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속에서 배운 단어들
본문 바로가기

용어 정리, 이슈/사회&문화&일상

일상 속에서 배운 단어들

728x90
민속, 신화에 나오는 단어들은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376)을 참고바랍니다.

가름끈 : 읽던 곳이나 특정한 곳을 표시하기 위하여 책갈피에 끼워 넣는 끈
ㄴ '갈피끈'이라고도 한다.

가맹점(加盟店) : 어떤 조직의 동맹()이나 연맹()에 든(加) 가게(店)나 상점(店)

가불기 : 가드 불가 기술. 공격자의 공격에 대해 어떤 선택을 하든 공격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
ㄴ '외통수'와 같은 뜻이다.

감정(鑑定) : 사물의 특성이나 참과 거짓, 좋고 나쁨을 분별하여(鑑) 판정함(定)

갑통알 : 자기 장보니 바해야겠다

 

개개출 : 강 학 

 

과반수(過半數) : 절반이 넘는 수
ㄴ 반수초과(半數超過)라는 뜻이다.

깡패 [-牌] : 폭력을 쓰면서 행패를 부리고 못된 짓을 일삼는 무리 (속칭)
ㄴ '폭력 조직'을 뜻하는 gang과 '집단'을 뜻하는 '패거리'의 패(牌)의 합성어다.

겐세이 : (당구, 게임 등에서의) 견제
ㄴ '견제'를 뜻하는 일본어 牽制[けんせい/켄세-]

결재(決裁) : 결정할(決) 권한이 있는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검토하여 허가하거나 승인함

결제(決濟) : 일을 처리하여 끝을 냄. 증권 또는 대금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사이의 거래 관계를 끝맺는 일

겸허(謙虛) : 스스로 자신을 낮추고(謙) 비우는(虛) 태도가 있음

경마(競馬) : 일정한 거리를 말을 타고 달려 빠르기를 겨루는 경기. 그러한 경기에서 돈을 걸어 내기를 하는 오락.

 

경제사범(經濟事犯) : 개인이나 기업, 공공 단체, 국가 따위를 대상으로 경제적인 법익을 침해한 경우나 침해하려는 의도로 저지른 불법 행위. 또는 그런 행위를 저지른 사람.


경화수월(鏡花水月) : 거울에 비친 꽃(鏡花)과 물에 비친 달(水月)이라는 뜻으로, 눈으로 볼 수 있으나 잡을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계도(啓導) : 남을 깨치어(啓) 이끌어 줌(導)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 surfactant) :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친유성(소수성) 부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화합물
ㄴ '표면활성제(表面活性劑)'라고도 한다.

고지식하다 : 성질이 외곬으로 곧아 융통성이 없다.
ㄴ '정당하게 행동하다, 독선적이다(고집을 부리다)'라는 뜻의 중세 한국어 '고디식다'에서 유래했다.

괴팍하다 [乖愎-] : 붙임성이 없이(乖) 까다롭고 별나다(愎).
ㄴ '괴퍅하다'해서 유래했다.

 

곡기(穀氣) : 곡식으로 만든 적은 양의 음식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마땅히 먹어야  것을 먹지 않거나  먹는 경우에 쓰이는 말이다.

ㄴ 곡기를 끊다/곡기를 놓다 : 음식을 먹지 못하거나 먹지 아니하다.


공람(供覽) : 여러 사람이 봄. 또는 여러 사람이 보게 함.

공처가(恐妻家) : 아내에게 눌려 지내는 남편

공치사(空致辭) : 빈말로 칭찬함. 또는 그렇게 하는 칭찬의 말. '빈치사'라고도 한다.

 

구명정(救命艇) : 본선(本船)에 실어 본선이 조난한 경우에 인명을 구조하기 위하여 쓰는 작은 배

ㄴ '목숨(命)을 구하는(救) 배(艇)'란 뜻에서 유래했으며, '구멍정'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구축(驅逐) : 어떤 세력 따위를 몰아서(驅) 쫓아냄(逐)

군것 : 없어도 좋을 쓸데없는 것, 끼니 외에 먹는 간단한 음식.

