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년 1월 1일, 중국 난징시의 쯔진산 천문대(紫金山天文台, 자금산 천문대)에서 단주기혜성 하나가 발견됩니다.
그리고 이 혜성은 62P/쯔진산(62P/Tsuchinshan) 혹은 쯔진산 1(Tsuchinshan 1)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2004년, 쯔진산 1이 근일점(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점)을 통과할 땐 겉보기등급 11 정도로 꽤 밝았다고 합니다.
2011년 6월 30일, 쯔진산 1이 또 태양에 가까워졌지만, 이번엔 태양 반대편에 있을 때 근일점을 통과했기 때문에 관측을 하진 못했습니다.
2017년 11월 16일, 쯔진산 1은 또 다시 근일점에 도착합니다.
그리고 2023년 12월 25일, 겉보기등급 8~9등급 정도로 근일점에 다다르게 되며, 지구로부터 약 0.53AU(7900만 km), 태양으로부터는 겨우 110도 정도 떨어지게 됩니다. 그렇게 2023년의 크리스마스 혜성으로 되었죠~
미리 말하지만 '크리스마스 혜성'이란 별명을 듣고 이 혜성이 무조건 매년 크리스마스에 뜰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던데, 그게 아니고 마침 어떤 혜성이 크리스마스 즈음 혹은 당일에 근일점(혹은 가끔 근지점)에 다다르거나 가까워질 경우에 '크리스마스 혜성'이라고 부르는겁니다~ |
한편, 미국의 제트추진연구소(JPL)에 따르면 2049년 4월 1일에 0.0157 AU(235만 km) 정도의 거리를 두고 화성을 지나갈거란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때 태양과는 1.53 AU(2억 2900만 km) 떨어져 있게 됩니다. 이 때도 이 혜성을 관측할 수 있으니, 오늘이 지나고 약 26년 뒤에 다시 크게 빛나는 걸 볼 수 있게 되겠죠ㅎㅎ 이렇게 보면 우주의 시간은 정말 어마무시하게 긴 것 같습니다.
'용어 정리, 이슈 > 항공&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대삼각형과 대육각형을 이루는 별 이름 유래 (0) | 2023.12.28 |
---|---|
삼성과 삼태성 (0) | 2023.01.24 |
빅뱅 우주론이 거쳐온 길부터 암흑물질의 중요성까지 (0) | 2022.12.05 |
블랙홀 정보 역설(Black hole information paradox)이 무엇일까? (0) | 2022.11.06 |
우주에서의 우리의 위치는 어딜까? (0) | 202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