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과 표로 보는 역사 시리즈/어원과 표로 보는 세계사, 세계문화

키르기스어 알파벳을 처음 만들고 처음 교수가 된, 카심 티니스타노프 기념상

호기심꾸러기 2025. 3. 1. 14:35
728x90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필아르모니야(필하모니아) 아래 젊은이 가로수길(Аллея Молодёжи)의 북쪽 끝부분에서 서쪽의 공간에 카심 티니스타노프 기념상(Памятник К. Тыныстанову)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식쿨 지역에서 태어난  카심 티니스타노프(Касым Тыныстанов, 1901-1938)키르기스어학과 현대키르기스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며, 시인, 극작가, 교육가, 공인, 언론인이면서 키르기스 최초의 교수이기도 합니다.

가난한 농부였지만 교육열이 높았던 아버지에게 아랍어를 배웠으며, 학교를 다닐 땐, 일을 병행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사건이 터졌는데, 1916년 러시아 제국의 차르 정부(1721-1917)에 대한 반란(1916년 중앙아시아 반란)이 실패하여, 부모님과 함께 중화민국(1912-)으로 도망갔다가 1917년 러시아 정부가 망하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일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고향에선 공부를 할 수 없어 타슈켄트의 카자흐 인민계몽 연구소(Казахский институт народного просвещения, 1920-1933)에서 공부를 진행합니다.

학업을 하면서 그는 키르기스어 알파벳을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그 문자로 대본도 쓰기 시작합니다. 이후 글을 쓰는 신문의 편집장도 되었는데,  1938년 8월 1일 대숙청으로 이유도 알지 못한 채, 체포되었다가 세 달 뒤 처형당합니다. 사후 약 19년이 지난 1957년에 그는 다시 복권되었죠.

10솜 구권 앞면에 그려진 카심 티니스타노프(출처 : monetus.ru/)와 비슈케크의 카심 티니스타노프 거리(출처 : 2gis)

1992년, 그의 고향 이식쿨에 세워진 이식쿨국립대학교(ИГУ, 1940-)은 그의 이름을 따, 카심 티니스타노프 이식쿨 국립대학교(Иссык-Ку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Касыма Тыныстанова< 1992-)라고 명명되었으며,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발행된 10솜에서 그의 초상화를 그려넣기도 했구요. 카심 티니스타노프 거리를 만들고, 이 글에서 소개한 키심 티니스타노프 기념상을 세우는 등 이후 키르기스스탄은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