굴기(倔起) : 몸을 일으킴. 보잘것없는 신분으로 성공하여 이름을 떨침.

궐련(卷煙/권연) : 얄은 종이로 가늘고 길게 말아 놓은 담배
ㄴ 지궐련, 엽궐련 등으로 나뉜다.

귀사(貴社) : 상대편의 회사 (높임말)

금세 : 지금 바로 [부사]
ㄴ '금시에'에서 유래했으며, 구어체다. '금새'는 비표준어다.

 

기라성(綺羅星) : 밤하늘에 반짝이는 수많은 별처럼 훌륭한 사람들이 죽 늘어선 것

ㄴ 일본어 綺羅星[키라보시]에서 유래

 

기민하다 [敏-] : 눈치가 빠르고 동작이 날쌔다.

끽다점(喫茶店) : 찻집
ㄴ '끽차점'이라고도 한다.
ㄴ 차(茶)를 마시는(喫) 가게(店)라는 뜻이다.

 

난놈 : 난사람 (낮춤말)

 

난사람 : 남보다 두드러지게 잘난 사람

ㄴ '잘난 사람'에서 유래


날인(捺印) : 도장을 찍음

내또출 : 근한다

너절하다 : 허름하고 지저분하다, 하찮고 시시하다.

노인장(老人丈) : 노인 (높임말)

노친네 [老親-] : 노인 (낮춤말)

농월(朧月) : 흐린 달

농땡이 : 일을 하지 않으려고 꾀를 부리며 게으름을 피우는 짓
: 일을 하지 않으려고 꾀를 부리며 게으름을 피우는 사람 (속칭)

눈엣가시 : 몹시 밉거나 싫어 늘 눈에 거슬리는 사람
ㄴ eye's thorn이라는 뜻이다.


단벌신사 : 늘 같은 옷만 입고 다니는 남자

 

달상하다 [怛傷-] : 슬퍼하고(怛) 가슴 아파하다(傷)

당모치 : 연히 킨은 옳다

당사(當社) : 바로 그(이) 회사
ㄴ 본인의 회사를 높이거나 상대방의 회사와 평등한 위치에서 부르는 말. '자사'와 유사하다.

당주(當主) : 지금의 주인

대가(代價) : 어떤 일에 들인 노력이나 희생. 혹은 그에 대해 받는 값
ㄴ '댓가'는 비표준어다.

대갚음 [對-] : 남에게 입은 은혜나 남에게 당한 원한을 잊지 않고 그대로 갚음
ㄴ '되갚다'의 명사형 '되갚음'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되갚음'은 비표준어다.

대리점(代理店) : 일정한 회사 따위의 위탁을 받아 거래를 대리(代理)하거나 매개하는 일을 하는 가게(店)

도란스 [トランス] : 트랜스포터(transformer, 변압기)

되갚다 : 남에게 그에 상당하는 대가를 치르게 하다. 남에게 그에 상응하는 보답으로 돌려주다.

또이또이하다 : 비슷하다

뒷배 : 겉으로 나서지 않고 뒤에서 보살펴 주는 일. 또는 그런 사람.

등본(謄本) : 원본의 내용을 전부 베낌. 또는 그런 서류.
ㄴ 등본은 '전부 배낀 것'을 말하며, 초본은 '일부만 배낀 것'을 말한다.

뜬장 [-欌] : 바닥까지 철조망으로 엮어 배설물이 그 사이로 떨어지도록 만든 개의 장
ㄴ 바닥이 땅으로부터 떠 있는 장(欌)이라는 뜻에서 유래

디로딩(deloading) : 운동 강도를 낮춤.
ㄴ '운동 강도를 낮추다'라는 뜻의 영어 deload에서 유래

 

디아스포라(Diaspora) : 팔레스타인을 떠나 온 세계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 : 판매자가 실시간 방송을 통해 상품 소개 및 판매하는 행위
ㄴ 소셜 커머스의 한 종류
ㄴ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과 커머스(commerce)의 합성어에서 유래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 라이엇 게임즈가 시즌별로 주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2011년 6월부터 시작되었다. '롤드컵, 월즈(Worlds)'라고 줄여부르기도 한다.

