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를 만들 때 주의할 점을 몇가지 정리해봤습니다. 사실, 제가 잘못 기억하거나, 쪽지시험에서 잘못 적어 틀린 것들을 절대 잊어먹지 않기 위해 적은 것인데, 다른 사람들도 가끔 헷갈려하는 부분이 많아 정리해봤습니다. |
1.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는 3인칭 복수 어간에 형동사 접미사를 붙여 만든다.
1-1. нести(나르다)의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несущий
нести́ | |
어근 | 동사 어미 |
-нес- (나르-) |
-ти |
'나르다'란 뜻의 불완료상 타동사 нести́ [니스찌]의 어근은 -нес-[-네스-]로, 이 동사가 활용(굴절)될 때, 과거 시제 남성을 제외하고 고정됩니다. 이제 이 동사의 현재 시제들을 보겠습니다.
нести́의 현재 시제 | 단수 | 복수 |
1인칭 | несу́ | несём |
2인칭 | несёшь | несёте |
3인칭 | несёт | несу́т |
нести́의 현재 시제 3인칭 복수는 несу́т [니숱]입니다. 이 несу́т의 어간 -нес-가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를 만드는 열쇠입니다.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는 어근 뒤에 접미사 -ущ(-ющ) 혹은 -ащ(-ящ)와 그 뒤에 오는 형용사화 어미 -ый(-ий) 혹은 -ой가 붙어 만들어집니다. 그럼 нести́의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기본형은 несущий일까요, несующий일까요?
정답은 바로 несущий입니다.
несу́щий | ||
어근 | 어근접미사(suffix) | 어미 |
-нес- (나르-) |
-ущ (-(하)고 있) |
-ий (-한, -는) |
현재시제 3인칭 복수 несу́т의 어근 -нес-에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어근접미사 -ущ를 붙이고, 형용사화 어미 -ий를 붙여 несу́щий [니수쉬-]라고 씁니다.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어근접미사 -ущ, - ющ라고 기억해서 무조건 현재 시제 3인칭 복수형을 아무렇게나 잘라 ущ, - ющ나를 뒤에 붙이지 말고, 명확히 '현재 시제 3인칭 복수형의 어근' 뒤에 그 접미사와 어미를 연속해서 붙여야 합니다!
1-2. молчать(침묵하다)의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молча́щий
молча́ть | ||
어근 | 어근접미사(suffix) | 동사 어미 |
-молч- (침묵하-) |
-а | -ть |
'침묵하다'란 뜻의 불완료상 자동사 молча́ть [멀차찌]의 어근은 -молч-[-몰ㅊ-]로, 이 동사가 활용(굴절)될 때, 이 부분은 고정됩니다. 이제 이 동사의 현재 시제들을 보겠습니다.
молча́ть의 현재 시제 | 단수 | 복수 |
1인칭 | молчу́ | молчи́м |
2인칭 | молчи́шь | молчи́те |
3인칭 | молчи́т | молча́т |
молча́ть의 현재 시제 3인칭 복수는 молча́т [멀챁]입니다. 이 молча́т의 어간 -молч- 가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를 만드는 열쇠입니다.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는 어근 뒤에 접미사 -ущ(-ющ) 혹은 -ащ(-ящ)와 그 뒤에 오는 형용사화 어미 -ый(-ий) 혹은 -ой가 붙어 만들어집니다. 그럼 молча́ть의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기본형은 молчащий일까요, молчующий일까요?
정답은 바로 молчащий입니다.
молча́щий | ||
어근 | 어근접미사(suffix) | 어미 |
-молч- (침묵하-) |
-ащ (-(하)고 있) |
-ий (-한, -는) |
현재시제 3인칭 복수 молча́т의 어근 -молч-에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어근접미사 -ащ를 붙이고, 형용사화 어미 -ий를 붙여 молча́щий [멀차쉬-]라고 씁니다.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어근접미사 -ущ, - ющ라고 기억해서 무조건 현재 시제 3인칭 복수형을 아무렇게나 잘라 ущ, - ющ나를 뒤에 붙이지 말고, 명확히 '현재 시제 3인칭 복수형의 어근' 뒤에 그 접미사와 어미를 연속해서 붙여야 합니다!
2. щ 뒤에는 ы가 올 수 없다
러시아어 철자법 중 자음 г, к, х, ж, ч, ш, щ 뒤에는 모음 ы가 올 수 없고, 그에 대응하는 모음 и만 와야 한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어근접미사 -ущ(-ющ), -ащ(-ящ)의 뒤에 형용사화 어미가 붙을 때도, -ый [의-]가 못오고, -ий [이-]가 와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엔 그럼 이번엔 이러한 철자법으로 인해 남성 주격에서의 어미 -ий의 활용형을 살펴보겠습니다.
