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초이스 3 : 4판(smart choice 3 : 4th edition) 문법 정리 1
본문 바로가기

언어/영어

스마트 초이스 3 : 4판(smart choice 3 : 4th edition) 문법 정리 1

728x90
학교에서 듣는 '대학실용영어(II)' 강좌에서 사용하는 책에 나오는 문법들을 복습하려고 정리해봤다. 누군가 이 과목을 듣는다면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뭐..근데 2021년부터 '대학영어'로 수업이 합쳐졌기 때문에 단순히 영어 문법을 간단하게 익히고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이 있다면 이 글을 참고해도 좋을 것 같다.

참고)


스마트 초이스 3 : 4판(smart choice 3 : 4th edition) 문법 정리 2(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64)

1. 스마트 초이스 3 : 4판(smart choice 3 : 4th edition)

스마트 초이스 3 : 4판(smart choice 3 : 4th edition)은 옥스포드 대학출판부(Oxford University Press)에서 출판하고, 켄 윌슨(Ken Wilson) 교수 등이 쓴 비영어권 외국인용을 위한 영어 입문서다. 총 4개의 시리즈(Starter, Level 1, 2, 3)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로 연습할 수 있는 사이트(https://smartchoice4e.oxfordonlinepractice.com/)에 책 뒷편의 코드를 등록(register)해 듣기, 말하기 연습을 계속할 수 있다곤 하는데...뭐 영어를 정말 모르거나 꼭 해야할 사람만 하길 바란다.

솔직히 듣기파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책만 봐도 할 수 있고, 그 마저도 그냥 번역기에 문장 옮겨서 발음 들으면 그만히다. 또, 1책 1코드로, 만약 level 3의 코드를 입력했다면, 그 종류의 교재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직접 사이트에 코드를 입력해 듣는 건 비추천한다.

이 시리즈는 A1(입문)~B1(중급) 단계까지의 영어 수준을 익힐 수 있는 책이며, 이 중 level 3은 여행에서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거나 취미, 업무, 가족에 관한 간단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B1(중급) 수준의 영어를 익힐 수 있다. 이제 이 책 소개는 그만하고 책에 나오는 문법을 정리하겠다.

2. 01과(I've been running.) 문법 : 현재완료진행(PPC) - since와 for

현재완료진행(present perfect continuous)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반복적으로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한다.

How long have you been studying?
공부한지 얼마나 됐나요?
언제부터 '지금까지 계속' 공부했나요?
He has been talking on the phone for an hour.
그는 1시간 동안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직역 : 그는 1시간 동안 전화기로
이야기하고 있다.)
'지난 1시간 동안 계속' 통화하고 있다.
Have you been taking tennis lessons for very long?
당신은 테니스 레슨을
받은 지 오래됐나요?
'지금까지 반복적으로' 테니스 레슨을 받았나요?

여기서 현재완료진행과 현재완료(present perfect)의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한데, 현재완료는 경험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하며, 현재완료진행은 지속적(계속적)/반복적으로 일어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쓴다는 차이가 있다.

I've watched that movie three times.
난 저 영화를 3번
봤다. [현재완료]
'저 영화 전체를 과거 어느 시점에서 3번' 봤다.
I've been watching this movie for the past hour.
난 이 영화를 1시간동안
보고 있다. [현재완료진행]
'이 영화를 1시간 동안 계속' 보고 있다.
Somebody has used my camera.
누군가가 내 카메라를
썼다. [현재완료]
누군가가 내 카메라를 '최근에 최소 1번' 썼다.
Somebody has been using my camra.
누군가가 내 카메라를
쓰고 있다. [현재완료진행]
누군가가 내 카메라를 '반복적으로' 쓰고 있다.

현재완료진행은 'have/has + been +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 : -ing 형)'으로 구성된다.

현재완료진행 표기 예시
I/You/We/They have
've
been running. He/She/It has
's
been running.
have not
haven't
has not
hasn't

이렇게만 쓰는 경우도 있지만, '언제부터'라는 특정적인 시점을 더해주기 위해 현재완료진행에 전치사구 'since + 날짜(date)/시간(time)'과 'for+기간(period of time)'을 더하기도 한다. 여기서 since와 for를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예를 들어 알려주겠다. 'since 2 months'라고 하면, '2달전부터'라는 뜻이 되며, 'for 2 months'라고 하면 '2달 동안'이라는 뜻이 된다.

I have been running marathons since 2020.
2020년부터 마라톤을 하고 있다.
I have been running marathons for two years.
2년 동안 마라톤을 하고 있다.