막역하다[莫逆-] : 허물없이 아주 친하다.

만끽하다 [滿喫-] : 마음껏(滿) 먹고 마시다(喫). 욕망을 마음껏 충족하다.

만년필(萬年筆, fountain Pen) : 펜대 속에 넣은 잉크가 펜촉으로 흘러나와 오래 쓸 수 있는 펜의 하나.

매도(罵倒) : 몹시 꾸짖고 심히 욕함

-머리 : 비하 표현 접미사 (접미사)

 

며칠 : 그달의 몇째 되는 날, 몇 날.

ㄴ '몇일'은 비표준어다.


모르모트(モルモット) : 기니피그, 실험재료(실험용 쥐)
ㄴ 네덜란드인들이 기니피그를 마멋(marmot)으로 착각하여 마르모트라고 불렀던 것이 일본으로 전래되어 モルモット[모르못트]라고 불리게 되었다.

모선망(母先亡) : 어머니(母)가 아버지보다 먼저 세상을 떠남(先亡)

 

문고본(文庫本) : 문고 형식으로 간행한 책

ㄴ '문고판'이라고도 한다.

문외한(門外漢) : 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거나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물담배 : 긴 호리병처럼 생긴 담배통에 물을 담고 이를 통하여 걸러진 연기를 피우는 담배
ㄴ 영어로는 hookah[후카]라고 하는데, 우르드어حقہ‎[훜카]에서 왔고, 이 단어는 '통, 작은 상자, 단지(그릇)'을 뜻하는 아랍어 여성명사 حُقَّة‎[훜카]에서 유래했다.

미망인(未亡人) : 남편을 여읜 여자(과부)
ㄴ 직역하면 '아직 따라 죽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춘추좌씨전≫ <장공편(莊公篇)>에서 처음 발견된다.

미안(未安) : 남에게 대하여 마음이 편치(安) 못하고(未) 부끄러움

바지사장 : 회사의 경영에 참여하지 않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명의만 빌려주고 실제는 운영자가 아닌 사장
ㄴ 실제 업주가 저지르는 불법을 일정한 대가를 받고 뒤집어쓰는 사장이라서 '총알받이사장'이라 부르다가 '바지사장'이 되었다는 설, 줏대 없고 능력 없는 사람을 뜻하는 '바지저고리'에서 따왔다는 설, 무식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뜻하는 '핫바지'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

반상회(班常會) : 행정단위의 최말단 조직인 반을 구성하는 가구 대표자가 한 달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모이는 월례회

반골(反骨) : 쉽게 사람을 따르지 않는 기질. 일정한 세력이나 권위에 순응하거나 굽히지 않고 거슬러 버티는 기골. 권력에 저항하는 사람

 

반편이 [半偏-] : 지능이 보통 사람보다 모자라는 사람 (낮춤말)

 

반푼이 : 멍청이 (경북 방언)

발묘(拔錨) : 내렸던 닻(錨)을 거두어 올린다(拔)는 뜻으로, 배가 떠남을 이르는 말.

발품 : 걸어 다니는(발) 수고(품)

 

빵 클립(bread clip) : 식빵 같은 식품이 포장된 플라스틱 봉지를 밀봉하기 위해 만든 도구

 

배교자(背敎者) : 믿던 종교를 배반한 사람


밴댕이(蘇魚) : 몸의 길이는 15cm 정도로 전어와 비슷하고, 등은 청흑색, 옆구리와 배는 은백색이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청어과의 바닷물고기
ㄴ '반당이'에서 유래했다.

밴댕이 소갈머리 : 아주 좁고 얕은 심지(心志)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버르장머리 : 버릇 (속칭)

번안(飜案) : 원작의 내용이나 줄거리는 그대로 두고 풍속, 인명, 지명 따위를 시대나 풍토에 맞게 바꾸어 고침

번안가요(飜案歌謠) : 가락, 화성, 리듬 따위는 외국곡에서 차용하고, 가사는 우리말로 바꾸어 부르는 가요

벼락부자 : 갑자기 된 부자. '졸부(猝富), 폭부(暴富)'라고도 한다.

