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등록번호 첫 세자리는 무엇일까?
본문 바로가기

용어 정리, 이슈/경제

사업자등록번호 첫 세자리는 무엇일까?

728x90
홈택스 알바를 하다가 사업자등록번호 첫번째 세 자리가 무엇인지 궁금해져서 찾아봤습니다.

국세청의 코드번호는 000입니다. 그리고 이 국세청 직속 행정기관들도 대체로 0xx의 코드번호를 부여받습니다. 다만 이는 사업자등록번호 체계에서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참고로 사업자등록번호는 무조건 101부터 999까지만 배정됩니다.

서울특별시 전역의 세무 관련 직책을 맡는 서울지방국세청의 코드번호는 100이며, 그 하위 세무서는 1xx의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다만 현재의 행정구역상 경기도나 인천에 속하지만 1xx의 번호를 부여받은 세무서도 있는데, 이렇기에 1xx의 코드가 보인다고 무조건 '서울지방국세청 관할 사업자'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경기도 일부(안양, 의왕, 안산, 수원, 화성, 오산, 평택, 안성, 성남, 이천, 여주, 양평, 광주, 하남, 남양주, 가평, 구리, 시흥, 용인 등)와 강원도 전역의 세무 관련 직책을 맡는 중부지방국세청의 코드번호는 200이며, 그 하위 세무서는 2xx의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2xx의 코드가 보인다고 무조건 '중부지방국세청 관할 사업자'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대전광역시 및 충청도, 세종특별자치시의 세무 관련 직책을 맡는 대전지방국세청의 코드번호는 300이며, 그 하위 세무서는 3xx의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이 목록에 실린 세무서는 모두 대전지방국세청 산하에 있기 때문에, 3xx의 코드가 보인다면 '대전지방국세청 관할 사업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및 전라도의 세무 관련 직책을 맡는 광주지방국세청의 코드번호는 400이며, 그 하위 세무서는 4xx의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이 목록에 실린 세무서는 모두 광주지방국세청 산하에 있기 때문에, 4xx의 코드가 보인다면 '광주지방국세청 관할 사업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의 세무 관련 직책을 맡는 대구지방국세청의 코드번호는 500이며, 그 하위 세무서는 5xx의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이 목록에 실린 세무서는 모두 대구지방국세청 산하에 있기 때문에, 4xx의 코드가 보인다면 '대구지방국세청 관할 사업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제주도의 세무 관련 직책을 맡는 부산지방국세청의 코드번호는 600이며, 그 하위 세무서는 6xx의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이 목록에 실린 세무서는 모두 대전지방국세청 산하에 있기 때문에, 6xx의 코드가 보인다면 '부산지방국세청 관할 사업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북서부 일부, 강원도 일부의 세무 관련 직책을 맡는 인천지방국세청의 코드번호는 800입니다. 다만, 그 하위 세무서는 다른 지방국세청의 코드를 받고 있다는 특징이 보입니다.

인천지방국세청 산하 세무서의 코드번호
코드번호 코드번호 관련기관 세무서 및 코드번호
1xx 서울지방국세청 인천세무서(121)
부평세무서(122)
의정부세무서(127)
고양세무서(128)
부천세무서(130)
남동세무서(131)
서인천세무서(137)
파주세무서(141)
연수세무서(150)
남부천세무서(152)
계양세무서(154)
2xx 중부지방국세청 포천세무서(231)
동고양세무서(232)
김포세무서(234)
광명세무서(235)

다만 위 기준은 2015년 2월 말에 시행된 국세통합시스템(TIS) 전면개편사업으로 인해 무조건 주소지 관할 세무서코드번호를 첫 세 자리로 받지 않는 경우도 생겼습니다. 그러니 2015년 2월 23일 이후 새로 등록된 사업자의 첫 세번째 번호가 그 소속 지방국세청의 번호와 맞지 않는 경우(다른 말로 하면 2025년 2월 23일 이전에 등록된 사업자는 위 규칙을 따름)도 있으니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세무서 명칭 및 코드번호.cell
1.51MB

 

 

 

세무서 명칭과 그 코드를 정리한 파일을 공유드리니 필요하신 분은 사용하시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