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슈페크 제1선출장로의 집이 있고, 소년 영웅을 기리는 비슈케크 키찬 자키포브 공원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세계사, 세계문화

피슈페크 제1선출장로의 집이 있고, 소년 영웅을 기리는 비슈케크 키찬 자키포브 공원

728x90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의 키찬 자키포브 공원(Парк им. Кычана Джакыпова)은 미추린길(Улица Мичурина)과 유수프 압드라흐마노프길(Улица Юсупа Абдрахманова)이 만나는 서북쪽에 위치합니다. 이 공원은 수도에 세워진 오래된 공원 중 하나인데, 무려 1885년에 러시아 식물학자이자 도시원예가였던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페티소프(Алексей Михайлович Фетисов, 1842-1894)가 홉농장으로 처음 세우며 많은 식물들이 자라기 시작합니다!

키찬 자키포프 공원의 정문 (출처 :  24.kg)

참고로, 2025년 4월 현재 공원 정문 부분은 공사중이라 옆문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공원 옆으로 들어가면 왼편으로 바켄 키디케예바 키르기스 청년 관객 국립 극장Кыргыз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атр юного зрителя им. Б. Кыдыкеевой)이 보입니다.

시간이 흘러 1894년, 후에 키르기스스탄에서 사회적으로 선출된 최초의 장로(староста)인 일리야 페도로비치 테렌티예프(Илья Федорович Терентьев)가 이 땅을 사들여 과일과 나무와 풀들을 심고 우물과 별장도 지었습니다. 그렇게 그 당시 이곳은 테렌티예프 정원(Терентьевский сад)이라고 불렸고, 지금 기준으로는 소박한 모습이었다고 전하지만 당대엔 도시의 랜드마크로 등극하게 됩니다.

1951년, 이 땅에 키르기스SSR(1936-1991)가 있었을 때, 이 정원의 서쪽에 피오네르와 학생들의 궁전(Дворец пионеров и школьников)이 지어졌습니다. 이 건물은 당시 소련에서 학생들과 피오네르들에게 교외 활동을 할 목적으로 지은 교육 시설로, 이곳에도 하나 지어졌죠. 

시간은 더욱 흘러 1963년, 이 정원은 키찬 자키포브 공원(Парк им. Кычана Джакыпова)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지금까지 그 이름이 이어집니다.

출처 : http://park-simferopol.ru/news/id357

프룬제(현) 비슈케크)에서 자란 키찬 자키포브(1919-1933)는 어릴 때는 부모님과 함께 목화를 키웠고, 밤에는 선생님들이 준 책을 읽으며 열심히 자신을 닦았습니다. 어느날 밤 몇몇 농부들이 집단농장의 목화를 훔치는 것을 봤고, 그는 경찰에 신고하려고 그 도둑들을 잡아가뒀습니다. 그러나 한 명은 도망치고 말았죠. 시간이 흘러 경찰서에서 나온 도둑 농부들 중 한 명이 저녁에 목화밭에서 일하고 있던 이 아이를 앙심을 품고 칼로 찔러 죽여버립니다...마을을 위해 일했던 그는 그렇게 허무하게 삶을 마감하고 맙니다. 이후 1963년 그가 살던 프룬제에서는 그를 기념하기 위해 이 공원의 이름을 그의 이름으로 바꾸었습니다.

소련 멸망 이후, 이곳은 한동안 황페했는데, 24kg에서는 시에서 관리를 하지 않는 야생 공지라고 비난할 정도였습니다.

이후 2010년대에 역사성을 가지는 중요한 공원이기에 복원 계획을 가져 공원과 별장을 복원했습니다.

그렇게 사회 선출로 뽑힌 첫번째 피슈페크(현)비슈케크) 장로 일리야 테렌티예프의 집( Дом первого старосты Пишпека Ильи Терентьева)은 어느 정도 복원되어 지도에도 나타나게 됩니다.

이제는 스프링쿨러가 있어 식물에게 물을 주죠. 다만 회전식이라 도로에도 물이 튈 수 있으니 물을 줄 땐 조심해서 산책해야 합니다.

기회가 되어 이곳이 열린다면 내부도 구경해보고 싶습니다.

오래된 집을 돌아 옆쪽 출입구쪽으로 가다보면, 무사 잔가지예프 키르기스 국립 인형 극장(Кыргыз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атр кукол им. М. Жангазиева)도 보입니다. 이 공원은 큰 어트랙션은 없지만 역사성이 있는 공원이기에 관심이 있다면, 지나가다 한 번 들려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