벽창우(碧昌牛) : 평안북도의 벽동(碧潼), 창성(昌城)에서 나는 크고 억센 소

벽창호[碧昌-] : 고집이 세며 완고하고 우둔하여 말이 도무지 통하지 아니하는 무뚝뚝한 사람
ㄴ '벽창우'에서 유래했다.

복돌이 : 인터넷에 불법으로 업로드된 서적, 음반,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성인물, 웹툰, 기타 상용 프로그램 같은 유료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사람 (멸칭)
ㄴ '복사'에 '-돌이'가 붙은 형태에서 유래했다.

복리(福利) : 행복과 이익

복리후생(福利厚生) : 기업이 종업원과 그 가족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켜 근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임금 이외에 마련하는 여러 복지 정책

부선망(父先亡) : 아버지(父)가 어머니보다 먼저 세상을 떠남(先亡)

분수계(分水界) : 한 근원의 물이 두 갈래 이상으로 갈라져 흐르는 경계

분수령(分水嶺) : 분수계가 되는 산마루나 산맥
                    : 어떤 사실이나 사태가 발전하는 전환점, 어떤 일이 한 단계에서 전혀 다른 단계로 넘어가는 전환점

불온(不穩) : 온당하지 않음(사상이나 태도 등이 통치 권력이나 체제에 순응하지 않고 맞서는 성질이 있음)

불여(不如) : ~만 못하다

불한당(不汗黨) : 떼를 지어 돌아다니며 재물을 마구 빼앗는 사람들 혹은 남 괴롭히는 것을 일삼는 파렴치한 사람들의 무리

사변(思辨) : 생각으로 사물의 옳고 그름을 가려냄
              : 경험에 의하지 않고 순수한 논리적 사고만으로 현실 또는 사물을 인식하려는

사변적(思辨的) : 경험에 의하지 않고 순수한 이성에 의하여 인식하고 설명하는 (것)

 

사양(飼養) : 알맞은 영양소를 공급하여 가축이나 짐승이 건강하게 잘 자라고 생산을 잘하도록 하는 일

사치(奢侈) : 필요 이상의 돈이나 물건을 쓰거나 분수에 지나친 생활을 함

삼한사미(三寒四微) : (특히 동아시아, 북아시아에서) 겨울에 7일을 주기로 사흘 동안 춥고 나흘 동안 미세먼지가 심해진다는 기온 변화 현상
ㄴ '삼한사온'에서 유래했다.

삼한사온(三寒四溫) : (특히 아시아에서) 겨울에 7일을 주기로 사흘 동안 춥고 나흘 동안 따뜻해지는 기온 변화 현상

상훈(賞勳) : 상과 훈장

 

섀미(chamois) : 무두질한 염소, 양의 부드러운 가죽

ㄴ '세무'라고도 한다.

 

서발턴(subaltern) : 하위주체(여성이나 노동자, 이주민과 같이 권력의 중심에서 배제되고 억압을 당하는 사람. 또는 그런 무리.)

 

설렘 :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림. 또는 그런 느낌.

ㄴ '설레임'은 비표준어다.

 

성냥(match) : 마찰에 의하여 불을 일으키는 물건
ㄴ '석류황(黃)'에서 유래했다.

세탁조(洗濯槽) : 세탁(洗濯)기 내부에 있는 빨랫감을 넣는 통(槽)

센조이 : 성적 목적을 위해하는 관장
ㄴ '세정'을 뜻하는 일본어 洗浄 [せんじょう/센죠-/세정]에서 유래했다.

소갈딱지 : 마음이나 속생각, 마음보 (낮춤말)
ㄴ '소갈머리'라고도 한다.

소분(小分) : 작게 나눔. 또는 그런 부분.

소인(消印) : 지우는 표시로 인장을 찍음. 또는 그 인장.
              : 우체국에서 접수된 우편물 등 도장을 찍음. 또는 도장. 접수 날짜, 국명() 따위가 새겨져 있다.

소취(消臭) : 악취(臭)를 없앰(消)

수납(收納) : (금품 등을) 받아서 거두어(收)들임(納). 또는 거두어 바침.

