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듣는 '대학실용영어(II)' 강좌에서 사용하는 책에 나오는 문법들을 복습하려고 정리해봤다. 누군가 이 과목을 듣는다면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뭐..근데 2021년부터 '대학영어'로 수업이 합쳐졌기 때문에 단순히 영어 문법을 간단하게 익히고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이 있다면 이 글을 참고해도 좋을 것 같다. 참고) 스마트 초이스 3 : 4판(smart choice 3 : 4th edition) 문법 정리 1(https://mspproject2023.tistory.com/763) |
1. 07과(Time for a new look!) 문법 : have/get something done
우선 능동과 사동의 표현과 뉘앙스 차이를 알아보자.
능동(active) | 사동(causative) |
I cut my hair. 난 내 머리카락을 스스로 잘랐다. |
I had/got my hair cut. 난 다른 누군가가 내 머리카락을 자르게 했다. |
I'm going to cut my hair. 난 내 머리카락을 자를 것이다. |
I'm going to have/get my hair cut. 난 다른 누군가가 내 머리카락을 자르게 할 것이다. |
'have/get + 목적어 + 과거분사'는 다른 누군가에게 화자를 위해 무언가를 부탁할 때 사용한다. 뜻은 '(다른 누군가에게) 대상(목적어)를 대상으로 어떤 일(과거분사)을 하도록 시키다'이며, 여기서 have와 get은 본동사(main verb)로서 기능한다.
I'm going to have my hair cut. 제 머리를 자르게 하려고 합니다. |
다른 누군가가 내 머리카락을 자를 것이다. |
She got her nails done. 그녀의 손톱을 손질하게 한 것이 끝났다. |
다른 누군가가 그녀의 손톱을 손질했다. |
주어 | have/get | 목적어 | 과거분사 |
I |
have | my car | washed. |
나는 (누군가에게) 내 차를 씻기게 한다. | |||
You | get | your hair | dyed. |
너는 (누군가에게) 네 머리를 염색하게 한다. | |||
He | has | his house | painted. |
그는 (누군가에게) 그의 집을 칠하게 한다. |
|||
She | gets | her computer | fixed. |
그녀는 (누군가에게) 그녀의 컴퓨터를 고치게 한다. |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목적어는 항상 have/get과 과거분사 사이에 와야 한다는 것이다! 공식이니 암기하길 바란다!
She is going to have her hair dyed. (O) | She is going to have |
그리고 'have/get + 목적어 + 과거분사'는 과거, 현재, 미래에 일어난 그 어떤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 쓸 수 있다. 즉, 시제에 상관없이 'have/get + 목적어 + 과거분사'를 쓸 수 있다는 말이다.
질문 | 대답 |
When do you get your hair cut? 넌 언제 (누군가에게) 너의 머리를 자르게 하니? |
I have my hair cut every month. 난 (누군가에게) 내 머리를 매달 짜르게 해. |
Did you get the car washed? 넌 (누군가에게) 그 차를 씻기게 했니? |
I got my car washed yesterday. 난 (누군가에게) 내 차를 어제 씻기게 했어. |
Are you going to get your beard trimmed? 넌 (누군가에게) 네 턱수염을 손질하게 할거니? |
I'm going to get my beard trimmed. 난 (누군가에게) 내 턱수염을 손질케 할거야. |
2. 08과(My life would be great!) 문법 : 2차 조건문(second conditional)
2차 조건문은 현재 혹은 미래에서 가능성이 낮아보이거나, 불가능하거나, 공상적인 조건이나 결과를 묘사할 때 쓴다.
여기서 if절(if clause)은 가상 조건(imaginary condition)을 소개하며, 주절(main clause)은 그 가상 조건에 의한 가상 결과(imaginary result)를 묘사한다.
2차 조건문 | 실제 상황 |
If I had enough money, I'd buy a car. 내게 충분한 돈이 있었다면, 난 차를 살 것이다. |
I don't have enough money now, so I can't buy a car. 난 충분한 돈이 없어서 차를 살 수 없다. |
If I exercised every day, I'd feel great. 내가 매일 운동했다면, 난 기분이 좋을 것이다. |
I don't exercise every day, so I don't feel great. 난 매일 운동하지 않아서 기분이 좋지 않다. |
여기서 if절을 과거 시제로 썼다면, 주절에서는 would, could, might를 사용해야 한다. 이 중 could와 might는 would보다 덜한 확실성을 묘사한다. 이 말은 if조건에 대한 확실성을 묘사하는 조동사는 would>could, might 순으로 확실성을 표현한다는 것이다. 이는 단어 뜻에서도 알 수 있는데, could는 '할 수 있을 것이다(would be able to)', might는 '아마 그럴 것이다(would possibly)'라는 뜻이다.
