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09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57)
정렬 : 크기 순서대로 나열하기 1. 정렬의 필요성과 알고리즘 대량의 자료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빨리 찾기 위해서는 자료들을 어떤 기준에 의해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 자료를 날짜별, 종류별, 장소별과 같은 기준을 정해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자료)들을 가나다순 혹은 크기순으로 정렬해 놓으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데 드는 시간을 훨씬 단축할 수 있다. 이렇게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정렬에 대해 정리할 것이다. 1-1.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정렬 과일 이름 목록 사과 파인애플 모과 복숭아 살구 자몽 포도 메론 백도 수박 황도 대추 매실 앵두 토마토 자두 참외 키위 위와 같은 표에서 '수박'을 찾으려면 처으무터 하나하나 과일 이름을 쭉 훑어보아야 한다. 이를 순차 탐색이라고 한다. 그러나 순차 탐색은 시간이 많이 걸리..
手強い와 恐い, 怖い 글을 읽다가 手強い라는 형용사를 보게 되었다. 당연히 [테츠요이] 혹은 [테즈요이]라고 읽을 줄 알았지만, [테고와이]라고 읽는 것을 알게 되었다. 왜 '공포'를 표현하는 [코와이]로 읽는지 궁금해 찾아봤다.1. 恐い와 怖い, 그리고 強いこわい[코와이]라는 형용사를 한자로 쓸 때, 흔히 怖い나 恐い로 쓸 수 있다. 그러나 가끔 強い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이 3개의 한자가 각각 어떤 어투로 쓰이는 지 알아보자. 1-1. 恐い恐い[코와이]는 '자신에 대한 위험이나 불안을 느끼고 두려워하다(おそれる)'라는 뜻이다. 특정 대상에 가까워지면 자신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불안해지거나, 무언가 자신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생각하고 겁이 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나쁜 ..
효율적 컴퓨팅 사고 : 자료에서 정보 찾기 1. 효율적인 자료의 표현과 검색 자료와 정보.. 어디서 들어보지 않았는가? 그렇다. 저번에 자료와 정보의 차이를 정리하며 자료의 단위에 대해 정리한 적이 있었다.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625)을 참고 바란다. 이전 글에서는 자료는 단순한 사실이나 결과값이며, 정보는 자료(그 사실과 결과값)을 처리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형태로 가공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여기선 자료와 정보를 새롭게 정의하겠다. 다만 위의 정의와 완전 다른 것은 아니며, 비슷한 의미가 될 것이다. 컴퓨팅 사고에서 자료(data)는 연구나 조사 등의 바탕이 되는 재료로써, 만들거나 이루는데 바탕이 되는 물자나 재료를 말한다. 그리고 정보(information)는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
모스크바 대공국이 지고 루스 차르국(러시아 차르국)이 나타나다 1. 공국으로 분리되다. 1238년 1월, 몽골제국의 오고타이 칸(1185/1186~1241)의 명을 받은 킵차크 칸국의 칸 바투(Бату, 1205~1255)가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의 모스크바를 점령했고, 당시 모스크바 크냐지(왕격 공작)였던 블라디미르 유레비치(Владимир Юрьевич, 1218~1238)를 성벽 앞에서 살해했다. 그러나 지형이 울퉁불퉁하고 산이 많은 이곳을 몽골이 직접 다스리기는 힘들어 그냥 남쪽으로 내려가버렸다. 그렇게 모스크바 크냐지는 약 14년간 공석이었다가, 1246년 미하일 야라슬라비치 호로블리트(Михаил Ярославич Хоробрит, 1229~1248)가 크냐지 지위를 맡으며 다시 일어서게 된다. 그러나 1248년, 그가 전투에서 사망하며 모스크바 크냐지라..
고대-중세 유럽은 어떤 학문을 배웠을까? 현대 대한민국의 대학 교육은 취업과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이 되고 있고, 학문도 그만큼 다양하다. 그 중 교양과목(liberal arts)의 종류도 점차 세부적으로 나뉘며 여러 과목이 생겨났다. 이 때 궁금증이 들었다. 그렇다면 고대와 중세 유럽에서는 어떤 교양과목을 배웠을까? 1. 자유과와 자유7과 자유과(liberal arts)는 '보편적 이해에 대한 열망'으로 시작된 고대 그리스적 탐구 방법의 연장선이었다. 그 유명한 피타고라스는 우주의 수학적/기하학전 조화(하모니)가 있다고 주장했고, 중세까지 그를 따르던 사람들은 이 주장을 바탕으로 천문학, 수학, 기하학, 음악의 4가지 기예(art)를 4과(quadrivium)로 만들었다. 한편, 아테네에서는 폴리스나 도시국가의 정부는 수사학이나 대중 연설을 특..
돈 되는 글 17 - 미국의 시간대 그리고 프리마켓과 애프터아워 1. 미국의 시간대 에 따르면 미국은 총 11개의 시간대를 사용하고 있다. 시간대 써머 타임(일광 절약 시간제) 표준시 한국과의 비교 (UTC+09:00) 써머 타임 표준 시간 대서양 시간대 - UTC-04:00 - -13시간 동부 시간대 동부 써머타임 (UTC-04:00) 동부 표준시 (UTC-05:00) -13시간 -14시간 중부 시간대 UTC-05:00 UTC-06:00 -14시간 -15시간 산악 시간대 UTC-06:00 UTC-07:00 -15시간 -16시간 태평양 시간대 UTC-07:00 UTC-08:00 -16시간 -17시간 알레스카 시간대 UTC-08:00 UTC-09:00 -17시간 -18시간 하와이-알류샨 시간대 UTC-09:00 UTC-10:00 -18시간 -19시간 미국령 사모아 시간..
라코닉 화법이란? - 스파르타와 화법 마케도니아의 필립 대왕이 스파르타에 주저리주저리 최후통첩을 보냈다. "즉각 항복하는 것이 좋을 거다. 만약(if) 내가 군대를 이끌고 너희 나라로 들어갈 경우에는, 내가 너희의 농장을 파괴하고, 너희 백성을 도살하고, 너희 도시를 무너뜨릴 테니까." 스파르타의 공식 답변은 딱 한 단어였다. "만약에(if)" 스파르타의 승리다. 수사학에선 이런 축약어법을 라코닉(laconic)이라 부른다. 소크라테스도 탄복했다는 스파르타 사람들의 라코닉이 요즘 한국사회에서도 뜨고 있다. - 부산일보 1. 라코니아 라코니아(Laconia, Lakonia)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남동쪽에 위치한 역사적 지명이자 현재의 그리스의 행정 구역 중 하나이며, 행정 중심지는 스파르티(Σπάρτη) 즉 스파르타다. 북쪽으로는 아르카디아에..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문학 - 엔헤두안나와 길가메시 서사시 1. 메소포타미아 문명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 Μεσοποταμία)는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 유역에 위치한 서아시아의 역사적 지역을 말한다. 역사시대 이후 약 기원전 3100년경부터 바빌로니아인, 아시리아인, 수메르인과 아카드인이 기원전 539년까지 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했으며, 이후 아케메네스 왕조가 있었다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함락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사망하고 나서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역이 되었다. 시간이 지나고 로마가 잠시 이 지역을 차지했다가, 페르시아인 지배층으로 구성된 사산 왕조가 한 동안 지배했다. 이후 아바스 왕조가 들어서면서 이 지역은 이슬람화가 진행되었고, 사파비 왕조, 오스만 제국까지 이어지면서 이러한 경향은 강해졌다. 이후 이라크가 독립하고 여러 이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