수납(受納) : 받아서 넣어 둠

수습(修習) : 학업이나 실무 따위를 배워(修) 익힘(習). 또는 그런 일.

수족(手足) : 손과 발

수족(水族) : 물(水)에 사는 생물의 족속(族)

수족(首足) : 머리와 발

시가(cigar) : 엽궐련(葉卷煙)
ㄴ '엽궐련'을 뜻하는 스페인어 cigarro[씨가로]에서 왔다.

시놉시스(synopsis) : (영화나 드라마, 글 희곡 등의) 개요
ㄴ '같이 봄, 본보기, 개요, 추정, 비용'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여성명사 σῠ́νοψῐς[수놉시스]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함께(syn-, co-)라는 뜻의 접두사 σῠν-[순-]과 '시야, 견해(관점)'이라는 뜻의 여성명사 ὄψῐς[옵시스]의 파생어다.

시정마(始情馬, teaser horse) : 교미 때에 암말에게 혈통 좋은 수말이 채이지 않도록 암말의 기분만 떠보는 말

시즈 탱크(Siege tank) : 공성전차(攻城 戰車).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서 테란의 전차류
ㄴ 여기서 siege는 '(군사적) 포위, (경찰에 의한) 포위'라는 뜻이며 이 단어는 '의자(왕좌, 지위, 자리)'를 뜻하는 라틴어 여성 명사 sēdēs[세데스]에서 유래했다.

식솔(食率) : 한집안에 딸린 구성원

 

식재(植栽) : 초목을 심어(植) 재배함(栽)

실소(失笑) : 어처구니가 없어 저도 모르게 웃음이 툭 터져 나옴. 또는 그 웃음.

아베크족 [avec-] : 젊은 남녀의 동행(). 젊은 쌍의 남녀.
ㄴ '함께, ~와'라는 뜻의 프랑스어 전치사 avec[아베ㅋ]에서 유래했다.

아시바라이(足払い [あしばらい/아시바라이]) : 유도에서 발로 상대의 발을 밀어 넘어뜨리는 기술
ㄴ '아시바라히(あしばらひ), 와사바리'라고도 한다.

아울렛(outlet) : 재고품이나 이월 상품을 한곳에 모아 싸게 판매하는 곳
ㄴ 규범 표기는 아웃렛이며, 상점의 한 종류이다.

알잘딱깔센 : 아서 끔하고 스있게

양갓집 [良家-] : 양민의 집, 지체가 있는 좋은 집안.
ㄴ '양가(良家)'라고도 한다.

 

얘기 : 이야기 (준말)

ㄴ '예기'는 비표준어다.


어느새 : 어느 틈에 벌써
ㄴ '어느세'는 비표준어다.

어안 : 어이없어 말을 못 하고 있는 혀 안

어차피(於此彼) : 이렇게 하든지 저렇게 하든지 [부사]
ㄴ 어차어피(於此於彼)에서 유래했다.

어트랙션 : 매력(성적 매력), 관광지(놀이동산의 놀이기구 등)
ㄴ '끌림, (끌리는) 장소(명물), 매력(적인 요소), 인력'을 뜻하는 attraction에서 유래했다.

억까 : 지로
ㄴ 대상을 비판, 비난하는 이유가 말도 안 되는 억지일 때 사용한다.

N트 [N Try] : N번째 시도

여급(女給) : 웨이트리스(waitress, 카페나 다방, 음식점 따위에서 손님의 시중을 드는 여자), 여자 사환

여명(黎明) : 아침이 다가오는 새벽에 희미하게 날이 밝아 오는 빛. 또는 그런 무렵.

여명(餘命) : 얼마 남지(餘) 않은 쇠잔한 목숨(命)

여송연(呂宋煙) : 필리핀의 루손섬(呂宋)에서 나는 향기가 좋고 독한 엽궐련(煙)

엽궐련(葉卷煙) : 담뱃잎(葉)을 썰지 아니하고 통째로 돌돌 말아서 만든 담배
ㄴ 궐련의 한 종류

영합하다 [迎合-] : 사사로운 이익을 위하여 아첨하며 좇다. 서로 뜻이 맞다.

