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은다리부터 무지개다리(범2호교)까지, 동천의 오랜 세월의 흔적
본문 바로가기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썩은다리부터 무지개다리(범2호교)까지, 동천의 오랜 세월의 흔적

728x90

 

동천의 다리들
광무교(1996)
범4호교(1981)
골든브릿지(2016)
성서교((구)범3호교)(2003)
무지개다리((구)범2호교)(1998)
범5호교(1996)
동천오작교(2013)
범일교(1980)
하구교
부두교

지도 출처 : 카카오맵

한 때는 나무로 만들어져 썩은 동천의 하천물과 빗물 등으로 썩어 갔던 다리가 있었는데, 그 다리를 '썩은 다리'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이후 철거하고 1997년부터 1998년까지 건설해 그 해 '무지개다리'가 개통했지만, 아직 주변에선 이 다리를 '무지개다리'라고 부릅니다.

(구)문현선과 무지개다리 (출처 : 카카오맵)

지금의 이 다리가 있는 쪽의 바로 남쪽에는 부산일보에 따르면 1941년부터 1972년까지 운행했던 문현선이 있었는데, 이제 그 철길의 흔적은 좁은 일차선 길로만 남아있고, 철도 다리는 사라졌습니다.

총연장 58.5m 교폭 17.25m
설계하중 DB-24 통과하중 43.2ton
공사기간 1997년 4월 2일 - 1998년 12월 3일
시행청 부산진구청 시공사 국제종합건설(주)
설계 및 책임감리 (주)삼영건설기술공사 감독관 김인곤
도용우
준공검사관 부산진구청 건설과 전세영, 송방환

이 다리에서 남쪽을 바라봅니다. 바로 앞에 작은 배들과 그 선착장이 보입니다. 범5호교도  멀리 보이네요~ 그리고 동서고가로도 보이네요. 동사고가로가 보인다는 말은 그 아래 동천오작교도 보인다는 말인데, 지금 공사현장 사무소 가건물이 있어서 확인하긴 힘드네요.

이 다리는 여러 노점이 행해지고 있는 다리입니다. 그 오래전 다리에서 물건을 팔았던 역사가 그대로 이어진 걸까요?

다리를 서쪽으로 건너면 중앙시장, 철뚝시장, 평화시장, 자유시장으로 가는 길이 나옵니다. 다리만큼이나 오래된 이야기를 담고 있을 이 시장도 무지개다리처럼 긴 세월을 살아왔겠죠. 어찌보면 동천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이 드는 무지개다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