2차 조건문 | 의미 |
If I had lots of friends, I would be happy. 만일 내게 많은 친구가 있었다면, 난 행복해질 것이다. |
I'm sure I would be happy. 난 분명 행복할 것이다. |
If I had lots of friends, I could be happy. 만일 내게 많은 친구가 있었다면, 난 행복해질 수 있다. |
I would be able to be happy. 내가 행복할 수 있다. |
If I had lots of friends, I might be happy. 만일 내게 많은 친구가 있었다면, 난 행복해질 수도 있다. |
It's possible I would be happy. 내가 행복해 질수도 있다. |
두 절에서 모두 긍정 동사(affirmative verb)나 부정 동사(negative verb)를 사용할 수 있다.
주절과 부속절 중 그 어느 절이라도 앞으로 나올 수 있다. 중요한 건, 형식이 갖춰진 부속절과 주절이 모두 있어야 2차 조건문이 된다는 것이다.
주절과 부속절 위치 표현 방법 | |
부속절, 주절 | 주절, 부속절 |
그럼 어떻게 표현하는지 마지막으로 정리하겠다.
주절 | 주어 + would/could/might + 부정사(동사원형) |
부속절 | if + 주어 + 동사 과거 |
여기서 알아야 할 사항은 부속절(if절)에서 동사 be를 쓰고 싶다면, 성과 수와 무관하게 were을 써야한다!
if I were ~, if you were ~, if he were ~, if she were ~, if it were ~, if we were ~, if you were ~, if they were ~, |
3. 09과(What would you have done?) 문법 : should have와 would have
should have + 과거 분사 : ~했었어야(만) 했는데 would have + 과거 분사 : ~했(었)을 텐데 |
should/would have + 과거 분사는 과거에 대한 상상 속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쓴다.
이 중, should have + 과거 분사(~했었어야(만) 했는데)는 과거의 상황에 조언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 말은 올바른 행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would have + 과거 분사(~했(었)을 텐데)는 과거에 취해진 조치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표현과 의미 | 함축된 의미 |
You should have sent a birthday card. 넌 생일 카드를 보냈어야 했다. |
넌 생일 카드를 보내지 않았고 그것은 실수(오류)였다. |
You shouldn't have been late. 넌 늦지 말았어야 했다. |
넌 늦었고 그것은 실수(오류)였다. |
Why did you go to France? I would have gone to Italy. 왜 넌 프랑스에 갔어? 나였다면 이탈리아에 갔을 거야. |
같은 상황에서, 난 뭔가 다른 것(ex) 이탈리아 가기)을 했을 것이다. |
한편, 과거에 행동에 대한 조언을 구하기 위해 'should/would have + 과거 분사'라는 어구가 포함된 질문을 자주 사용한다.
예-아니오 의문문 | wh- 의문문 | ||||||
Should Would |
I you he she it we they |
have + waited? | what | Should Would |
I you he she it we they |
have + done? |
4. 10과(Anything's possible.) 문법 : may, might, could, must + have
may/might/could/must (not) + have + 과거 분사는 과거의 확실성에 대한 정도를 말할 때 쓴다.
may (not) might (not) could (not) must (not) |
have | 과거 분사 |
우선 'must have + 과거 분사'는 우리가 과거에 어떤 것이 사실이었다고 거의 확신할 때 사용한다.
예문 | 의미 |
The street was wet when I got up. It must have rained last night. 내가 일어났을 때 그 길은 젖어 있었다. 어젯밤 비가 왔음에 틀림없다. |
난 비가 왔다고 거의 확신한다. |
한편, 'must not/couldn't have + 과거 분사'는 우리가 과거에 어떤 것이 사실이 아니었다고 거의 확신할 때 사용한다.
예문 | 의미 |
He doesn't have a passport. He couldn't have left the country. 그는 여권이 없다. 그는 그 나라를 떠날 수 없을 것이다. |
난 그가 그 나라를 떠날 수 없을 것이라고 거의 확신한다. |
The food is still on the table. They must not have eaten. 음식이 아직 식탁 위에 있다. 그들이 먹지 않았음에 틀림없다. |
난 그들이 먹지 않았을 것이라고 거의 확신한다. |
마지막으로, 'may (not) have, might (not) have, could have'는 과거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확실하지 않고 단지 추측만 할 때 사용한다.