오욕(汚辱) : 명예를 더럽히고(汚) 욕되게(辱) 함

오저치고 :

오픈 찬스(open chance) : 농구에서, 수비수의 방해 없이 삼 점 슛을 던질 수 있는 상황.
배구에서, 상대편에 블로킹을 하는 선수가 전혀 없어 득점하기 쉬운 상황.

 

온택트(Ontact) : 온라인을 통해 외부활동을 이어가는 방식

ㄴ '연결'을 뜻하는 on과 '비대면'을 뜻하는 untact가 합쳐진 말에서 유래했다.


옻칠 [-漆] : 옻나무에서 나는 진, 윤을 내기 위해 옻을 가구 등에 바르는 일.
ㄴ 지금은 쓰이지 않는 옻(桼)이라는 한자는 단지 '옻(나무)'만을 나타냈지만, 여기서 '옻나무에서 나오는 진액'을 강조하게 위해 수(水)이라는 글자를 더해 漆이라는 글자를 만들었고 이 한자의 뜻은 '옻, 옻나무진, 검은 칠'이 되었다.

외통수 [-通手] : 장기에서, 상대편이 장군을 불렀을 때, 궁이 꼼짝하지 못하게 되는 수. 어떤 수를 써도 파멸을 피할 수 없게 만드는 수.
ㄴ '가불기'와 같은 뜻이다.

용팔이 : 용산 전자상가의 전자기기 판매업자들에 대한 멸칭

우라까이 : 다른 기자가 작성한 기사를 적당히 바꾸어 자신의 기사로 만드는 행위
ㄴ '뒤(안)을 바꾸다'라는 뜻의 裏替える[우라카에루] 혹은 '안(뒤)를 뒤집다'라는 뜻의 裏反す[우라카에스]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워딩(wording) : 자기의 생각이나 주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의 선택과 의미
ㄴ '표현, 어감, 어휘 선택'으로 번역 가능하다.

유지(有志) : 마을이나 지역에서 명망있고 영향력을 가진 사람, 어떤 일에 뜻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
ㄴ '지역유지'라고도 한다.

유휴(遊休) : 쓰지 아니하고 놀림

융단(絨緞, carpet) : 양털 따위의 털을 표면에 보풀이 일게 짠 두꺼운 모직물

으스름달 : 침침하고 흐릿한 빛을 내는 달

의기소침(意氣銷沈) : '의기(意氣)가 녹고(銷) 가라앉다(沈)'라는 뜻으로, 기운이 없어지고 풀이 죽음.

익일(翌日) : 어느 날 뒤에 오는 날.

인망(人望) : 세상 사람(人)이 우러르고 따르는 덕망(望)

 

임산도로(林産道路) : 벌목한 통나무의 운반, 산림의 생산 관리를 위하여 건설한 도로. '임도(林道)'라고도 한다.


적폐(積弊) : 오랫동안 쌓인(積) 폐단(弊)

전도(顚倒) : 엎어져(顚) 넘어지거나(倒) 넘어뜨림

전생(轉生) : 다른 것으로 다시(轉) 태어남(生)

전희(前戲) : 이전(前)의 장난(戲). 성교 전에(前) 하는 애무(戲)

 

정부(情夫) : 남편이 아니면서 정(情)을 두고 깊이 사귀는 남자(夫)

 

정부(情婦) : 아내가 아니면서 정(情)을 두고 깊이 사귀는 여자(婦)


조바심 : 조마조마하여 마음을 졸임. 또는 그렇게 졸이는 마음.

종용하다 [從容-] : 성격이나 태도가 차분하고 침착하다

종용하다 [慫慂-] : 잘 설득하고 달래어 권하다

좌우지간(左右之間) : 이렇든 저렇든 어떻든 간
ㄴ '좌우간(左右間)'이라고도 한다.

주기(週期) : 같은 현상이나 특징이 한 번 나타나고부터 다음번 되풀이되기까지의 기간

주검 : 죽은 사람의 몸
ㄴ 동사 '죽다'의 어간 '죽-'과 명사형 접미사 '-엄'의 파생어다.

