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하늘의 오리온자리를 보여주며 '이게 삼태성이야'라고 말했다. 그래서 '오오! 진짜? 개 멋지다'하면서 같이 별을 쳐다봤다. 그렇게 별을 본 기쁨을 정리해보려 삼태성을 검색했는데... |
1. 삼성과 오리온 벨트
겨울 별자리의 대명사로 불리는 이 오리온자리는 천문학을 조금 공부했다면 한 번쯤 들어봤을 베텔게우스, 리겔, 벨라트릭스, 민타카를 가지고 있으며, 교과서에서 봤을 가능성이 큰 말머리성운도 이 별자리에 있다. 직접 쌍안경으로 본 적이 있는데, 진짜 조그맣고 귀엽게 보인다! 천체 관측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이 아름다운 별자리의 허리 부분에 3개의 별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3개의 별을 서양에서는 세 왕(the Three Kings), 세 마리아(the Three Marys), 야곱의 지팡이(Jacob's Rod, Jacob's staff), 베이내뫼이넨의 벨트(Väinämöisen vyö), 오리온의 벨트(Orion's Belt, the Belt of Orion) 등으로 불렀다. 남태평양에서는 3개의 끈(Tautoru)이라고 불렀다.
동양에서는 이 알니타크(삼수1), 알닐람(삼수2), 민타카(삼수3)를 합쳐서 삼수 3성(參宿三星) 혹은 그 약칭인 3성(三星)이라고 부른다. 특히 중국에서는 이 별을 신년을 맞이하는 별이라고 여겼는데, 이는 '삼성이 높이 빛나면(三星高照) 신년이 돌아온다(新年来到)'라는 속담에서 알 수 있다.
한편, 천문을 관측하는 관청과 민간의 교류가 거의 없었기에, 민간에서는 이 별무리를 복록수(福祿壽) 삼성(三星)이라고도 불렀는데, 이는 와전된 것이다.
2. 큰곰자리의 삼태성
봄철에 특히 잘 보이는 사계절 별자리인 큰곰자리에는 가장 유명한 북두칠성, 그리고 삼태성, 허블 딥 필드 등이 관측된다. 이 중 삼태성이라고 부르는 별이 이 글에서 중요하다.
삼능성(三能星) 혹은 삼능(三能), 일반적으로 삼태성(三台星)이나 삼태(三台)로 불리는 이 별무리는 2개씩 3개 총 6개의 별들로 이루어져있으며, 자미원에 속해있다. 여기서 삼태 혹은 삼능은 3개의 형태(能, 台)라는 뜻이다. 이 외에도 삼형(三衡), 삼기(三奇), 천주(天柱), 천계(天階), 태계(泰階) 등으로 다양하게 불렀다.
일설에 의하면, 천제(天帝)나 태일신(太一神)이 태미원을 오르내릴 때 쓰는 계단이라고도 하고, 백두산의 흑룡담 인근에서 태어난 삼형제가 흑룡을 완전히 물리치기 위해 하늘로 올라가 생긴 것이라고도 하고, 제갈공명이 오장원에서 진을 치고 있다가 우연히 밤하늘을 보곤 이 별자리에 객성(손님별)이 침범해 자신의 운명이 다한 것을 예언하기도 했다고 한다.
한편, 점성술적으로 삼태성은 별마다 다양하게 해석된다.
삼태성(삼능성) | 삼공 | 천계(하늘계단) | 삼정승 |
상태 | 수명 주관 | 천자, 왕비 | 영의정 |
중태 | 종묘 업무 담당 | 제후 및 삼공, 경대부 | 좌의정(or 우의정) |
하태 | 군대 주관 | 선비, 서인 | 우의정(or 좌의정) |
이렇게 역사적으로, 신화적으로 다양한 이야기와 해석을 남긴 이 삼태성은 동양에서 중요한 별자리 중 하나였다. 삼성과 삼태성의 차이를 정리해봤다. 현대에도 과거에도 꽤 중요하고 밝은 별들이었던 만큼 지금도 이 별들은 밤에 우리를 비추며 하늘을 올려다보길 기다리고 있는 듯 하다.
'용어 정리, 이슈 > 항공&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대삼각형과 대육각형을 이루는 별 이름 유래 (0) | 2023.12.28 |
---|---|
쯔진산 1이 크리스마스에 근일점에 다다르다(크리스마스 혜성) (1) | 2023.12.25 |
빅뱅 우주론이 거쳐온 길부터 암흑물질의 중요성까지 (0) | 2022.12.05 |
블랙홀 정보 역설(Black hole information paradox)이 무엇일까? (0) | 2022.11.06 |
우주에서의 우리의 위치는 어딜까? (0) | 202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