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돌아와요부산항에노래비와 자연보호헌장비 사이 중간쯔음엔 2000년부터 해운대엘레지노래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해운대 엘레지 |
한산도 작사 백영호 작곡 손인호 노래 |
언제까지나 언제까지나 헤어지지 말자고 맹세를 하고 다짐을 하던 너와 내가 아니냐 세월이 가고 너도 또 가고 나만 혼자 외로이 그때 그 시절 그리운 시절 못잊어 내가 운다 울던 물새도 어디로 가고 조각달도 흐르고 바다마저도 잠이 들었나 밤이 깊은 해운대 나는 가련다 떠나가련다 아픈 마음 안고서 정든 백사장 정든 동백섬 안녕히 잘 있게나 |
해운대에서 영원한 사랑을 고하였으나 결국 이별하여 해운대 백사장과 동백섬을 떠나는 한 사람의 아픈 사랑 이야기에 대한 내용을 담은 1958년의 대표적인 비가(엘레지)입니다. 국제신문에 따르면, 이 노래로 인해 부산 해운대 백사장과 동백섬에 가보고 싶은 젊은 사람들이 늘었다고 하네요! 넓은 바닷가에서 사랑을 이야기하던 그들은 결국 이별을 맞이합니다. 만남과 이별의 자연스러움을 받아들이게 된 노래는 이렇게 비석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소망기원 윤산 새해 해맞이 기원제 개최 예정 (2) | 2024.12.28 |
---|---|
50~60년대 문학예술인들의 모임터, 은성주점 터 (1) | 2024.12.28 |
연꽃 모양의 백산에서 옥황상제에게 재를 지내던 곳에 세워진 옥련선원 (3) | 2024.12.27 |
온천천을 도심으로 보내는첫번째 다리 청룡2호교 (0) | 2024.12.24 |
온천천 본류가 처음 큰 도로를 만나는 곳, 청룡교 (1)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