지궐련(紙卷煙) : 담뱃잎을 썰어서 얇은 종이(紙)로 만 담배
ㄴ '나팔담배'라고도 한다.
ㄴ 궐련의 한 종류

지물포(紙物鋪) : 온갖 종이를 파는 가게
ㄴ '지물전(紙物廛), 지전(紙廛)'이라고도 한다.

 

지입(持入)

개인이 차량, 기계 따위의 소유물을 가지고 업체에 소속함.

 

지입차량(持入車輛)

회사나 학원 따위에서 직접 소유하지 않고 위탁이나 수탁의 형태로 운행하는 차량. 차량 소유주가 일정한 돈을 받고 차량을 운행하고 그에 따른 책임도 진다.


찌라시 : (흩뿌리는) 전단
ㄴ '흩뜨림, 어지름, 전단'을 뜻하는 일본어 散らし [ちらし/치라시]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흩뜨리다, 어지르다, 분산시키다'라는 뜻의 일본어 散らす[치라스]의 연용형에서 유래했다. '삐라'는 '붙이는 전단'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나 최근엔 둘 다 비슷한 뜻으로 쓰인다.

진력나다 [盡力-] : 오랫동안 또는 여러 번 하여 힘(力)이 다 빠지고(盡) 싫증이 나다

착실하다 [着實-] : 사람이 허튼 데가 없이 찬찬하며 실하다. 일정한 기준이나 정도에 모자람이 없이 넉넉하다.

찬란하다 [燦爛-] : 빛이 번쩍거리거나(燦,爛) 수많은 불빛이 빛나는(燦,爛) 상태이다. 또는 그 빛이 매우 밝고 강렬하다.

채신머리 : 처신 (속칭)

 

채플(chapel) : 기독교 계통의 학교 등에서 행하는 예배 모임


청산가리(靑酸加里) : 사이안화칼륨(시안화칼륨, Potassium cyanide)
ㄴ 일본어로 '사이안화칼륨(시안화칼륨)'을 뜻하는 青酸カリ[세-산카리]에서 유래

초보(初步) : 처음으로(初) 내딛는 걸음(步). 학문이나 기술 등을 익힐 때의 그 처음 단계나 수준.

초본(草本) : 시문의 초를 잡음. 또는 그런 원고
지상부가 연하고 물기가 많아 목질을 이루지 않는 식물

초본(抄本) : 원본에서 필요한 부분만 뽑아서 베낀 책이나 문서
ㄴ 등본은 '전부 배낀 것'을 말하며, 초본은 '일부만 배낀 것'을 말한다.

초주검 [初-] : 두들겨 맞거나 병이 깊어서 거의 다 죽게 된 상태. 또는 피곤에 지쳐서 꼼짝을 할 수 없게 된 상태.

 

초화(草花) : 꽃이 피는 풀. 또는 그 풀에 핀 

 

초화식재(草花植栽) : 초화(草花)를 식재(植栽)함


최최차차 : 애는 애고, 은우는 은우다

출사(出師) : 군대(師)를 싸움터로 내보내는 일(出)

출사표(出師表) : 출병할 때에 그 뜻을 적어서 임금에게 올리던 글(表)

칠칠하다 : 나무, 풀, 머리털 따위가 잘 자라서 알차고 길다.
+ (부정) : 주접이 들지 아니하고 깨끗하고 단정하다. 성질이나 일 처리가 반듯하고 야무지다.

카리스마(Charisma) : 타인에 대한 헌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평범하지 않고 강렬한 매력
ㄴ '품위(호의), 은혜, 재능'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중성 명사 χᾰ́ρῐσμᾰ [카리즈마]에서 유래했다.

카지노(casino) : , 음악 따위의 오락 시설을 갖춘 공인 도박장
ㄴ 이탈리아어로 '별장, 오락장'을 뜻하는 casino에서 왔으며, 이 단어는 또 이탈리아어와 라틴어로 '집'을 뜻하는 casa에서 왔다.

캘리그라피(calligraphy) : 글씨나 글자를 아름답게 쓰는 기술. 좁게는 ‘서예(書藝)’를 이르고 넓게는 활자 이외의 모든 ‘서체(書體)’를 이른다.

