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리, 이슈/과학&기술'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본문 바로가기

용어 정리, 이슈/과학&기술

(84)
인공지능 학습과 프로그래밍 - 인공지능 학습과 텍스트 데이터 1.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의 탄생 1945년, 헝가리계 미국인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였던 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 1903~1957)은 에서 세계 최초로 프로그램 내장식 컴퓨터의 논리적 설계에 대해 발표했다. 그가 보고서 초고에서 적은 프로그램 내장식 컴퓨터는 훗날 현재에도 거의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방식인 폰 노이만 구조(Von Neumann architecture)라고 불린다. 1946년, 영국 출신의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 앨런 튜링(Alan Turing, 1912~1954)은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식 컴퓨터(stored-program computer) 설계와 관련된 논문을 발표했다. 시간 순으로 보면 최초로 이 프로그램 내장식 컴퓨터에 관한 내용을 기재한 것은 존 폰 ..
인터페이스와 인공지능 1. 인터페이스와 프로그램 인터페이스(interface)라는 말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interface)는 독립체(entity) 간의 접촉 및 상호연결(interconnection)을 뜻하며, 컴퓨터 분야에서는 특정한 대상들(사물과 사물, 사물과 인간) 사이의 경계에서 상호 간의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물리적 매개체나 프로토콜을 말한다. 컴퓨터 분야에서는 주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hardware interface),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software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로 분류한다. 인터페이스(interface)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hardware interface)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soft..
GAIQ 자격증 - 애널리틱스 아카데미 수강신청 방법 최근 애널리틱스 자격증을 따려는 움직임이 많아졌다. 교육과정과 시험 비용이 무료이며, 한국어 지원도 된다. 또, 초보자용 같은 경우 자격도 금방 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효기간이 12개월(1년)이라는 것이 단점이라면 단점이다. 그럼에도 해당 자격을 얻는 과정에서 검색엔진 최적화, 퍼포먼스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 등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능력과 방법을 얻을 수 있기에 점점 많은 사람들이 따고 있다. 1. Google 애널리틱스 강의 수강신청 방법 12개월이라는 유효기간이 있지만 최근 등장한 새로운 자격증으로 면접 및 서류 심사에서 사람들의 이목을 한 번 더 집중시킬 수 있다. 난 아직 1학년이라 내가 취업할 때쯤 다들 이 자격증을 따고 있기에 좀 메리트는 없겠지만, 우선 구글애즈와 애널리틱스를 사..
닌텐도의 버추얼 콘솔 Wii U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でのプレイ映像です。 Will U 버추얼 콘솔로의 플레이 영상입니다. 위 문장을 보고 내가 아는 버추얼 콘솔이 맞는지 궁금해서 찾아봤다. 1. 닌텐도의 버추얼 콘솔 여기서 말하는 버추얼 콘솔은 가상의 모니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가상 콘솔(VC, Virtual Console)과 다른 것이다. 통칭 VC라고도 불리는 닌텐도의 버추얼 콘솔(Virtual Console, 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은 닌텐도 게임기에서 이루어지는 기존에 출시된 일부 컴퓨터 게임이나 기존에 설치된 일부 아케이드 게임을 내려받아 플레이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 소프트웨어 서비스다. 이 버추얼 콘솔의 소프트웨어는 모두 다운로드 판매라는 디지털 통신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
나누어서 처리하기 : 문제 세분화의 필요성과 프로그램 구현 1.일상생활에서의 작업 세분화 작업 세분화는 주변에서 흔히 사용된다. 건설 공사를 하는 경우, 어느 구역에 어떤 건물을 어떻게 지을지 계획하고, 각 층별로 어떻게 쌓을지 나눠 건설을 준비한다. 이렇게 '소형 아파트 단지를 짓자'라고 단순히 표현된 문장을 'A구역에는 101동을 30층 높이로 48평수로 짓고, B구역에서는 102동을 32층 높이로 48.5평수로 짓고, C구역에는 주민 휴식 공간을 건설하되 나무를 총 20그루 심고, 꽃은 민들레와 튤립으로 하며, 땅은 시멘트는 쓰지 말자'라는 식으로 세분화 하는 것이다. 일상 속에서 방청소를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방청소 하기'라는 목적을 '창문 열기-침대 위의 물건을 치우고, 이부자리를 정리하기-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제자리에 놓기-벗어놓은 옷들은 옷장에..
정렬 : 크기 순서대로 나열하기 1. 정렬의 필요성과 알고리즘 대량의 자료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빨리 찾기 위해서는 자료들을 어떤 기준에 의해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 자료를 날짜별, 종류별, 장소별과 같은 기준을 정해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자료)들을 가나다순 혹은 크기순으로 정렬해 놓으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데 드는 시간을 훨씬 단축할 수 있다. 이렇게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정렬에 대해 정리할 것이다. 1-1.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정렬 과일 이름 목록 사과 파인애플 모과 복숭아 살구 자몽 포도 메론 백도 수박 황도 대추 매실 앵두 토마토 자두 참외 키위 위와 같은 표에서 '수박'을 찾으려면 처으무터 하나하나 과일 이름을 쭉 훑어보아야 한다. 이를 순차 탐색이라고 한다. 그러나 순차 탐색은 시간이 많이 걸리..
효율적 컴퓨팅 사고 : 자료에서 정보 찾기 1. 효율적인 자료의 표현과 검색 자료와 정보.. 어디서 들어보지 않았는가? 그렇다. 저번에 자료와 정보의 차이를 정리하며 자료의 단위에 대해 정리한 적이 있었다.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625)을 참고 바란다. 이전 글에서는 자료는 단순한 사실이나 결과값이며, 정보는 자료(그 사실과 결과값)을 처리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형태로 가공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여기선 자료와 정보를 새롭게 정의하겠다. 다만 위의 정의와 완전 다른 것은 아니며, 비슷한 의미가 될 것이다. 컴퓨팅 사고에서 자료(data)는 연구나 조사 등의 바탕이 되는 재료로써, 만들거나 이루는데 바탕이 되는 물자나 재료를 말한다. 그리고 정보(information)는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
애플이 하루 만에 삭제한 부자들만 살 수 있었던(?) 앱 옛날 옛날 부자들만 살 수 있었던 앱이 애플 스토어에 등장했어요. 그런데... 어떤 연유로 그 어플은 애플에 의해 삭제되었답니다! 1. 어느날, 애플스토어에 이상한 어플이 등장했다. 현지시간 2008년 7월 10일, 즉 한국시간 2008년 7월 11일경, iPhone 3G용 OS라고도 불리는 아이폰 OS 2.0가 발표되면서 아이폰용 앱 스토어가 출시되었다. 이 날 등록된 어플은 약 500개의 정도밖에 없었지만, 스마트폰은 어플을 다운받을 수 있다라는 인식을 넓혀준 중대한 날이었다. 그러던 중 2008년 8월 5일,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에 독일의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아르민 하인리히(Armin Heinrich)라는 이름의 제작자가 만든 어플 1개가 올라왔다. 어플의 이름은 '나는 부자다'라는 뜻의 'I A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