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북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길 78의 삼거리에는 '구룡포 돌문'이라고 쓰인 안내판과 큰 돌이 있습니다.
구룡포 돌문[石門] |
이곳은 우리지역(구룡포)의 상징이었던 "구룡포 돌문"이 위치한 장소이다. 당시 높이 11m, 폭 6m 정도의 돌문은 교통장애와 일부 낙석으로 인하여 1988년 6월에 철거하였고, 이 바위의 상징성을 위하여 바위 상부를 현재 자리에 세워두고 있다. 1400년대에 장기반도에는 (현)구룡포읍 구룡포리에서 동해면 흥환리까지 등선을 넘는 25리(약 10km)에 10척(약 3m) 높이의 석책을 쌓아 말을 사육했던 국영 목장이 있었다. 그 목장의 관문이 현재 "구룡포 돌문"으로 불린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문지기 2명이 배치되어 말의 출입을 통제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는 '인조 3년(1625년)에 성벽을 보수하고, 1,066필의 말을 사육했다'는 대목이 있어 목장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
한 때 이 지역에서 말을 키우던 목장의 입구로 자리잡았던 거대한 석문은 교통과 안전을 위해 철거하고 지금은 그 흔적만 이렇게 남아있게 되었습니다. 그 시절엔 정말 얼마나 웅장한 돌문이었을지 상상할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
'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 > 어원과 표로 보는 한국사, 한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진역 앞 윤흥신장군 동상에서 임진 영웅과 두모포왜관터 이야기를 듣다 (0) | 2024.04.12 |
---|---|
구룡포에 정착한 근대 일본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구룡포 근대역사관 (0) | 2024.04.07 |
부산 기장 철마 작별을 한 정자나무가 있었다는 송정마을의 송정마을비와 송정시장 (0) | 2024.03.24 |
기장 앞바다를 지켜라! 기장 장관청 (0) | 2024.03.19 |
왜구를 막기 위해 세웠으나 왜적에게 무너진 기장 두모포진성 (0) | 202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