코다리 : 반건조 시킨 명태
ㄴ '코에 달다'라는 뜻이며, 생태를 코를 꿰어서 매어달아 말린 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쿠사리 : 핀잔
ㄴ'썩다'라는 뜻의 일본어 ラ행 5(4)단 활용 자동사 腐る [くさる, 쿠사루]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키오스크(kiosk, キオスク) : 신문 가판대, 매점
ㄴ '별장, 정원 파빌리온'을 뜻하는 터키어 명사 köşk [코셰ㅋ]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파빌리온, 궁전, 맨션, 별장'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명사 کوشک[코스ㅋ]에서 유래했다.

타사(他社) : (내가 속하지 않은) 다른 회사. 남의 회사

탈피사(脫皮死) : 파충류, 곤충류 등이 탈피를 하는 과정에서 죽음. 탈피 중 공격을 받거나, 영양부족, 영양과잉 등의 원인으로 일어난다.

퍼스널 쇼퍼(personal shopper) : 고객의 취향, 나이, 직업, 체형, 경제 수준 등을 고려해 고객에게 적합한 물건을 추천해 주는 쇼핑 전문가

페이소스(pathos) :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 또는 허전하고 슬픈 마음.

폐사(弊社) : 자신의 회사(낮춤말)

포목점(布木店) : 베(布)나 무명(木) 등의 옷감을 파는 가게(店)

푼수데기 : 생각이 모자라고 어리석은 사람 (멸칭)

품평회(品評會) : 물건이나 작품의 좋고 나쁨을 평하는 모임

 

프락치(фракция) : 특수한 사명을 띠고 어떤 조직체나 분야에 들어가서 본래의 신분을 속이고 몰래 활동하는 사람

 

플러팅(Flirting) : 상대에게 호감을 갖고 유혹, 교제를 목적으로 다가가는 행위

 

한량(閑良) : 돈 잘 쓰고 잘 노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ㄴ 이 단어는 고려 말기 때부터 나타난 유서 깊은 단어다. 고려 말기~조선 초기에, 한량기로, 한량품관,한량 자제 따위를 통틀어 이르던 직위명이었는데, 이들은 직역(職役)이 없었다. 이후 조선 후기에, 무과의 합격자로서 전에 가졌던 직업이 없던 사람을 일컫는 단어가 되었고, 오늘날에는 '잘 노는 사람'이라는 뜻이 되었다.

해코지 [害-] : 남을 해(害)치고자 하는 짓
ㄴ '해꼬지'는 비표준어다.

 

헤게모니(Hegemonie) : 패권(우두머리의 자리에서 전체를 이끌거나 주동할 수 있는 권력)


호적수(好敵手, good rival) : 좋은 맞수(알맞은 상대)

후생(厚生) : 사람들의 생활을 넉넉하고 윤택하게 하는 일, 사람들의 생활을 넉넉하고 윤택하게 하는 일.

후보(候補) : 어떤 직위나 신분을 얻으려고 일정한 자격을 갖추어 나섬. 또는 그런 사람.

EM [Effective Microorganism] : 유용미생물군(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을 주균으로 하여 인간과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을 조합, 배양한 미생물복합체)

GV [Guest Visit] : 직역하면 '관객방문'이며, 영화 시작 전이나 후, 영화 관계자가 참석해 영화에 대해 관객과 대화하는 일

LCK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2012년부터 시작한 라이엇 게임즈에서 주최, 주관하는 대한민국의 최상위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2012 시즌부터 2014 시즌까지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LC]'라고 불리다. 2015 시즌부터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2~2014 2015~
LC [league of legends champions] LCK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TO [Table of Organization] : 편성표(편제표), 정원(定員)
ㄴ 영어로는 '편제표'라는 뜻이지만, 한국어에서는 '(특정 집단의 편제에 의한) 정원, (그 정원에서의) 공석(=남는 자리)'이라는 뜻으로 사용한다.

UV [UltraViolet] : 자외선. 가시강선보다 파장이 짧고 X선보다 파장이 긴 전자기파
ㄴ '자색(Violet)의 범위를 넘은(Ultra) 것'이라는 뜻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