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13일]
수염고래과(Balaenopteridae)는 생물분류학상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 고래하목 수염고래소목 수염고래상과 수염고래과에 속하는 수염고래류의 분류 집합을 말한다.
현재 대왕고래속(Balaenoptera, 약칭 B속)과 혹등고래속(Megaptera, 약칭 M속) 2속이 수염고래과에 속해있고, 귀신고래속(Eschrichtius, 약칭 E속)은 귀신고래과(Eschrichtiidae)에 속한다. 물론 이 B, E, M속 모두 수염고래류이니 수염고래소목(Mysticeti)에 포함된다. 여기까지가 수염고래류에 속하는 3가지 속에 대한 '생물분류학적' 분류다. 이제 수염고래류의 계통수를 보자.
유전자, 화석 등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생물분류를 하여 계통으로 묶어서 분류한 계통분류학에 따라 분류한 생물군을 가지, 잎 형식으로 나타낸 것을 계통나무 곧, '계통수(phylogenetic tree)'라고 한다. 이 수염고래류 계통수에 따라 생물분류학적으로 아래와 같이 주장하는 바이다.
1. 남방쇠정어리고래(B. bonaerensis)와 북방쇠정어리고래(B. acutorostrata)
이 두 종은 현재 대왕고래속에서 따로 분류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종은 유사종이며 다른 종과는 멀리서 분파되었다. 따라서 남방쇠정어리고래(B. bonaerensis)와 북방쇠정어리고래(B. acutorostrata)를 포함하는 쇠정어리고래아속을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이와 대비하여 이 2종이 아닌 다른 종들은 대왕고래아속을 만들어 그 곳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할 분류군은 모두 이 대왕고래아속에 포함되게 된다.
2. 큰고래 및 브라이드고래류
현재 수염고래과에는 B속과 M속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은 크게 2개의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바로 '쇠정어리고래류'와 '대왕고래류'이다. 여기서 '대왕고래류'는 또 2가지 계통으로 나뉘는데 그것이 바로 '큰고래 및 브라이드고래류'와 '대왕고래류'이다. 여기서 '큰고래 및 브라이드고래류'는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2개의 계통이지만 미시적인 관점에서는 3개의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까지 수염고래과에 속하는 전체적인 계통도를 글로 표현했다. 이 중 이번 장에서는 '큰고래 및 브라이드류'에 대해 아래와 같은 분류 계통을 주창하는 바이다.
첫째, '큰고래하속'의 큰고래(B. physalus)
둘째, '브라이드고래하속'의 브라이드고래(B. brydei), 피그미브라이드고래(B. edeni), 보리고래(B. borealis)
여기서 브라이드고래하속은 '피그미브라이드고래 계통'과 '보리고래 계통'으로 나뉠 수 있다.
첫째, '피그미브라이드고래소속'의 피그미브라이드고래(B. edeni)
둘째, '보리고래소속'의 보리고래(B. borealis), 브라이드고래(B. brydei)
여기서 '보리고래소속'이라고 했지만 형평성을 위해 '브라이드고래소속'이라고 부르는 것도 허용한다.
3. 귀신고래와 혹등고래, 그리고 대왕고래
이 거대한 3종의 고래들은 과나 속이 대체로 다르다. 귀신고래는 귀신고래과(Eschrichtiidae) 귀신고래속(Eschrichtius)에 속하며, 혹등고래는 수염고래과(Balaenopteridae) 혹등고래속(Megaptera), 대왕고래는 수염고래과 대왕고래속(Balaenoptera)에 속한다. 이렇게 종의 분류 기준 자체가 크기에 어떻게 계통분류를 할 수 있을까? 연구 끝에 나온 사실은 3종은 모두 수염고래류에 속하기 때문에 수염고래아목 소염고래소목의 아래에 분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 3종은 수염고래아목 수염고래소목 수염고래과 대왕고래아속에 포함시키면 된다. 이렇게 수염고래과 하위에서 이 3종을 분류하면 그들의 학명이 바뀔 일 또한 생기지 않는다.
이 3종은 대왕고래아속에 포함되긴 하나 따로 묶지는 않고 비공식적으로 '대형수염고래류'라고 칭하는 것이 좋을 듯 하며, 각각 대왕고래하속, 혹등고래하속, 귀신고래하속으로 분류한다. 이상의 3가지 주장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대왕고래속 | 쇠정어리고래아속 | 남방쇠정어리고래(Balaenoptera bonaerensis) 북방쇠정어리고래(Balaenoptera acutorostrata) |
||
대왕고래아속 | 큰고래하속 | 큰고래(Balaenoptera physalus) | ||
브라이드고래하속 | 피그미브라이드고래소속 | 피그미브라이드고래(Balaenoptera edeni) | ||
브라이드고래소속 (보리고래소속) |
보리고래(Balaenoptera borealis) 브라이드고래(Balaenoptera brydei) |
|||
대왕고래하속 | 대왕고래(Balaenoptera musculus) | |||
혹등고래하속 | 혹등고래(Megaptera novaeangliae) | |||
귀신고래하속 | 귀신고래(Eschrichtius robustus) |
2017년 7월 22일 주)브라이드고래하속에 속한 3종은 소속 단위까지 세분해서 분류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한다. 그에 따른 분류 기준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대왕고래속 | 쇠정어리고래아속 | 남방쇠정어리고래(Balaenoptera bonaerensis) 북방쇠정어리고래(Balaenoptera acutorostrata) |
|
대왕고래아속 | 큰고래하속 | 큰고래(Balaenoptera physalus) | |
브라이드고래하속 | 피그미브라이드고래(Balaenoptera edeni) 보리고래(Balaenoptera borealis) 브라이드고래(Balaenoptera brydei) |
||
대왕고래하속 | 대왕고래(Balaenoptera musculus) | ||
혹등고래하속 | 혹등고래(Megaptera novaeangliae) | ||
귀신고래하속 | 귀신고래(Eschrichtius robustus) |
'용어 정리, 이슈 > 생물학,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체활동의 범위와 운동 목표를 정하는 공식 (0) | 2022.09.08 |
---|---|
서울에 러브버그가 나타났다고?!?! (0) | 2022.07.03 |
화이자 구강 치료제의 등장! (니르마트렐비르/리토나비르) (0) | 2022.01.15 |
Rh null 혈액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12.26 |
항생제 크라비트 (0) | 202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