형용사화 어미 -ий (г, к, х 뒤에 붙는 경우) |
단수 | 복수 | |||
남성 | 중성 | 여성 | |||
주격 | -ий | -ое | -ая | -ие | |
생격 | -ого | -ой | -их | ||
여격 | -ому | -ой | -им | ||
대격 | 활동체 | -ого | -ое | -ую | -их |
불활동체 | -ий | -ие | |||
조격 | -им | -ой | -ими | ||
전치격 | -ом | -ой | -их | ||
단어미형 | - | -о | -а | -и |
철자법상 г, к, х 뒤에는 모음 ы가 오지 못해 그 대체로 모음 и가 붙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원래 형용사 어미 중 ы로 시작하는 부분만 и로 바뀝니다.
형용사화 어미 -ий (ж, ч, ш, щ 뒤에 붙는 경우) |
단수 | 복수 | |||
남성 | 중성 | 여성 | |||
주격 | -ий | -ее | -ая | -ие | |
생격 | -его | -ей | -их | ||
여격 | -ему | -ей | -им | ||
대격 | 활동체 | -его | -ее | -ую | -их |
불활동체 | -ий | -ие | |||
조격 | -им | -ей | -ими | ||
전치격 | -ем | -ей | -их | ||
단어미형 | - | -е | -а | -и |
철자법상 쉿소리(ж, ч, ш, щ) 뒤에는 거의 연자음이 따라옵니다. 다만 그 뒤에 모음 я를 못 쓰고, 대체음 а가 붙고, 모음 ю를 못 쓰고 대체음 у를 써야 하는 규칙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단수 중성에서 '작동하는(작동하고 있는) 라디오'는 радио работающое가 아니라 радио работающее입니다.
또 단수 여성에서 '공부하고 있는 동료'는 коллега занимающяяся가 아니라 коллега занимающаяся입니다.
3. 동사 원형에 소사 -ся가 있으면 형동사에서도 꼭 붙이기!
3-1. заниматься (종사하다)의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занима́ющийся
занима́ться | ||||
어간 |
어미군 |
|||
접두사 | 어근 | 어근접미사(suffix) | 동사 어미 | 어미접미사(postfix) |
за- (~하기 시작하다) |
-ним- (가지-, to take) |
-а | -ть | -ся (스스로) |
'종사하다, 공부하다'란 뜻의 불완료상 재귀 자동사 занима́ться [자니맛쨔]의 어간은 -занима- [-자니마-]로, 이 동사가 활용(굴절)될 때, 이 부분은 고정됩니다. 이제 이 동사의 현재 시제들을 보겠습니다.
занима́ться의 현재 시제 | 단수 | 복수 |
1인칭 | занима́юсь | занима́емся |
2인칭 | занима́ешься | занима́етесь |
3인칭 | занима́ется | занима́ются |
занима́ться의 현재 시제 3인칭 복수는 занима́ются [자니마윳쨔]입니다. 이 занима́ются의 어간 -занима- [-자니마-]가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를 만드는 열쇠입니다.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는 어근 뒤에 접미사 -ущ(-ющ) 혹은 -ащ(-ящ)와 그 뒤에 오는 형용사화 어미 -ый(-ий) 혹은 -ой가 붙어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занима́ться의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는 바로 занимающийся입니다.
занима́ющийся | |||||
어간 |
어미군 |
||||
접두사 | 어근 | 어근접미사 (suffix) |
어미 | 어미접미사 (postfix) |
|
за- (~하기 시작하다) |
-ним- (가지-, to take) |
-а | -ющ (-(하)고 있) |
-ий (-한, -는) |
-ся (스스로) |
현재시제 3인칭 복수 занима́ются의 어간 -занима-에 현재 시제 능동 형동사 어근접미사 -ющ를 붙이고, 형용사화 어미 -ий를 붙인 뒤, 동사 원형에도 있던 어미접미사(postfix) -ся를 덧붙인 занима́ющийся [저니마윳시-샤]라고 씁니다. 명확히 '현재 시제 3인칭 복수형의 어근' 뒤에 그 접미사와 어미를 연속해서 붙여야 하며, 동사 원형에 소사 -ся가 있는 경우, 이를 꼭 마지막에 붙여줘야 합니다!
'언어 > 러시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привычка, Бог, судьба,товарищ, деньги의 성수격변화 (0) | 2023.12.09 |
---|---|
бюрократизм, борьба, капель, капля, кровь의 성수격변화 (0) | 2023.12.09 |
переведён, вахтёр, пропуск, нарочно, уборщик의 성수격변화 (1) | 2023.12.06 |
сам, ветка, плечо, перчатка, пиджак의 성수격변화 (2) | 2023.12.06 |
러시아어 표현 정리 29 - 몇몇 동사의 명령법 정리 (1) |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