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스탄사람들이 말하는 키르기스스탄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세계사, 세계문화

키르기스스탄사람들이 말하는 키르기스스탄

728x90
개인들이 하는 의견도 포함되어 있기에 모든 내용을 사실로 가정하지말고, 특정 대상에 대한 평가 등은 '특정 대상에 대해서 저런 방식으로 여기는구나' 정도로 여겨주시길 바란다.

1. 키르기스스탄

1-1. 문화

- 키르기스스탄 여자들은 일찍 결혼하고 일찍 아이를 낳는 편이다.

-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여자는 18살부터 결혼하고, 20살에 보통 결혼한다.

- 키르기스인들은 여자와 남자가 대략 25살이 넘어갔을 때까지 결혼을 하지 않으면, 약간 노처녀, 노총각처럼 생각한다고 한다.

- 중매 결혼도 있는데, 보통 부모 사이에 이야기를 하여 진행한다.
- 키르기스스탄 출신의 대통령을 뽑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 선생님의 힘이 센 편이다. 아직도 교수님이 들어오면 일어서서 경례하는 문화가 있는 곳들이 있으며, 한국보다는 더 교수님의 부탁을 쉽게 거절하기 어려워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  감사의 의미로 선생님께 케이크를 선물하기도 한다.

- 초콜릿은 보통 여성에게 주는 선물로 여겨진다.

- 다른 구소련 국가와 마찬가지로 여자에게 어떠한 상황이든(아무 이유가 없어도) 꽃선물을 하는 문화가 있다. 그렇기에 꽃집이 정말 많다.

- 한국 드라마와 러시아 드라마가 유명하다.

- 한국의 태권도나 합기도 도장이 종종 들어서 있다.

- 학교 졸업식 때 고백을 많이 한다.

- 키르기스스탄은 남부와 북부의 문화 차이가 심하다. 부족 중심의 사회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기도 한데, 특히 어른 세대 중에서는 서로 싫어하는 경향을 표현하기도 한다.

- 북부에서는 남성 어르신들은 칼팍이라는 키르기스스탄 전통 모자를, 남부에서는 토푸(Топу)라는 우즈베키스탄 지역에서 유래된 모자를 쓴다.

- 북부 사람들은 자신들은 남부인들보다 카자흐인과 닮았다고 하며, 남부 사람들은 자신들은 북부인들보다 우즈벡인들과 닮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1-2. 사회/정치

- 가스 난방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 키르기스인, 우즈벡인, 러시아인 순으로 많이 거주한다.

- 오시에는 인도인, 파키스탄인, 우즈벡인들이 많이 산다고 한다.

- 한 때 오시 지역에 한국인들이 많았다고 하지만, 그 비율은 비슈케크보다 덜하다.
- 아들이 한 명만 있으면 그 집안의 아들은 군대로 안 간다. 두 명 이상이면 모두 가야 한다. 다만 집안에 어머니 혼자 계시는 상황이면 가지 않는다.
- 군복무는 1년 혹은 1년 6개월간 복무한다. 대학교를 다니지 않으면 만 18세부터 바로 갈 수 있으며, 대학교를 다니면 졸업 후 갈 수 있다. 다만 돈을 내고 병역을 면제받기도 한다.
- 키르기스인들에게는 러시아어보다 키르기스어가 더 편하다.

- 수도 비슈케크에서는 러시아어를 많이 쓰는 경향이 있다. 비슈케크로 러시아어를 배우러 오는 타지 키르기스인들이 존재한다.
- 역사적으로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은 경험으로 러시아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 오시가 제2의 도시라곤 하지만, 학생들 중에선 종종 비슈케크에 비해 러시아어 회화가 힘든 사람들이 존재한다.

- 외국인이 키르기스스탄에서 치과의사가 되기 위해 의대를 가는데 이 때 입학계약서(контракт)를 쓸 때 1년 치 수업료(등록금)로 180000솜을 같이 내야 한다고 한다.

- 꽤 많은 키르기스인이 중국으로 공부하거나 일하러 가기도 한다. 또는 이를 꿈 꾸기도 한다.

- 정치적 견해에 대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다른의견을 가지지만, 대체적으로 전 대통령 '알마즈베크 아탐바예프'는 인기가 많은 편이라고 한다.

- 현재 정치적으로 키르기스어를 강력 권고하는 분위기가 조금씩 생겨나고 있지만, 주변국에 비해선 아직 러시아어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다.

- 성적으로 개방된 여성의 경우, 보통 첫경험은 18-20세에 한다고 한다.

- 비슈케크의 Barkad의 소시지가 맛있다고 한다.

1-3. 환경/자연

- 겨울에는 자동차, 석탄 난방 등 때문에 특히 비슈케크에 공기가 나쁘다.
- 현재 도시는 자연경관 회복에 집중해서 건물을 새로 지을 때, 풀을 심는 등의 활동을 한다.

- 나린 강은 톈산 산맥에서 발원하여 키르기스스탄의 이식쿨주-나린주- 잘랄아바트주를 거쳐 우즈베키스탄으로 흘러간다. 특히 오시 주와 잘랄아바트주에서 하류쪽의 대형 호수를 구경하러 많이 간다고 한다.

- 바트켄에는 양파(лук)가 유명하다.

1-4. 경제

- 키르기스스탄에는 클리닉, 약구, 치과 등의 의료기관들이 많이 있다.

- 교외로 나가면 타이어 정비, 자동차 예비품, 자동차 정비, 자동차 오일 교환 등의 서비스센터업체가 많다.

- 거리에 개인이나 특정 대상물의 이름을 건 사설 가게가 많이 있다.

