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읍 매학리의 3곳의 자연마을의 이름 유래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정관읍 매학리의 3곳의 자연마을의 이름 유래

728x90

1. 기장군 정관읍 매학리

정관읍의 10개의 법정리 지도 (지도 출처 : 카카오맵)

부산 기장군 정관읍에는 10개의 법정리가 있습니다. 그 중 남서쪽에 '매학리(梅鶴里)'가 있죠. 서쪽과 남쪽으로 철마면에 접하며, 북쪽으로 용수리, 동쪽으로 달산리에 접하는 곳으로, 곰내터널을 통해 정관신도시 초입을 지난다면 달산리와 함께 무조건 매학리의 땅을 밟게 됩니다.

매학리의 3개의 자연마을 (지도 출처 : 카카오맵)

매학리의 '매학'이라는 이름은 매곡마을[梅谷-]과 상곡마을 뒤의 망월산(매암산, 망일산) 소학대(巢鶴臺)에서 따온 것입니다. 즉, '매곡마을과 소학대가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죠. 이곳에는 '구연동, 매곡마을, 상곡마을'의 세 개의 자연마을이 있는데요. 그 유래를 차례 차례 알아보겠습니다~

 

1-1. 구연동

구연동의 대략적인 범위를 보여주는 도로들 (지도 출처 : 카카오맵)

구연동(口演洞)은 정관신도시(1995-) 개발로 인해 주민 이주로 만들어진 최근에 생긴 자연마을입니다.

지금은 구연교, 구연방곡로를 포함해 구연로, 구연1로, 구연2로, 구연3로, 구연4로와 같은 도로 이름이나 다리 이름, 그리고 '구연동' 버스 정류장으로 잘 남아 있습니다. 이 마을 이름의 유래에 관해서는 자료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1-2. 매곡마을 : 매방우 골짜기의 마을

매곡길 (지도 출처 : 카카오맵)

매곡마을[梅谷-]은 매학리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마을 이름인 '매곡(梅谷)'은 '매방우골(매남방우골, 매암방우골)'이란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여기서 지금의 소학대의 옛명칭인 '매방우(매남방우, 매암방우)'는 '뫼봐위[山巖]'이라는 뜻으로, '매곡마을'은 '산바위 (아래에) 있는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입니다.

 

1-3. 상곡마을 : 위쪽 골짜기의 마을

정관상곡1길과 정관상곡2길 그리고 상곡2리 경로당 (지도출처 : 카카오맵)

상곡마을[上谷-]은 매학리의 남서쪽과 북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마을 이름인 '상곡(上谷)'은 '웃골(윗골)'이란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즉, '상곡마을'은 '(주변 마을 보다) 위쪽에 위치한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입니다.

 

이 마을은 원래 큰 마을이었지만, 매학리의 북서쪽에 위치한 정관신도시(1995-) 개발 지역이 된 곳은 상곡2리, 매학리의 남서쪽에 위치한 자연마을로 구성된 곳은 상곡1리로 분리됩니다. 지금 상곡2리는 경로당 이름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