 

3. 02과(I wonder what it's about.) 문법 : 간접의문문

직접의문문 간접의문문
What's it about?
뭐에 관한거에요?
Do you know what it's about?
무엇에 관한건지
아시나요?
Why is the show popular?
왜 그 쇼는 유명한가요?
Can you explain why the show is popular?
왜 그 쇼가 유명한지
설명해줄 수 있나요?

간접의문문(indirect question)은 질문을 좀 더 정중하게 혹은 좀 더 형식적으로 표현할 때 혹은 더 많은 정보를 줄 때 사용하며, 크게 wh- 의문문(wh- question, wh- 단어(wh- word)로 시작하는 질문)과 예-아니오 의문문(Yes–no question, '예'나 '아니오'로 답하는 질문의 통칭)로 나뉜다.

wh- 의문문 예-아니오 의문문
Can you tell me what happened in class today?
오늘 교실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해 줄 수 있나요?
Can you tell me if we won the game?
우리가 게임에서 이겼는지 말해줄 수 있나요?
Do you know why this show is popular?
이 쇼가 왜 유명한지 아시나요?
Do you know if the bookstore is open tonight?
오늘 밤 그 서점이 문을 여는지 아시나요?

일반적인 의문문과 다르게 이 간접의문문에서는 평서문처럼 주어+동사의 형태를 띈다. 또한 부정적인 질문(아래 예시의 3,4번)이 아니면 조동사(helping verb)를 쓰지 않는다!(특히 아래 예시의 2번)

도입문(introductory sentence) + wh-/if(=whether) + 주어 + 동사~
What is his name? => What do you think his name is?
Why did he leave? Can you explain whay he left?
Why didn't he stay? I wonder why he didn't stay.
Why didn't he text? Do you know why he didn't text?

 

4. 03과(It was painted by a street artist.) 문법 : 수동(수동태)

능동문(active sentence)에서 주어는 행위수행자인데, 수동문(passive sentence)에서는 주어가 행위수용자가 된다.

능동문
[주어=행위수행자]
수동문
[주어=행위수용자]
Eiffel designed the Statue of Liberty.
[Eiffel=행위수행자]
The Statue of Liberty was designed by Eiffel.
[The Statue of Liberty=행위수용자]
He wrote this book.
[He=행위수행자]
This book was written by him.
[This book=행위수용자]

수동(passive)은 행위 수행자(행위자(the agent))를 모를 때, 문맥 상 확실할 때, 행위자가 일반인에게 언급할 때 사용한다.

My car was stolen. '누군지 모르는 사람에 의해' 내 차가 도둑맞았다.
This food was cold when it was served. '문맥상 웨이터가' 서빙했을 때, 이 음식이 차가웠다.
What is this called in English? '일반인에게' 이것을 영어로 뭐라고 부르는가?'에 대해 언급'

단순 현재(simple present)와 단순 과거(simple past)에서, 수동은 조동사+과거분사(past participle, P.P.) 형태로 구성된다.

단순 현재에서의 수동
I am (not) admired by fans
You/We/They are (not)
He/She/It is (not)
단순 과거에서의 수동
I/He/She/It was (not) admired by fans
You/We/They were (ot)

 

5. 04과(Who's your best friend?) 문법 : 관계절 (주격/목적격/소유격)

관계절(relative clause)은 사람이나 사물을 분류, 정의, 확인할 때 사용하며, 명사 뒤에 따라온다. 즉, 명사+관계절의 형태로 구성된다.

I have good parents who are interested in books.
책에 관심 많으신 멋진 부모님을 가지고 있다.
I work in a store which sells musical instruments.
악기를 파는 상점에서 일한다.

관계대명사(who, which, that)으로 시작하는 관계절은 대상에 따라 다른 관계대명사를 쓰는데, 사람인 경우 who, 사물인 경우 which를 쓴다. 그리고 that은 사람, 사물 그 어느 대상이든 쓸 수 있다.

대상 대상에 따라 쓰이는 관계대명사
사람 +who +that
사물 +which
I have a friend [who is very generous].
friend=사람
I go to a school [which is very far]. school=사물
Do you like people [that talk a lot]? people=사람
Can you find a video [that will make me happy]? video=사물

관계대명사(who, which, that)은 관계절 안에서의 주어나 목적어로 기능할 수 있다.

주어로서의 관계대명사
[
명사+목적격 관계대명사+동사]
목적어로서의 관계대명사
[명사+목적격 관계대명사+명사/대명사+동사]
I like a game [that is challenging].
I saw a bird [that I liked].
I like to be around people [who are friendly]. Those are the people [who she likes].

여기서 관계대명사가 관계절의 주어인 경우, 그 동사는 동사 앞에 오는 주어와 일치된다. 관계대명사가 관계절의 목적어인 경우, 그 동사는 관계절의 주어와 일치된다.

