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어] дякую는 무슨 뜻일까?
1. 단어의 형태
우크라이나계 친구가 제게 дякую라고 메시지를 보낸 적이 있었습니다. 발음이 영어의 thank you와 비슷해 '감사'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생각했고, 또, -ю로 끝나기 때문에, 러시아어로 '나는 ~하다(1인칭 단수 직설법)'라는 뜻일 것이며, 그 원형은 дяковать일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그런데....
어근 | 어근접미사 | 동사 어미 |
-дяк- (감사) |
-ува (명사에 붙는 동사화 접미사) |
-ти |
사실 이 단어는 우크라이나어 동사입니다! 바로, '감사'라는 뜻의 дяка [댜꺼]에서 유래한 дя́кувати [댜꾸버ㅉ]는 '감사하다'라는 뜻이죠~ 역사적으로 보면 이 동사는 같은 뜻의 고폴란드어 dziękować [졔꺼바ㅉ]에서 유래했으며, 이 동사는 '감사'라는 뜻의 중세고지게르만어 danc [단ㅅ]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danc는 영어의 thank와 그 유래를 같이 하죠.
이 동사는 강세가 뒤로 가면 전혀 다른 뜻이 되는데요!
дякува́ти [져꾸바ㅉ]라고 하면, '쟈크(дьяк)가 되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쟈크(дьяк)란 16-18세기의 보야르 두마(Боярская дума)의 수장이거나 사제직이 없는 정교회 최하 계급의 목사를 뜻합니다. 어쨌든 지금 볼 동사는 강세가 어근에 오는 дя́кувати(감사하다)입니다.
2. 단어의 활용
동사 дякувати는 -увати 동사로 보기 때문에, -ати(-яти)와 -ювати로 끝나는 동사와 함께 제1형 활용을 보입니다.
아래 활용형을 보기 전에, 몇가지 글자들의 발음을 소개하겠습니다.
문자 | 발음 |
е |
[에] |
є | [예] |
и | [의] |
위 3개의 글자들은 러시아어 표기 때와 발음이 완전히 다릅니다. 이 차이를 살펴본 뒤, 아래 동사 활용표를 읽어 보면 그 차이를 느낄 수 있을 겁니다.
дя́кувати (불완료상) | 과거 시제 | 현재 시제 | 미래 시제 | |||
분사 | 형동사 | 능동 | - | - | - | |
수동 | - | - | - | |||
부동사 | дя́кувавши | дя́куючи | - | |||
직설법 | 단수 | 1인칭 | 남성 | дя́кував | дя́кую | дя́куватиму |
여성 | дя́кувавла | |||||
2인칭 | 남성 | дя́кував | дя́куєш | дя́куватимеш | ||
여성 | дя́кувавла | |||||
3인칭 | 남성 | дя́кував | дя́кує | дя́куватиме | ||
여성 | дя́кувавла | |||||
중성 | дя́кувавло | |||||
복수 | 1인칭 | дя́кувавли |
дя́куєм дя́куємо |
дя́куватимем дя́куватимемо |
||
2인칭 | дя́куєте | дя́куватимете | ||||
3인칭 | дя́кують | дя́куватимуть | ||||
명령법 | 단수 | 2인칭 | дя́куй | |||
복수 | 1인칭 | дя́куймо | ||||
2인칭 | дя́куйте |
이 동사는 위와 같이 변합니다. 러시아어를 공부했다면 익숙한 동사 활용형 어미를 볼 수 있을 텐데요. 러시아어와 비교했을 때 눈에 띄는 부분은 과거 시제에서 '-в(보통의 경우, 단수 남성의 경우에만)'가 붙는다는 것과, 불완료상 미래 시제에서 -м이 붙는다는 것입니다.
자 이제 이 메시지가 무슨 말인지 해석될 겁니다. 이 메시지에서 상대측은 우크라이나어로 '(난) 고마워(땡큐, ㄱㅅ)'라고 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