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리, 이슈/경제
비슈케크에서 버스타는 법(현금 지불 시 표를 꼭 챙기세요!)
호기심꾸러기
2025. 3. 2. 14:32
728x90

버스가 왔습니다~ 버스비는 총 세가지 방법으로 지불이 가능한데요!

M뱅크 QR을 찍어 송금하거나 카드를 찍으면 17솜을 내면 됩니다. 이 때, 지불을 했다면 그 지불내역 영수증(чек)을 기사님께 보여줘야 합니다. 내가 버스교통비를 지불했다는 것을 기사님께 확인시켜주는 것이죠.


현금으로 지불하면 20솜을 내야 합니다. 이때, 동전이나 지폐를 기사님이나 돈통에 넣고, 그 옆에서 감독용표(контрольный талон)를 가져와야 합니다. 모든 기사님들이 표를 주지 않기에, 대부분 직접 표를 집어야 합니다.

버스에 따라 다르지만, 한국의 버스여차장(버스안내양)과 비슷한, 파란 유니폼을 입은 특수 인원이 버스교통비 지불 및 지불확인 업무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20솜을 돈통에 넣고, 그분들에게 감독용표를 받아가면 됩니다. 이 표는 '현금으로 버스교통비를 지불했다'는 증명서로서 그 역할을 합니다.


요즘 비슈케크 버스에는 이렇게 5V/2A 충전포드가 있기도 합니다.


버스 출입문 바로 뒷 좌석에 앉아 찍은 버스 앞쪽 모습입니다. 마주보는 좌석도 있고, 노약자용 좌석도 있습니다.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노약자가 타면, 비교적 건장한 자가 자리를 양보를 하는 것이 에티켓입니다. 그리고 버스에 벨이 없기 때문에, 내릴 정류장 전에 미리 서서 내린다는 의사 표시도 해야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