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 어휘론
본문 바로가기

언어/그 외 언어

언어학 - 어휘론

728x90

1. 어휘론의 개념

어휘론(lexicology)특정 언어의 어휘목록(lexicon)을 분석하는 언어학의 한 분과를 말한다.

어휘(word)스스로 존재할 수 있는 언어의 가장 작은 의미 단위이며, 형태소(morpheme)로 불리는 작은 구성 요소와 그 보다 더 작은 음운(phoneme), 구별 가능한 소리들로 구성된다.

다시 정리하면 이런 어휘의 형성, 철자(spelling), 기원, 사용, 정의, 어휘들 간의 관를 포함한 모든 특징을 연구하는 학문이 바로 어휘론이다.

lexicology의 유래

 

2. 어휘론의 핵심 학문, 어원학

어휘론(Lexicology)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학분 분야가 어원학(etymology)이다.

어휘론은 단어의 의미와 그 의미적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인데, 그러기 위해서 그 단어의 역사와 변천 과정을 연구하게 되는데, 이 때 쓰이는 학문이 바로 어원학이기 때문이다.

etymology의 유래

etymology 자체는 '진실한'이란 의미에서 유래했기에 '어원학'은 '단어의 '진실한' 의미를 찾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

어원학은 언어학에서 동계어(cognate)의 자료를 비교해 현대 언어의 조상의 음운학적, 형태학적, 통사적 요소들을 재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들의 집합인 비교 방법(comparative method) 혹은 비교 재구(comparative reconstruction)를 사용해 관련된 언어들을 분석한다.

 

이러한 작업은 인도유럽어족에서 갈라진 언어들의 많은 어근은 인도유럽조어(PIE)의 단일 어근에서 파생되었고, 그 근원의 언어를 찾을 수 있다는 가정에서 시작된다.

유럽 중심에서 조금 먼 섬나라에서 쓰이는 영어만 봐도, 앵글로색슨족의 고유어보다 주변의 언어들에서 빌려온 외래어(차용어)에서 유래된 단어들이 더 많은데, 이렇게 되면 각각의 언어의 전파 과정을 유추할 수 있고, 그렇게 PIE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arkour(파쿠르)는 프랑스어에서, sushi(스시)는 일본어에서, coconut(코코넛)은 포르투갈어에서, mango는 힌디어에서 유래했다는 식으로 단어 하나 하나의 유래 관계를 언어 기원에 따라 분류한다.

이렇게 유래가 밝혀진 단어들은 차용된 언어적 요소(음소, 형태소, 의미 등)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lexicology는 형태론적으로 lexico-와 -logy가 합쳐진 것이라는 식이다.

 

3. 어휘론의 접근, 공시태와 통시태

어휘론은 크게 두 분류로 나뉜다.

음소나 형태소와 같은 언어의 특정한 특성과 무관하게 어휘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하는 보편어휘론(general lexicology)과 문법과 같은 특정 언어가 어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는 특수어휘론(special lexicology)으로 말이다. 이 두 분야 모두에서 특정 어휘를 연구할 때 '공시태와 통시태'라는 두가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공시태(synchrony) 통시태(diachrony)
공시적 어휘론(Synchronic lexicology)
서술적 어휘론(
descriptive lexicology)
통시적 어휘론(diachronic lexicology)
역사적 어휘론(historical lexicology)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언어의 어휘를 연구
(언어의 발달 초기 단계, 현재 상태 등의 범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휘와 어휘 형성의 진화를 연구
(단어의 기원, 그 이후에의 단어의 구조, 의미, 사용법의 변화 등)

어휘론은 이렇게 연구 대상의 범위에 따라 보편어휘론과 특수어휘론으로 나뉘기도 하고, 시간의 범위와 이동 상태에 따라 공시적 어휘론, 통시적 어휘론으로 나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어휘론의 연구방법에는 비교방법론(comparative methodology)과 대조방법론(contrastive methodology)이 있는데, 연구에 따라 이 두 방법론을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 

언어별 기수사 1 2 3 4 5
영어 one [원] two [투] three [쓰리] four [폴] five [파이브]
독일어 ein [아인]
eins [아인스]
zwei [츠바이] drei [드라이] vier [피얼] fünf [푼프]
프랑스어 un [응] deux [두] three [트와] quatre [까톼] cinq [사키]
이탈리아어 un [운]
uno [우노]
due [두에] tre [트레] quattro [꽛트로] cinque [신퀘]

위 언어를 보면 1~5까지의 기수사를 영어와 독일어가 서로 비슷하게 발음하며, 프랑스어와 이탈리어가 또 서로 비슷하게 발음한다.

게르만어파 독일어
영어
이탈리아어파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그러면 독일어와 영어,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는 각각 하나의 어파로 묶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두 개 이상의 언어 사이에서 공유되는 유사한 자질을 찾는 방법론을 비교방법론이라 한다.

