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천의 다리들 |
광무교(1996) 범4호교(1981) 골든브릿지(2016) 성서교((구)범3호교)(2003) 무지개다리((구)범2호교)(1998) 범5호교(1996) 동천오작교(2013) 범일교(1980) 하구교 부두교 |
다리 이름에서 광무(光武)는 대한제국의 첫번째 연호인 광무(1897~1907)와 그 한자가 같습니다. 그래서 그 시절에 이미 있었던 다리가 이름이 그대로 내려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어요.
광무교(光武橋) | |||
총연장 | 47.35m | 교폭 | 35m |
설계하중 | DB-24 | ||
공사기간 | 1995.05.10.-1996.07.31. | ||
시행청 | 부산진구청 | 시공자 | 국제종합건설(주) |
설계자 | (주)삼영건설기술공사 | 감독자 | 이건영 |
준공검사관 | 지방토목사무관 전세영 지방토목주사 오관수 |
동서고가도로의 출퇴근 마의 길이라 불리는 범내골램프교차로에서 신천대로를 따라 서쪽으로 쭉 오면 중앙대로가 지나는 동서고가도로 아래의 광무교가 나옵니다.
이곳은 온천천 상류처럼 바닥이 훤히 보일만큼 얕은 구간입니다. 예상과 다르게 이 구간은 하천으로 광무교 아래를 지나는 이 동천 구간은 중하류에 해당합니다!
이후 동천 다리라고 하는 구간은 2024년 12월 기준 아직 없습니다.
https://blog.naver.com/koly1234/220860003349
부산의 청개천을 꿈꾸다- 부산의 역사 동천과 광무교 걷기운동
2016 숨쉬는 동천 시민 걷기 행사에 참여했다. '숨쉬는 동천' 주최로 열린 행사였으며 시민 • 학생 5...
blog.naver.com
한 블로그 글에 따르면, 1909년 부산경편궤도주식회사의 부산진-동래남문 증기철도 궤도공사 때에 이 다리가 놓였다고 전합니다. 1909년에는 대한제국은 융희(1907~1910)라는 연호를 쓰고 있었는데, 이에 따르면 대한제국의 처음을 기억하고 이어가려는 의지나 일본제국주의에 끝까지 반대하겠다는 의지를 당시 혹은 (그 시절 기준으로) 먼 후대에 '광무교'라고 이름지은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반응형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천천을 도심으로 보내는첫번째 다리 청룡2호교 (0) | 2024.12.24 |
---|---|
온천천 본류가 처음 큰 도로를 만나는 곳, 청룡교 (1) | 2024.12.24 |
동천 유일 대형 단방향 도로가 놓아진 범4호교 (0) | 2024.12.24 |
범내골교차로와 문현금융단지를 이어주는 동천 보행교, 골든브릿지 (0) | 2024.12.24 |
2003년에 개통한 부산진구가 이마트와 함께 새로 지은 성서교 (0)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