I know lots of people who are outgoing.
Those are the people who he was talking about.

관계대명사는 주격, 목적격 뿐 아니라 소유격 관계대명사로도 표현할 수 있는데, whose는 그 뒤에 오는 명사가 선행명사에 속함을 나타낸다.

These are the people whose party was last week.
이들은 지난주에 (그 사람들이 열었던 그) 파티를 했던 사람들이다.
This is the woman whose childern study with me.
여성의 아이들이 나와 공부한다.
These are the people whose house she rents.
이들은 그가 렌트한 집을 가진 사람들이다.
This is the man whose sister you hired.
남자의 여동생을 당신이 고용했다.

마지막으로, 관계대명사 who, which, that을 생략할 순 있지만, 관계대명사 whose는 생략할 수 없다!

This is the man they meet.
I loved the movie we watched last week.
This is the boy whose parents I met yesterday.

 

6. 05과(Gotta have it!) 문법 : 부정사와 for+동명사

어떤 대상의 일반적인 목적이나 쓰임에 대해 이야기할 때, 부정사(infinitive, 특히 완전부정사(to부정사)) 또는 for + 동명사(gerund)를 쓸 수 있다. 이 두 표현의 뜻은 같다고 보면 된다.

I often use my phone (in order) to share photos.
난 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내 전화기를 자주 쓴다.
I often use my phone for sharing photos.
난 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내 전화기를 자주 쓴다.

그런데 여기서 완전부정사(to부정사)는 for+동명사에게는 없는 용법이 존재하는데, 행위에 대한 누군가의 목적 혹은 이유를 표현할 때는 완전부정사(to부정사)만 쓴다.

I went to the shop (in order) to buy a new pencil I went to the shop for buying a new pencil
완전부정사(to부정사) 동명사
이유, 목적 모두 말할 때 사용 가능 이유(reason) 말할 때만 사용

마지막으로, 완전부정사에서 in order to+V라는 표현이 단순히 to+V보다 약간 더 형식적이고 공손한 표현이다.
그리고, in order not to는 in order to보다 더 흔히 쓰이는데, 부정에서는 not to보다는 in order not to를, 긍정일 때는 to나 in order to를 쓰면 좋을 것 같다.

7. 06과(He'd never seen the desert.) 문법 : 과거완료(PP)

과거완료(past perfect)는 특정한 과거의 사건보다 더 전에 발생한 과거에 일어난 한 사건을 나타낼 때 쓴다.
과거 완료는 더 이전의 사건을 나타내며, 단순 과거(simple past)는 짧은 범위에서의 이전의 사건을 나타낸다. 과거완료, 현재완료, 현재완료진행의 범위와 단순과거, 단순현재가 어느 시점을 나타내는지 표로 정리해놨으니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현재 이후는 '당장의 현재'를 표현한 것으로 미래를 표현하는 것은 아님

When we arrived, the party had already started.
우리가 도착했을 때, 그 파티는 이미 시작되었다.
파티 시작->우리가 도착
She had already left when i called.
내가 불렀을 때, 그녀는 이미 떠났다.
그녀가 떠남->내가 부름
We just learned that she had had a child.
그녀가 아이를 가졌다는 것을 우리는 막 알게되었다.
그녀가 아이를 가짐->우리가 그 사실을 알게 됨

과거완료는 had+과거분사(P.P)의 형태로 표현한다.

I/You/He/She/It/We/They had left by the time i got there.
had not left
hadn't left

이 과거완료는 because나 when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아래 예문을 보자.

She was upset because she had missed her flight.
그녀는 그녀의 비행기를 놓쳐 화났다.
She was late to the airport because he had forgotten to her ticket.
그는 그의 티켓을 까먹어서 공항에 늦었다.
When she got to the airport, thr plane had already taken off.
그녀가 공항에 도착했을 , 그 비행기는 이미 이륙했다.
He had just fallen asleep when the phone rang.
그가 막 잠들었을 때 전화기가 울렸다.

과거완료는 because나 when 말고도 뒤에 by the time+단순과거동사를 쓰기도 한다. 아래 예문을 보자.

By the time I was 21, I had traveled all over the world.
21살이 되었을
때까지, 난 전세계를 여행했다.
She had already left by the time I got there.
내가 그곳에 도착했
을 쯤에 그녀는 이미 떠났다.

그 외, 전치사 before이나 after을 사용해 사건의 순서를 명확하게 만들 수도 있는데, 이러한 단어들을 쓸 때, 과거완료는 필수는 아니다.

They arrived a few minutes after we left.
We aye dinner before they arrive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