예문 | 의미 |
I can't find my book. I may have left it at work. 난 내 책을 찾을 수 없어. 그걸 회사에 두고 온 거 같아. |
난 그것을 두고 온 것 같다고 추측한다. |
I heard a strange noise last night. It might have been the wind. 난 어젯밤 이상한 소리를 들었다. 그건 바람이었을 수도 있어. |
난 그것이 바람이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
Dora didn't go to the party. She might not have gotten an invitation. 도라는 그 파티에 가지 않았어. 그년 초대장을 받지 못했을지도 몰라. |
난 그녀가 받지 못했다고 추측한다. |
She saw a light in the distance. It could have been a fire. 그녀는 멀리서 불빛을 봤어. 그건 불이었을 수도 있어. |
난 그것이 불이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
5. 11과(What would have happened?) 문법 : 3차 조건문(third conditional)
3차 조건문(third conditional)은 과거의 비현실적 조건(unreal condition)이나 가상 조건(imaginary condition)에 대해 말할 때 쓴다. 2차 조건문과의 차이는 시제에 있다. 여기서 if절은 과거의 가상 조건(imaginary condition)이나 가상 사건(imaginary event)을 소개하며, 주절은 그 가상 조건에 의한 가상 결과(imaginary result)를 묘사한다. 예문을 보기 전 2차 조건문과의 차이를 살펴보자.
2차 조건문과 3차 조건문 비교 | |||
2차 조건문 |
3차 조건문 |
||
가정법 과거 |
가정법 과거 완료 |
||
부속절 |
if + 주어 + 동사 과거 | 부속절 | if + 주어 + 동사 과거 완료 |
주절 | 주어 + would/could/might + 부정사(동사원형) | 주절 | 주어 + 조동사 + have + 동사 과거 완료 |
만약 ~하면, ~할텐데 [과거의 가상 조건->현재, 미래의 가상 결과] |
만약 ~였더라면, ~했을 텐데 [과거의 가상 조건->과거의 가상 결과] |
2차 조건문이 과거의 가상 조건에 대한 현재나 미래의 가상 결과를 말할 때 쓰는 반면, 3차 조건문은 과거의 가상 조건에 대한 과거의 가상 결과를 말할 때 쓴다는 시제적 차이가 존재한다. 이제 3차 조건문의 예문을 보자.
3차 조건문 | 사실 |
If we had left on time, we wouldn't have been late. 우리가 정시에 떠났더라면, 늦지 않았을 것이다. |
우리는 정시에 떠나지 않았고, 그래서 늦었다. |
If she had called, he wouldn't have gotten angry. 그녀가 전화했더라면, 그는 화나지 않았을 것이다. |
그녀가 전화하지 않았고, 그래서 그는 화났다. |
3차 조건문의 If절에는 과거 완료를 쓰고, 주절에는 조동사 + have + 과거 분사를 쓴다. 그리고 이 if절은 2차 조건문처럼 주절의 앞, 뒤 어디든 위치할 수 있다. if절이 문장의 처음에 온다면, if절이 끝나는 부분에 쉼표(comma)를 덧붙여 주절과 구분한다.
If + 과거 완료 | 조동사 + have + 과거 분사 |
If he had gone to college, | he would have become an inventor. |
If she hadn't gone to college, | She would have worked in the family business. |
조동사 + have + 과거 분사 | If + 과거 완료 |
I would have gone to Canada | If he had gone anywhere. |
She would have stayed for dinner | If she hadn't had an appointment. |
두 절에서 모두 긍정 동사(affirmative verb)나 부정 동사(negative verb)를 사용할 수 있다. 주절과 부속절 중 그 어느 절이라도 앞으로 나올 수 있다. 중요한 건, 형식이 갖춰진 부속절과 주절이 모두 있어야 3차 조건문이 된다는 것이다.