- 2025년 기준, 물 한 병은 약 30-40솜 정도 한다.

- 한국처럼 독일 자동차가 좋다고 생각한다. 다만 서비스 비용이 비싸고 부품 공급도 원활하지 않아 독일차를 다른 자동차들에 비해 잘 타지 못한다고 한다. 도로에 한국차나 일본차가 독일차보다 많은 이유가 그것이다.
- 한국차가 일본차보다 서비스 측면에서 빠르고 경제적이라는 평가가 있다.
- 키르기스스탄에서는 구매와 판매의 기본적인 경제 활동이 진행된다. 물론 이는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하다.

- 키르기스스탄에서는 나무, 석유, 엔진 등은 러시아에서 주로 수입한다.
- 키르기스스탄의 외화벌이로는 가축, 여행업, 송금 정도가 있다고 한다.

- 키르기스스탄은 깨끗한 물을 팔고, 맛있고 달달한 과일이나 깨끗하고 신선한 채소를 수출한다. 

- 축산업으로 소, 양, 말, 염소, 닭 등을 키운다.

- 아르바이트는 웹사이트로 구하기도 하나 정보가 적기에 보통은 인스타그램으로 아르바이트를 구한다고 한다.
- 대학생은 평균적으로 점심값으로 약 100~250 혹은 100~300솜 정도를 쓴다고 한다. 오시 지역에서는 보통 평균적으로 150솜, 많으면 300솜) 정도 쓴다고 한다.

- 키르기스스탄의 택시 중에서는 러시아의 얀덱스택시나 키르기스스탄의 조르보택시가 인기다. 택시 기사들도 이 두 업체에서 주로 일한다.
- 비슈케크를 통과하는 통근열차 중 비슈케크-토크모크까지가 약 60솜인데, 이 가격이 비싸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 외국인으로서 키르기스스탄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기 힘들다.

- 한 때, 키르기스스탄보다 임금이 높아 러시아로 일을 많이 갔다고 하는데, 요즘은 러시아쪽으로 일하러 가는 분위기는 전보다 많이 줄었다고 한다.

-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나 독일과 같은 유럽에서 일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고, 이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이런 번역공증을 해주는 일자리도 많이 있다. 보통 언어학과 학생들은 이런 번역가로 일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동남아시아나 남아시아에서 건설노동자들을 많이 들여온다고 한다. 어떤 사람은 결국 몇십 년 뒤 이곳에 키르기스인들이 적어질 것을 걱정하기도 한다.

- 2025년 5월 기준, 키르기스스탄에는 담배는 평균 125솜 정도로 판매된다.

- 러우전쟁으로 러시아 사업가나 우크라이나 사업가들이 많이 들어왔다고 한다. 누군가는 200명이 들어왔다고 했다. 이로 인해 키르기스스탄 내 특히 주택 관련 비용이 증가했다고 한다.

- 2025년 기준, 오시에는 현재 한국 화장품이 인기라고 한다.

- 오시에 거주하는 사람들 중에서 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이유로 비슈케크에서 일하고 싶은 사람들이 많다. 실제로 오시보다 비슈케크에서 택시운전을 한다면,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다고 한다.

- 러시아 및 중국의 자본이 키르기스스탄에 많이 들어와있고, 특히 정치적으로 러시아의 입김이 강하게 남아 있다고 한다.

- 사회주의적 운영 방식이 남아 있어서, 외국게 기업이 이윤을 많이 남겼을 때, 단수, 단전과 같은 경고로 정부에서 돈을 내라고 압박하기도 하는데, 이에 외국인 사업가들은 중앙아시아에서 사업할 땐 주의해야 한다고 한다.

- 키르기스스탄 오시는 월세가 3000솜 정도 한다. 당연하지만 편차는 존재한다.

- 비슈케크의 많은 학생과 성인 남성(종종 여성도 있긴 함)들은 배달업에 종사하는데, 러시아 업체 얀덱스 고(Яндекс Go)와 스페인 업체 글로보(Glov)와 같은 대형 플랫폼에서 주로 활동하며 그 외 남바푸드(намба фуд), ZOR 등 소규모 업체에서 일하기도 한다.

- 차이는 있지만 대략적으로 비슈케크에서 2025년 6월 기준, 최저 월급은 60000솜이다.

- 배달 아르바이트를 통해 일주일에 19000솜을 버는 경우도 있다.

1-5. 종교

-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이슬람교 수니파 하나피파가 가장 세력이 강하다.

- 무슬림은 모스크에서 하루 5번 나마스를 읽어야 한다.

- 남부로 갈수록, 시골로 갈수록 이슬람교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2. 다른 나라

- 튀르크계 언어에서 히브리어 '솔로몬'에서 유래한 술라이만, 술레이만' 등의 이름이 흔하다. 

-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종교가 아니라 법적으로 여자는 혼자 외출할 수 없으며, 눈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가리고 가야 한다.
- 카자흐스탄에서는 모든 카자흐족에게 여권을 발급해준다.(оралман)
- 중국과 러시아,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관계처럼 러시아의 친구 국가는 이익에 근간한 국가 관계를 형성한다는 의견이 있다.

- 키르기스스탄에서도 종종 있는 일이지만, 터키, 아제르바이잔 등지에서 일부 사람들은 담배를 빨면서 술 한 잔하는 것을 종종 '아침식사'로 여긴다.

- 키르기스어와 카자흐어, 카라칼파크어도 비슷하다.

- 카라칼파크인은 카자흐인의 한 분파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 타지크인들은 아프가니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에 많이 거주한다.

- 중앙아시아의 스탄 국가들 중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은 이란어군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