 러시아 발레 아카데미를 졸업하며 정식으로 예술인이 되었고, 1989년부터는 마린스키 극장에서 독주자로 활동했다. 이후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베를린 도이체오퍼(Deutsche Oper Berlin)에서 활동했으며, 세계 주요 무대에서 순회 공연을 하였다가 현재는 고향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살며 발레 예술을 가르치고 있다.

알렉세이 폼킨과 그의 부인 (출처 : Сайт Алексея Фомкина)

알렉세이 레오니도비치 폼킨(Алексей Леонидович Фомкин, 1969.08~1996.02)

소련의 배우. 어린이 코믹극 예랄라쉬(Ералаш)의 다양한 시리즈에 출연했으며, 특히  <미래로부터의 여손님(미래에서 온 손님, Гостья из будущего, 1984)>에서 콜랴 게라시모프(Коля Герасимов) 역을 맡으며 유명해졌다. 그러나 이후 영화 출연 제안이 끊기면서 군입대를 했고, 제대 이후에는 잠시 고리키 모스크바 예술 아카데미극장(МХАТ имени Горького)에서 잠깐 일했다가 결국 작은 마을의 제분소에서 일하게 된다. 그러나 1996년 2월 23일 조국수호의 날을 맞아 오랜만에 친구들과 모여 담소를 나누다 잠들었으나, 집에 화재가 나는 바람에 질식사하여 사망한다.

아나스타시야 자보로트뉵 (출처 : stars.glavred.info)

아나스타시야 유리예브나 자보로트뉵(Анастасия Юрьевна Заворотнюк, 1971.04.~2024.05.)

소련 및 러시아의 연극 및 영화배우 겸 텔레비전 프로그램 진행자. 어릴 때부터 연기자로의 길을 택해 준비했으며, 1991년에 개봉한 <마셴카(Машенька)>를 시작으로 연기 커리어를 쌓게 된다. 이후에는 다양한 TV 프로그램의 진행자로 활동했으며, 2019년 8월 중순부터 치료를 이유로 연극 공연 등의 참여를 중단했고, 이는 교모세포종 때문임이 밝혀졌는데, 결국 2024년 5월 30일 모스크바에서 54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나탈리야 구세바가 출연한 <미래로부터의 여손님>에서의 모습과 2022년의 나탈리야의 모습 (출처 : https://www.gazeta.ru/culture/photo/n)

나탈리야 예브게니예브나 구세바(Наталия Евгеньевна Гусева, 1972.02~)

1980년대 소련의 영화배우. <미래로부터의 여손님(미래에서 온 손님, Гостья из будущего, 1984)>의 알리사 셀레즈뇨바(Алиса Селезнёва) 역으로 유명하며, 그 밖에 <세기의 질주(Гонка века, 1986)>, <라일락 구체(Лиловый шар, 1987)>, <볼랴 브셀렌노이(Воля Вселенной, 1988)> 등의 영화에도 출연하였다. 1994년 이후 생화학자가 되었으며, 2008년에 잠시 여러 영화와 TV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스베틀라나 보긴스카야 (출처 : cojo.ru/znamenitosti)

스베틀라나 레오니도브나 보긴스카야(Светлана Леонидовна Богинская, 1973.02.~)

소련 출신의 체조선수, 올림픽챔피언 겸 세계챔피언, 유럽챔피언. 1987년부터 1996년까지 세계무대에서 활동했는데, 특히 1988 서울 올림픽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소련 붕괴 후 벨라루스에서 선수로 활동하다가 미국으로 이민가서 살고 있다. 벨라루스어로는 스뱌틀라나 레아니다우나 바긴스카야(Святлана Леанідаўна Багінская)라고 부른다

나탈리야 라셰노바 (출처 : Olympedia)

나탈리야 바실리예브나 라셰노바(Наталья Васильевна Лащенова, 1973.09.~)

소련 출신의 체조선수, 올림픽챔피언 겸 세계챔피언.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세계무대에서 활동했는데, 특히 1988 서울 올림픽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소련 붕괴 후 라트비아에서 살다가 미국으로 이민가서 살고 있다. 라트비아어로는 나탈리야 라셰노바(Natālija Laščonova)라고 부른다.