If I hadn't had so much work, I would have gone to the movies last night. 내가 일이 그렇게 많지 않았더라면, 난 어젯밤에 영화를 보러 갔었을 것이다. |
If my grades had been lower, I wouldn't have gone to college. 만약 내 성적이 더 낮았더라면, 난 대학에 가지 않았을 것이다. |
If I hadn't studied computer science, I wouldn't have learned about app design. 내가 컴퓨터 과학을 공부하지 않았더라면, 난 앱 디자인에 대해 배우지 않았을 것이다. |
이 3차 조건문을 가상 질문(imaginary question)이나 가설적 질문(hypothetical question)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wh- 의문문 |
What would you have studied if tou had not chosen your current major? 만약 당신이 현재의 전공을 선택하지 않았더라면 당신은 무엇을 공부했을 것인가? |
Where would you have gone if this university hadn't accepted you? 만약 이 대학이 당신을 받아들이지 않았더라면 당신은 어디로 갔을까요? |
How would you have gotten there if your parents hadn't taken you? 부모님이 데려가지 않았더라면 어떻게 거기에 갔을까요? |
6. 12과(Did you hear the news?) 문법 : 보고적 화법(reported speech, 간접화법)
직접화법(direct speech)이 화자가 발언한 정확한 말을 말하는 반면 간접화법이라고도 보는 보고적 화법(reported speech)은 화자의 발언을 재진술(restatement)하는 것이다.
직접 화법이 | 간접 화법은 |
단순 현재인 경우 | 단순 과거 |
단순 과거인 경우 | 과거 완료 |
과거 완료인 경우 |
직접화법 | 보고적 화법(간접화법) |
"I'm in Venezuela," she said. | she said (that) she was in Venezuela. |
She said, "I'm visiting my family." | She said (that) she was visiting her family. |
She said, "Caracas is beautiful." | *She said (that) Caracas is beutiful. |
'say, explain, tell'과 같은 보고 동사(reporting verb)가 과거 시제일 때, that절에서 동사 시제를 바꾸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동사 시제를 바꾸는 것은 사건의 순서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다만 화자가 정보가 일반적인 진실이거나 여전히 현재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싶을 때, 동사의 시제 변화는 필요하지 않으며, 동사 또한 현재 시제로 머물 수 있다. 위 예시에서 *로 적은 부분이 그 예다.
직접화법 | 보고적 화법(간접화법) |
"I don't feel well," said Jon. "느낌이 안 좋아요." 존이 말했다. |
Jon said (that) he didn't feel well. 존은 느낌이 좋지 않다고 말했다. (단순 현재 -> 단순 과거) |
"I'll call tonight," Ann said. "오늘 밤에 전화할게." 앤이 말했다. |
Ann said (that) she would call tonight. 앤은 오늘 밤에 전화하겠다고 말했다. (will -> would) |
"I can't go," said Ben. "난 갈 수 없어." 벤이 말했다. |
Ben said (that) he couldn't go. 벤은 갈 수 없다고 말했다. (can -> could) |
"She left at ten," Tom said. "그녀는 10시에 떠났어." 톰이 말했다. |
Tom said (that) she had left at ten. 톰은 그녀가 10시에 떠났다고 말했다. (단순 과거 -> 과거 완료) |
"It's a great movie," Bo said. "그건 훌륭한 영화야." 보가 말했다. |
Bo said (that) it's a great movie. 보는 그건 훌륭한 영화라고 말했다. (단순 현재 -> 단순 현재) |
보고 동사(reporting verb) 중 tell 뒤에는 목적어(명사 혹은 대명사)가 꼭 따라와야한다. 한편, say 뒤에는 목적어가 따라 붙지 않는다.
옳은 표현 | 틀린 표현 |
She told me that she liked Bangkok. | |
She said that she was happy. |
한편, 누군가의 질문에 답할 때, 진술 어순(statement word order)을 쓴다.
직접화법 | 보고적 화법(간접화법) |
"Are you interested in politics?" | He asked her if she was interested in politics. |
"Do you believe that article?" | She asked me if I believed that article. |
"Where are you?" | They asked her where she was. |
"When did you start to write?" | We asked him when he had started to write. |
"What time are they coming back?" | I asked you what time they were coming back. |
'언어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erence의 진정한 사전적 의미 (0) | 2023.05.13 |
---|---|
강의계획서에 적힌 syllabus는 무슨 뜻일까? (1) | 2022.12.20 |
스마트 초이스 3 : 4판(smart choice 3 : 4th edition) 문법 정리 1 (0) | 2022.10.10 |
[영어] 동사 buy (0) | 2020.07.18 |
[영어] 동사 sound (0) | 2020.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