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밝은 별들이 많이 보입니다~ 그 중에서도 밝은 3개와 6개를 이으면 겨울철 대삼각형과 겨울철 대육각형이 나타나는데요. 이번엔 이 두 성군을 이루는 별들 이름의 유래를 정리해봤습니다. |
1. 겨울철 대삼각형(Winter Triangle) 구성 별들 이름 유래
겨울철 대삼각형은 겨울 하늘에서 가장 밝은 3개의 별(시리우스, 프로키온, 베텔게우스)를 이은 성군입니다.
이 성군의 신기한 점은 이 세 별을 이은 천구 상의 가상의 삼각형이 정삼각형이라는 점이죠~
이제 이 별을 구성하는 3개의 별의 이름이 어떤 의미인지 알아봅시다~
1-1. 시리우스(큰개자리) : 모두 태워 버릴 듯이 더운 것
큰개자리의 시리우스(Sirius)는 라틴어 Sīrius [시리우스]에서 유래했고, 이 말은 고대 그리스어로 '모든 것을 태워 버릴 듯이 더운 (것)'이란 뜻의 Σείριος [세이리오스]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래서 이 별은 '강렬히 불타는 것, 강하게 빛나는 것'이란 어투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외 이집트의 죽음의 신 오시리스(Osiris)의 이름과 연관이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1-2. 프로키온(작은개자리) : 개(시리우스)보다 앞에 있는 것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Procyon)은 라틴어 Procyōn [프로쿠온]에서 유래했고, 이는 고대 그리스어 Προκῠ́ων [프로쿠온]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말은 '개(κῠ́ων, dog) 앞에(προ-)'라는 뜻으로, 이 별이 자전할 때 '개의 별(Dog Star)' 시리우스보다 앞에 있기 때문입니다.
1-3. 베텔게우스(오리온자리) : 오리온의 손->오리온의 겨드랑이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Betelgeuse)란 이름은 오역으로 생긴 이름입니다.
1899년 미국 아마추어 천문학자 리처드 힝클리 앨런(Richard Hinckley Allen, 1838~1908)은 <별 이름 : 그들의 설화와 의미(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1899)>란 우주 천체들의 문학적 역사를 서술한 책을 씁니다.
이 때 오리온자리 알파를 '쌍둥이자리(혹은 오리온자리)의 겨드랑이'란 뜻의 ابط الجوزاء [아벹 알-자우자]라고 번역했고, 그걸 영어로 음차하면서 베텔게우스(Betelgeuse, Betelgeux)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원래는 '쌍둥이자리(혹은 오리온자리)의 손'이란 뜻의 يد الجوزاء [야드 알-자우자]라고 불리었다고 합니다.
2. 겨울철 대육각형(Winter Hexagon) 구성 별들 이름 유래
겨울철 대삼각형은 겨울 하늘에서 밝은 6개의 별(리겔, 알데바란, 카펠라, 폴룩스, 프로키온, 시리우스)를 이은 성군입니다.
이제 이 별을 구성하는 6개의 별 중 프로키온과 시리우스를 뺀 4개의 별의 이름이 어떤 의미인지 알아봅시다~
2-1. 리겔(오리온자리) : (오리온의) 발
오리온자리의 리겔(Rigel)은 아랍어로 '발, 다리'을 뜻하는 رِجْل [리즐리]에서 유래했습니다.
이는 '자바르(오리온)의 발'이란 뜻의 رجل الجبار [리즐리 알-자바르]가 줄여든 말입니다.
2-2. 알데바란(황소자리) : (플레이아데스의) 추종자
황소자리의 알데바란(Aldebaran)은 '추종자(the follower)'란 뜻의 아랍어 اَلدَّبَرَان [알 다바란]에서 유래했습니다.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뒤를 따라 뜨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하네요~
2-3. 카펠라(마차부자리) : 암염소
마차부자리의 카펠라(Capella)는 '암염소'라는 뜻의 라틴어 capella [카펠라]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명사는 '숫염소'란 뜻의 라틴어 명사 caper [카페르]에서 유래했죠. 그래서 별자리를 묘사한 그림을 보면 카펠라 위치에는 마부(마차부)에 안긴 암염소가 보입니다.
2-4. 폴룩스(쌍둥이자리) : 폴룩스(매우 달달한 자)
쌍둥이자리의 폴룩스(Pollux)는 그리스 신화의
카스토르와 폴룩스 형제 중 동생의 라틴어 이름인 폴룩스(Pollūx)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라틴계 이름은 그의 고대 그리스어식 이름 Πολῠδεύκης [폴뤼데우케]에서 유래했는데, 이 이름은 '매우(πολύς) 달달한(δεῦκος) 자(-ης)'란 뜻입니다.
'용어 정리, 이슈 > 항공&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쯔진산 1이 크리스마스에 근일점에 다다르다(크리스마스 혜성) (1) | 2023.12.25 |
---|---|
삼성과 삼태성 (0) | 2023.01.24 |
빅뱅 우주론이 거쳐온 길부터 암흑물질의 중요성까지 (0) | 2022.12.05 |
블랙홀 정보 역설(Black hole information paradox)이 무엇일까? (0) | 2022.11.06 |
우주에서의 우리의 위치는 어딜까? (0) | 202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