예브게니 로디오노프 (출처 : dgphoto.ru/)

예브게니 알렉산드로비치 로디오노프(Евген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Родионов, 1977.05.~1996.05.)

러시아의 군인. 러시아 국경수비대 병사로, 제1차 체첸 전쟁(1994.12.~1996.08.)에서 동료들과 함께 오랫동안 포로로 잡혀 고문을 당했지만, 끝까지 엄청난 용기를 가지고 종교적 신념을 버리지 않고 살해당했다. 이후 순교자 성인으로 여겨져 존중받고 있다.

이슬람 마하체프 (출처 : sport-express.net)

이슬람 라마자노비치 마하체프(Ислам Рамазанович Махачев,1991.10.~)

UFC 라이트급에서 뛰는 러시아 종합격투기 선수. 2014년부터 UFC에 입성해 2016년에 금메달을 따는 업적을 남기기도 했다.

크리스티나 로마노바(Кристина Романова, 1994.06.~)

러시아 출신의 패션모델 겸 아만 리조트(Aman Resorts)의 명품 브랜드 아만 에센셜즈(Aman Essentials)의 CEO. 2010년 비씨비지(BCBG)의 패션모델로 데뷔하며 모델 활동을 시작하며 다양한 유명 패션디자이너들과 일을 해왔다. 특히, 2013년 스웨덴 출신 DJ 래퍼 아비치(Avicii)의 '날 깨워줘(Wake Me Up)'에 미국 여배우 라네야 그레이스(Laneya Grace)와 함께 출현하면서 대중에게 유명해졌다.

율리야 리프니츠카야 (출처 : news.sportbox.ru)

율리야 뱌체슬라보브나 리프니츠카야(Юлия Вячеславовна Липницкая, 1998.06.~)

싱글스케이팅 분야에서 활동한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올림픽을 포함한 여러 대회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땄는데, 특히 2014년 2월 15살의 나이로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 당시 러시아 역사상 최연소 올림픽 싱글스케이팅 챔피언이 되는 명예를 획득했다. 다만 현재는 은퇴하고 클럽을 만들어 후학을 양성하는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에고르 클리나예프 (출처 : starhit.ru/story/)

에고르 드미트리예비치 클리나예프(Егор Дмитриевич Клинаев, 1999.04.~2017.09.)

러시아의 영화배우 겸 텔레비전 배우.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음악가인 아버지 아래에서 태어났다. 그로 인해 어린이 음악 합창단인 네포세디(Непоседы)에서 공연했으며, 음악학교에서 플루트와 드럼, 베이스를 배웠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어린이 및 청소년용 TV 프로그램 카루셀(Карусель)의 MC였으며, 다양한 아티스트 활동과 배우 활동을 하였으나, 2017년 9월 27일 밤 모스크바 순환도로(МКАД)에서 교통사고로 피해자들을 도우려다 19세의 나이로 그 자리에서 부상으로 사망했다.

블로거 마리야나 로 (출처 : cidk.ru/stars/maryana-ro-bloger/)

마리야나 로(Марьяна Ро, 1999.10.~)

러시아의 브이로거, 가수 겸 배우. 1999년 10월에 유즈노사할린스크에서 태어났으며, 오빠와 여동생이 있다. 2015년부터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해오고 있다. 15살때 브이로거 EeOneGuy와 연애를 했지만, 2016년에는 헤어진 상태라고 한다. 이후 2017년에는 러시아의 래퍼 Face와 연애를 한다고 밝혔으며, 2020년에는 범성애라고 커밍아웃했다. 2022년부터는 일본에서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본명은 마리야나 빅토로브나 로즈코바(Марьяна Викторовна Рожков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