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사진은 신기해서 찍어봤습니다ㅎ 어쨌든 부산 금정구 범어사역 뒤편으로 쭉 가면 갈림길이 보입니다. 이 신호등을 건너면 '금정구 6.25 참전용사 기념비'가 보이죠. 여기서 길을 건너지 말고 오른쪽으로 꺾어줍니다.
조금 더 가면 금정구 노포동 고분군도 보입니다. 노포동 고분군은 제 부산 역사 탐방의 첫 장소였기에 나름 제게 오래 기억되는 장소긴 합니다.
조금 더 앞으로 쭉 가면,
노포동 고분군의 또 다른 수풀로 뒤덮인 입구가 보이는데, 여기서도 길 건너지 말고 쭉 가줍시다~
쭉 쭉 가다보면,
이런 한적한 곳이 나옵니다.
안내판을 따라 앞으로 가면 됩니다.
조금 가다 보면 우측 편으로 볕이 잘 드는 곳이 있는데요.
이곳엔 대략 3기의 무덤이 있습니다. 관련 안내판이 세워져 있어서 확인해 봤습니다.
이 분묘군은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시행하는 부산묘지공원 지구에 편입되어 분묘의 연고자께선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 보상부(051-460-5574, 051-460-5519)로 연락바란 다고 하네요. 혹시 관련자 분께서 관련 협의를 원하시는 경우 연락하시면 잘 안내해 드릴 듯합니다.
그 3기의 묘지 중 맨 왼쪽 위에 있는 무덤엔 묘비가 있어 대략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생경주김공원희지묘(學生慶州金公元凞之墓)', '배유인함안조씨(配孺人咸安趙氏)'라고 쓰여 있네요.
그 분묘군 왼쪽으로 조금만 더 가면 '가정대부(嘉靖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경주김공신도(慶州金公神道碑)'라고 적힌 비석도 볼 수 있습니다. 옆으로 이 비석으로 가는 길이 나있는데요. 거미줄이 많아 다가가진 못했습니다..
이제 부산 금정구 두구동에 위치한 금정구민운동장이 보입니다. 금정구민운동장으로 들어가실 분은 여기서 오른쪽으로 꺾어 주차하시면 됩니다. 차를 타지 않고, 비석(만고불망비)만 보러 오셨다면 여기서 쭉 앞으로 가시면 됩니다~
운동장도 넓고, 주차장도 넓네요~
뒤쪽 주차장도 넓은데요. 여긴 간이 화장실도 있구요.
이 뒤쪽으로 가면 금정구의 대표적인 공원묘지인 영락공원으로 올라갈 수 있는 길이 있습니다.
그래서 영락공원은 설날, 추석같은 대명절에 성묘객을 위해 이곳을 주차장으로 임시 개장하기도 합니다.
빙 돌아 출구 쪽은 막아뒀습니다... 그래서 자전거를 끌고 옆의 풀 수북한 인도로 걸어내려갔죠.
작은 정자와 의자도 보입니다. 그 뒤에 크고 높은 비석 2기가 서있네요!
그냥 바로 오실 분이라면 금정구민운동장 입구로 들어가지 말고 쭉 오시면 됩니다.
비석 앞에는 이곳이 금정구민운동장임을 알려주는 표지석도 있네요. 그 뒤에 2명의 동래부사를 기리는 만고불망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만고불망비(萬古不忘碑)란 오랫동안(萬古) 잊지 않기(不忘) 위해 세운 비석(碑)을 말합니다.
사명 | 영락공원 주차장 건립공사 |
공사기간 | 2012.02.13 ~ 2012.10. |
공사구간 | 금정구 두구동 산80번지 일원 |
발주처 | 금정구청(건설과 권덕민) |
시공사 | 에스알건설(주) 이상철 |
비석 앞 보도블럭에는 2012년에 인근 영락공원 주차장 건립 공사를 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돌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문 정면 | 비문 정면 기준 오른편 (출처 : 부산역사문화대전) |
부사(府使) 정공이검(鄭公履儉) 청덕선정(淸德善政) 만고불망비(萬古不忘碑) |
연강천민(捐鏹千緡) [천 냥 돈꿰미를 내어] 제민거역(除民巨役)[주민의 큰 부역을 덜어 주니] 수사우금(受賜于今)[지금까지 은혜를 받아] 일경영덕(一境詠德)[온 지역이 덕을 칭송하네] |
안내문 |
동래부사 정이검은 본관이 동래이며, 정시선의 손자로 문과에 등과하였다. 대교(待敎), 정언(正言), 교리(校理), 수찬(修撰) 등 관직을 두루 거쳐 동래 부사로 재임(1742.9.4.~1743.6.10.)하다가 1746년(영조 22)에 대사간(大司諫, 사간원의 최고직)을 제수받고 승지(承旨)도 하였다. 1754년에 동래부의 7개면(읍내면·동면·서면·남면·북면·동평면·사천면)의 지역 개발과 부역면제 등 혜택을 받았던 부민이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정 부사의 덕망을 칭송하는 비석을 세웠다. 황산도 길섶 갈록산 기슭 위에 조성하였는데, 도로 확장으로 이곳(선동620-19)에 동래부사 조재민청덕선정만고불망비와 함께 이전(2010.11.24.)하였다. 이 비석은 마애송덕비로 7면 마애비로도 불린다. |
비문 정면 | 비문 뒷면 |
부사(府使) 정공재민(趙公載敏) 청덕선정(淸德善政) 만고불망(萬古不忘) |
숭정후삼신미(崇禎後三辛未) 9월(九月) 일(日) 동북면(東北面) 마애감관(磨崖監官) 최준혁(崔峻赫) |
안내문 |
동래부사 조재민은 1741년(영조 17)에 소시(召試)로 등과(登科) 후 교리(校理), 사관(史官), 승지(承旨)등 관직을 두루 거쳐 동래부사로 재임(1750.7.15.~1751.6.17.) 하다가 1752년(영조 28)에 대사간(大司諫)을 제수 받았다. 이 비석은 1751년 9월에 조 부사의 선정에 혜택을 입은 동면(해운대구), 북면(금정구)의 주민들이 조 부사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황산도 길섶 갈록산 기슭 바위에 새긴 덕망을 칭송하는 마애송덕비로 북동면 마애비로도 불린다. 원래 부사 정이검청덕선정만고불망비와 나란히 하나의 바위면(선동 620-14)에 조성되었으나, 바위가 떨어져 나가 2기가 되었다. 이후 도로 확장 공사 관계로 2기의 비석을 이곳에 이전하여 세워 놓았다. |
정이검 청덕선정 만고불망비와 조재민 청덕선정 만고불망비는 18세기 중반에 동래부사로 있었던 정이검과 조재민의 세금을 감면해주는 등의 맑은 덕행[淸德]과 바르고 착한 정치[善政]를 오래 잊지 않기 위해 세운 비석들입니다. 당시 선덕을 펼쳤던 2명의 동래부사의 이야기를 잠시나마 들을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한 고기잡이를 위해 잠시 들렀던 울산 강양항의 통시돌 (0) | 2023.07.29 |
---|---|
부산광역시 금정구 문화관광 탐방 일지 - 황산도 옛길 테마거리 (1) | 2023.07.28 |
원래 내주축성비는 이쪽 인근에 있었다! 내주축성비 복제품 (0) | 2023.07.28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동래교회 앞 2개의 기념비 (0) | 2023.07.28 |
동래읍성 서편의 군사회의장 겸 군사훈련지, 만년대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