영어와 한국어의 대조방법론적 분석 예시
전이
(발음이 일대일 대응하는가?)
m -> ㅁ
n -> ㄴ
병합(합체)
(발음이 다양한가?)
p -> ㅂ, ㅍ, ㅃ
b, v -> ㅂ
구별부족
(해당 언어에는 있으나 비교 대상의 언어에도 있는가?)
한국어의 조사 '은,는,이,가'는 영어에 없음
재해석
(해당 언어와 비교 대상 언어 모두 있으나 쓰임이 다른 것은?)
유성음의 표현 방식
(한국어은 유무성 구별이 약하나, 영어는 잘 나타나는 편)
과잉구별
(해당 언어에는 없지만, 외국어에 있는가?)
영어의 관계대명사 'that, what, which, who'는 한국어에 없음
분리
(모국어에는 1개지만, 외국어는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것은?)
ㄹ-> l, r
한국어의 가정법은 단순하지만, 영어는 더 세분화 됨

위에서 영어와 한국어를 6가지 방법으로 대조한 것처럼

관련된 언어와 관련 없는 언어를 구별하는 언어적 특성을 찾는 방법론을 대조방법론이라 한다.

 

4. 의미론과 어휘의미론

semantics의 유래

의미론(semantics)특정 단어가 지칭하는 바(mark, sign, 즉,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의미론의 다양한 분야 중 특히 어휘론적 작업과 관련된 의미론의 하위 분야를 어휘의미론(lexical semantics)이라고 한다.

이 분야는 쉽게 말해, 동의성(synonymy), 반의성(antonymy), 상하의성(hyponymy and hypernymy), 다의성(polysemy)을 포함한 다양한 단어의 중요성과 의미 관계를 연구한다. 여기엔 의미론(의미변화론, semasiology), 명의론(고유명사 의미론, onomasiology) 등이 포함된다.

 

이 어휘의미론에 따라 단어는 문법적 의미(grammatical meaning)와 어휘론적 의미(lexical meaning) 두 종류의 의미를 가진다. 우선 문법적 의미는 접사(affix)에서 추론할 수 있는 시제, 수(단복수)와 같은 언어에서 단어의 기능을 말한다. 한편, 어휘론적 의미는 단어의 단일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단어가 '기본적인 단어'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영어의 동사 to look은 looks, looked, looking이 될 수 있다.

각 단어는 어형 변화나 접사에 의해 시제와 수가 구분이 되기에 다 다른 문법적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그 단어 모두 '노력을 해서 무언가를 바라보다'라는 같은 어휘론적 의미를 가진다는 말이다.

 

5. 어구(phrase)를 연구하는 어법(표현법)

어휘론의 또 다른 초점은 'When pigs fly(돼지가 날 때라면(=말도 안된다!))와 같은 다중 언어 표현이나 관용구(Idiom)를 연구하는 어법(표현법, phraseology)이다. 전체적인 어구(phrase)의 의미는 각 단어 자체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구성 요소를 개별적으로 고려해 해석한다면 그 어구 자체의 의미를 예측하기 힘들다. 그래서 이 다중 언어 표현과 관용구(어구들의 결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왜 그런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단어들의 조합은 어떤 법칙을 따르는지를 분석한다.

 

6. 모든 어휘론적 연구를 정리하자, 사전학(사전편찬학)

'사전편찬학'이라고도 불리는 사전학(Lexicography)어휘 목록(lexicon)을 연구하는 학문이면서, 사전(dictionary)를 편찬하는 기술이다. 이 사전학은 두 분야로 나뉜다.

실제적 사전학(practical lexicography) 이론적 사전학(theoretical lexicography)
=초월사전학(metalexicography)
- 사전 내용 수집, 기록, 편집하는 기술 - 어휘소(lexeme)의 의미론적, 정자법적, 구문론적, 통합(syntagma)적, 패러다임(paradigm)적 특징에 대한 학문적 연구
- 사전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사전 구성 요소와 구조에 대한 이론, 특정 유형의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한 정보 필요성, 인쇄, 전자 사전 등을 통한 통합된 데이터에의 사용자의 접근성 고려 

그런데 어떻게 보면 사전학(사전편찬학, lexicography)과 어휘론(lexicology)의 정의는 비슷해 보인다.

실제로 학자에 따라 어휘론(lexicology)=이론적 사전학(theoretical lexicography)이라고 보는 경우도 있고, 사전학(lexicography)이 어휘론이 아닌 단순히 특정 언어의 단어 목록(inventory)과 관련된 언어학이라는 큰 범위에서의 한 분야로 여기기도 한다.

 

뭐가 옳은지는 학자들이 연구해줄테니 단순히 어휘론(lexicology)으로 정리된 어휘들관의 관계는 사전편찬학(lexicography)을 통해 사전(dictionary)를 만들 때 큰 도움을 준다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