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의 배웅을 받으며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있었을 때였습니다. 그 때 다른 버스에서는 보이지 않던 글자 Т[떼]가 보이더군요. 그래서 친구에게 저 글자는 무슨 의미인지 물어봤는데, '트롤리버스'라고 하는겁니다.
24kg의 보도에 따르면, 2025년 2월 15일부터 비슈케크 내 7Т번과 14Т번의 버스 노선이 운행되기 시작했는데요. 이는 이전에 같은 번호로 달렸던 트롤리버스의 번호를 이어받은 것이라고 합니다. 즉, 2025년 현재 비슈케크에는 트롤리버스는 사라졌지만, 일부 버스의 명칭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게 되었죠.
트롤리버스는 가공전차선을 따라가는 무궤도 전기버스를 말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 글(https://mspproject2023.tistory.com/1994)을 참고해주세요~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버스 정류장 안내판 읽기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일대를 걷다보면 아래와 같은 버스 정류장 안내판을 볼 수 있습니다. 버스 정류장 안내판에 적힌 글자가 무엇인지, 어떤 교통수단인지 정리해봤습니다.1. А(автобус)А
mspproject2023.tistory.com
이 14T번 버스는 키르콤스트롬(Киркомстром)에서 덴 샤오피나 대로(Проспект Дэн Сяопина)와 추이 대로(Проспект Чуй)를 거쳐, 키예프 거리(Киевская улица)를 지나고, 마나스 거리(Улица Манаса)와 칭기스 아이트마토프 대로(Проспект Чынгыза Айтматова)를 지난 뒤, 이사 아흐운바예프 거리(Улица Исы Ахунбаева)로 꺾고, 다시 틔날리예프 거리(Улица Тыналиева)로 꺾어, 압사맛 마살리예프 대로(Проспект Абсамата Масалиева)로 꺾은 뒤 주거단지 아르차볘식(жилмассив Арча-Бешик)에서 정차하고, 왔던 길을 되돌아가다가 필아르모니야(филармония)를 거쳐 다시 키르콤스트롬으로 가는 노선을 가진 버스입니다. 비슈케크 서부와 남부를 이어주는 중요한 노선 중 하나입니다.
이제 트롤리버스는 이 도시에 필요하지 않게 되었는데, 당분간 그 흔적을 느낄 수 있게 되겠죠. 이렇게 또 역사는 흘러갑니다.
'용어 정리, 이슈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슈케크 서부버스터미널-소쿨룩 50솜 (0) | 2025.05.10 |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페트롤레움 주유소 기름 종류 (0) | 2025.04.27 |
키르기스스탄국립대학교 기숙사비 지불 방법 (0) | 2025.03.19 |
비슈케크에서 버스타는 법(현금 지불 시 표를 꼭 챙기세요!) (0) | 2025.03.02 |
키르기스스탄 이동통신사 О!의 '나눠주자 인터넷!' 서비스(다른 기계 핫스팟 공유 서비스) (1)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