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일본어

광고로 보는 일본어 - 적면증, 올림증을 극복하자!

호기심꾸러기 2023. 8. 1. 13:09
728x90

1. 원문

する赤面症・あがり症を
克服しよう
開く

 

2. 단어

2-1. 赤面症

적면증(赤面症) 이미지 (출처 : s621.com)

赤面症 [세키멘쇼우]직역하면 '적면증'이란 뜻입니다.

여기서 赤面 [세키멘]은 '붉은 안면(붉은 얼굴)'을 말하죠.

얼굴이 붉어지는 증상을 [세키멘쇼우/적면증]이라 부릅니다.

 

2-2. あがり症 : 오름증

적당한 정도의 긴장이 깊어지면 과도한 정도의 긴장인 아가리증이 나타난다. (출처 : zaiseido.co.jp/mimiyori/7610)

あがり症 [아가리쇼우/아가리증] 혹은 上がり性 [아가리쇼우/아가리성]은 '사람 앞에서 극도로 긴장하기 쉬운 성질'을 말합니다. 왜 あがり[아가리]라고 불리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 뜻을 먼저 봅시다.

[명사]
1. 오름(위치·지위·가격 등이 높아짐)

2. 오름(매상, 수입액, 수확량)
3. 끝남(완성됨(でき上がること), 마무리)
4. 끝·종료(일의 끝)
5. 끝((쌍륙(双六) 등에서) 말이 마지막 장소로 가서 이기는 것)
6. 아가리바나(上がり花, 갓 끓인 차)

[접미사]
1. (명사나 동사의 연용형에 붙어) 멎음·그침(그 상태가 떠난 후 얼마 되지 않음, 그 자취가 있는 모습)
2. (명사에 붙어) 출신(원래 그런 신분·직업이었음을 표현)

あがり는 '오름'이란 뜻입니다. '오르다'란 뜻의 동사 あがる [아가루]에서 유래했죠.

'오름증'이라 표현하는 이유도 '혈압이 오르다', '심박수가 상승하다', '머리로 피가 솟다'와 같은 표현에서 유래했기 때문입니다. 긴장이 될 때 나타나는 현상들을 일본에선 '오른다'라고 표현한다고 봐도 될 듯 하네요.

 

2-3. -しよう : -하자

우선 조동사 -う[-우]와 -よう[-요-]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이 두 조동사는 '추측, 의지'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東京は暑かろ [토-쿄-와 아츠카로-] : 도쿄는 더울 것이다.
そろそろ寝よう [소로소로네요-] : 슬슬 자

이 조동사들은 무변화형(無変化型) 조동사로, 기본적으로 종지형만 있습니다.

기본형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
- - (う) - -
よう - - よう (よう) - -

그러나 뒤에 こと[코토], もの[모노], はず[하즈]가 붙는 경우에는 기본형과 같은 형태의 연체형으로 쓰입니다.

 

이 조동사들은 앞에 용언이나 일부 조동사의 미연형에 접속합니다.

용언의 미연형에 붙는 예시 일부 조동사의 미연형에 붙는 예시
行こ [이코-] : 가
楽しかろ [타노시카로-] : 즐거울거야
きれいだろ [키레이다로-] : 예쁠거야
話さなかろ [하나사나카로-] : 말하지 않겠지
話すだろ [하나스다로-] : 말하겠지
起きよう [오키요-] : 일어나 
よう [코요-] : 오
よう [시요-] : 하
起きさせよう [오키사세요-] : 일어나게하자(깨우)
 愛されよう [아이사레요-] : 사랑받

し[시]는 '하다'라는 뜻의 동사 する의 미연형 혹은 연용형인데, 여기선 미연형으로 씁니다.

기본형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
する

する する すれ しろ
せよ

따라서 'し+よう'의 형태를 띄는 しよう[시요-]는 '-하자'라는 뜻입니다.

 

2-4. 開く

일상적으로 開く라고 쓰면 [あく/아쿠]나 [ひらく/히라쿠]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開く [あく/아쿠] 開く [ひらく/히라쿠]
1. 열리다
   1) (칸막이·덮개 등을 움직여 없애다, 닫힌 것이 열리다)

   2) (영업이 시작되다·영업이 행해지다)
   3) (개표가 시작되다)
4. 열리다(開ける, あける)
1. 열리다(벌어지다)
    1) (닫혀 있던 것이 펼쳐지다, 열린 상태가 되다)

    2) 피다(꽃이 피다)
    3) ((영업 등이) 시작되다)
    4) 벌어지다(두 사람 사이에 차이가 생기거나 커지다)
    5) (막힘이 없어지다)
    6) (자세의 방향이 곧 바뀌다)
    7) (개표가 시작되다)
2. 열다
    1) (닫힌 것을 활짝 펼치다)
    2) (접혀 있거나 닫힌 것 등을 펼치다)
    3) (업무 등을 시작하다, 금융기관에 계좌를 개설하다)
    4) (미개척 장소·토지 등을 손에 넣어 이용할 수 있게 하다)
    5) (열어 길을 내다, 길을 넘겨주다)
    6) (좋은 쪽으로 향하도록 노력하다)
    7) (차이를 크게 하다(벌리다))
    8) (막힌 것 등을 없애다, 숨긴 것을 없애다)
    9) (몸을 획 돌려 피하다)
    10) (지식을 주다, 계발하다)
    11) (모임 등을 열다)
    12) (수학에서 제곱근, 세제곱근을 구하다, 괄호를 풀다)
    13) (원고의 문장 중의 한자를 가나로 다시 쓰다)
3. 열다(꺼리는 말로, 끝나다·도망가다)
4. 열다(왕성하게 하다)
5. 열다(풀다)(의심스러운 것을 해명하다)

보통 '열리다'는 開く[아쿠]라고 하고, '열다'는 開く[히라쿠]라고 합니다. 물론, 開く[히라쿠] 또한 '열리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 광고처럼 무언가를 '열 때'는 '開く[히라쿠]'라고 씁니다.

 

3. 번역

3-1. 히라가나 및 발음 표기

赤面症・あがり症を
[せきめんしょうあがりしょう]
[세키멘쇼-・아가리쇼오]
克服しよう
[こくふくしよう]
[코쿠후쿠시요-]
開く
[ひらく]
[히라쿠]

3-2. 한국어 해석

적면증·오름증
극복하자
열기

 

반응형